•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포커스] AWS, 산업 혁신 지원하는 포괄적 클라우드/AI 기술 소개
2024-06-03 2,294 0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연례 클라우드 기술 콘퍼런스인 ‘AWS 서밋 서울 2024(AWS Summit Seoul 2024)’를 5월 16~17일 진행했다. 이번 AWS 서밋에서는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분야의 기술 혁신과 미래 비전에 관한 내용이 소개됐다. ■ 정수진 편집장

 

 

AWS는 10주년을 맞은 이번 행사에 10만 명 이상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틀 동안 진행된 AWS 서밋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와 기술 주제에 대한 100여 개 이상의 강연이 진행됐으며, 생성형 AI 솔루션 데모 및 산업별 클라우드 활용 관련 세션과 데모가 선보였다.

AWS코리아의 함기호 대표이사는 개회사에서 “AWS는 국내 AWS 리전에 2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지난 15년간 국내에 투자를 이어오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 기업 고객을 지원해 왔다. 앞으로도 국내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를 제공하면서 이들의 혁신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생성형 AI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앤트로픽(Anthropic)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앤트로픽은 대화형 인공지능인 클로드(Claude)를 AWS의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구축 서비스인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에 제공하며, AI 연구개발과 모델 구축/배포에 AWS의 서비스와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또한 AWS는 앤트로픽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장벽 허문다

AWS의 프로페셔널 서비스 및 생성형 AI 혁신센터를 총괄하는 프란체스카 바스케즈(Francessca Vasquez) 부사장은 AWS 서밋 첫째 날 기조연설에서 생성형 AI를 통한 비즈니스 혁신 방법에 대해 소개했다.

바스케즈 부사장은 “디지털 기술 혁신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왔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다양한 기업이 비즈니스를 개발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고, AWS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컴퓨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클라우드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왔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다음의 혁신 기술로 AWS는 인공지능에 주목하고 있다. 작년에 특히 두드러진 생성형 AI의 발전은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완전히 바꿔놓았으며, 제품을 개발하고 비즈니스를 개척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는 것이 바스케즈 부사장의 설명이다. 그는 “AWS는 업무 효율뿐 아니라 복잡한 추론 작업의 자동화를 위해 AI 기술의 장벽을 허물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생성형 AI를 위한 AWS의 포괄적 기술 스택

 

생성형 AI 위한 포괄적 기술 지원

많은 기업이 생성형 AI에 주목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생성형 AI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AWS는 ▲파운데이션 모델의 훈련 및 추론을 위한 인프라 ▲파운데이션 모델 및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파운데이션 모델 및 LLM의 활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 생성형 AI를 위한 포괄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파운데이션 모델 훈련·추론 인프라

AWS는 자사 클라우드에서 엔비디아 H100 GPU를 제공하고, GPU의 운영을 최적화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세이바(Project Ceiba)를 통해 엔비디아 GPU를 탑재한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고 있다.

한편으로 AWS는 AI 맞춤형 칩셋의 자체 개발도 진행 중이다. 여기에는 기계학습 가속기인 트레이니움(AWS Trainium)과 딥러닝/생성형 AI 추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가속기인 인퍼런시아(AWS Inferentia) 등이 있는데, AWS는 이를 통해 AI 학습과 추론에 드는 비용을 줄이면서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파운데이션 모델·LLM 기반 앱 개발 플랫폼

완전 관리형 서비스인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은 다양한 파운데이션 모델(FM)을 API를 통해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사용자는 베드록이 제공하는 모델 평가 도구를 활용해 목적에 맞는 고성능 FM을 선택할 수 있다.

베드록에서 제공하는 미세 조정(fine-tuning), 검색 증강 생성(RAG) 등의 기능 세트와 보안 기능은 기업이 자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즈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바스케즈 부사장은 “현대의 모든 비즈니스는 데이터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다. AWS는 포괄적인 데이터 서비스 세트를 제공하며, 데이터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베드록을 통해 맞춤화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를 활용한 앱 개발을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파운데이션 모델·LLM 활용 앱

AWS의 생성형 AI 기반 어시스턴트인 아마존 Q(Amazon Q)는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에 대응해 최적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운다. AI 코딩 어시스턴트인 아마존 Q 디벨로퍼(Amazon Q Developer)가 한 가지 사례이다. 

아마존 Q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부터 구축까지 모든 단계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며, 아마존 Q와 베드록은 개발자가 복잡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 AWS와 현대자동차는 클라우드로 자동차의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고, 생성형 AI로 새로운 콘텐츠를 제안해 주는 기술 데모를 선보였다.

 

클라우드/AI 활용한 산업 혁신 사례와 인사이트 소개

이틀 간 진행된 이번 AWS 서밋의 기조연설에서는 우아한형제들의 송재하 CTO, SK텔레콤의 정석근 AI 사업 총괄, 인프랩의 이동욱 CTO, 카카오페이증권의 조지훈 실장, 샌드버드의 구정진 CTO 등이 AWS 기술에 기반한 혁신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그리고 아마존의 워너 보겔스(Werner Vogels) CTO와 맷 우드(Matt Wood) AI 서비스 부사장이 온라인 대담을 통해 클라우드 및 AI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강연 세션에서는 기술 트렌드와 함께 제조/하이테크, 금융/핀테크, 통신/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유통/소비재 상품 등 산업분야별로 비즈니스 트렌드 및 기술 활용 사례가 소개됐다. 이 중 제조/하이테크 분야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실시간 차량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통한 인포테인먼트 진화 ▲GS에너지의 AI 전략 및 통합 분석 플랫폼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의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설비 관리 전략 ▲한화큐셀의 가상 파워 플랜트 플랫폼 구축 ▲인코어드의 에너지 솔루션 고도화 등 AWS 기술 활용 사례가 발표됐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정수진 sjeong@cadgraphics.co.kr


출처 : 캐드앤그래픽스 2024년 6월호

  • kakao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달수있습니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