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DX"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687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ChatGPT-3 인공지능 기반 자동 프로그래밍 사용기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최근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을 끌고 있는 ChatGPT-3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 코딩 사용기 및 GPT의 장단점을 정리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laputa99999@gmail.com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 http://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일부 언론에서는 챗GPT(ChatGPT)를 이용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이번 호에서는 실제로 챗GPT가 어느 정도 수준의 개발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해보도록 한다. 실제 몇 가지 테스트를 해보면, 잘 알려진 특정 분야(코드 개발 패턴이 정형화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한해 사용할 만한 코드를 만들어 낸다.   챗GPT 테스트 BIM(빌딩 정보 모델링) 표준 파일인 IFC 파서로 주로 많이 사용되는 IfcOpenShell을 이용해 특정 속성을 검색하는 코드를 챗GPT에서 생성해 보겠다. 챗GPT의 사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https://chat.openai.com/chat에 로그인, 접속한다.   2. 다음 문장을 프롬프트에 입력한다. load BIM.ifc using IfcOpenShell and return the element which project name is 'DDP' in python   3. 챗GPT가 학습된 소스코드를 바탕으로 유사한 패턴의 코드가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import ifcopenshell   # open the IFC file ifc_file = ifcopenshell.open("BIM.ifc")   # access the building elements in the IFC file building_elements = ifc_file.by_type("IfcBuildingElement")   # iterate over the building elements for element in building_elements:    # access the properties of each element    properties = element.IsDefinedBy    for property in properties:       # check if the property name is "Project" and the property value is "DDP"       if property.Name == "Project" and property.Value == "DDP":       # return the element if the condition is met       print(element)       break   4. 이 코드를 직접 입력해 실행해본다.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실제로는 사용되는 API 등이 정확하지 않아,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챗GPT 생성 코드의 실행 에러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3-31
CAD&Graphics 2023년 4월호 목차
  15 THEME. 디지털 전환으로 플랜트/조선 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다   디지털 트윈 기술로 기업의 생존이 가능한가? / 최우영 BIM 기반의 메가프로젝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전동휘 스마트십 플랫폼 공동구축 추진 현황 및 방향 / 이정렬 도면 인식 기술을 통한 엔지니어링 정보의 디지털화 / 김도형 에너지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지털 전환 여정 / 박진성, 유준우 3D 광대역 스캐너의 발전과 조선 분야 활용 사례 / 김지한 플랜트/조선 산업의 클라우드 적용 사례 및 DX 동향 / 김종찬   INFOWORLD Case Study 44 언리얼 엔진에 피직스 시뮬레이션을 도입한 알고릭스 고품질 그래픽의 다물체 동역학 시뮬레이션 엔진 개발 48 컴퓨터 비전과 AI 기술의 만남 데이터와 AI로 인간 중심의 컴퓨터 비전을 구현   People & Company 52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성 브라이언 사장 새 오피스와 함께 비즈니스 통합... 스마트 제조와 디지털 혁신 위한 생태계 넓힌다 54 한국생산제조학회 김병희 회장 생산제조기술 분야 선도 학회로서 혁신 위한 청사진 제시   New Products 56 워크플로 향상된 구조 BIM 소프트웨어 테클라 2023 59 코드의 동적 테스트 및 모델 기반 설계를 단순화 매트랩 2023a / 시뮬링크 2023a 62 해상도 및 패턴 처리량 늘린 주얼리 전용 3D 프린터 프로젯 MJP 2500W 플러스 88 이달의 신제품   Focus 64 지스타캐드 한국 시장 10만 카피 판매 돌파… 모두솔루션과 함께 2D 캐드 시장 입지 강화 66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연결된 스마트 공장’ 주제로 성료 68 2023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AI·디지털트윈, 산업의 미래를 바꾸다’를 주제로 개최 70 로크웰 오토메이션, “OT 경험과 IT 기술 접목해 스마트 공장 플랫폼 제공” 73 인터몰드 2023에서 살펴 본 3D 프린팅 및 CAD/CAE/CAM 트렌드 76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SIMTOS 2024' 참가설명회서 주요 행사 계획 발표   Column 78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챗GPT 비즈니스의 기회 80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로 보다 나은 비즈니스 구축하기 / 오병준 83 트렌드에서 얻은 것 No. 16 / 류용효 챗GPT-PLM 활용의 모습   On Air 92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챗GPT, AI가 가져올 산업의 변화   90 New Books   CADPIA   AEC 93 레빗에서 알아 두면 아주 유익한 꿀팁 시리즈 (17) / 장동수 pyRevit 애드인 기능을 사용해서 수정 기호를 손쉽게 적용하는 방법 96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6) / 최영석 Express Tools, 수정 기능 소개 99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3 (11) / 천벼리 지정된 요소 세트 정렬 102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ChatGPT-3 인공지능 기반 자동 프로그래밍 사용기   Reverse Engineering 106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4) / 유우식 무게 측정   Mechanical 113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9.0 (9) / 김성철 향상된 모델 기반 정의 기능   Analysis 118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 사례 / 안홍석 앤시스 플루언트 IFSI를 이용한 풍하중 해석   PLM 122 제조기업의 미래를 위한 PLM 이야기 (3) / 김성희 마케팅 요소와 제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PLM   Machine Learning 125 자율주행의 인지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셋 생성 기술 (1) / 김은정 자율주행의 인지 성능을 위한 데이터셋의 역할 및 요건    
작성일 : 2023-03-30
한국산업지능화협회 – 에이블런, 산업 디지털 전환(IDX) 전문인력양성 업무협약
한국산업지능화협회와 에이블런은 산업 디지털 전환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상호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 디지털 분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산업 지능화 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상호 인프라 지원 ▲IDX 온라인 프로그램 구축 및 확산 등 다양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시행 이후 산업데이터가 기업의 중요한 자원으로 부상하면서,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능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 현장에서는 데이터 활용 능력을 갖춘 인재들이 수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데이터 활용 능력의 경우 도메인날리지에 따라 실제 현업에서 요구되는 실무 지식과 이론으로 배우는 지식의 간극이 현저히 크게 존재한다. 따라서 기업의 경우 현장의 업무 경험을 배경으로 데이터 활용 능력을 갖춘 재직자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협회는 그동안 쌓아온 기업 맞춤형 재직자 교육 운영 솔루션과 성과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문 대표 교육기관인 에이블런과 함께 다양한 산업별 현장 수요에 맞는 디지털 전환 역량강화 교육과정들을 개발 및 보급할 예정이다. 이상진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혁신기획본부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현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협회의 노하우를 더해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온라인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기업 재직자의 수강 부담을 줄이고 개인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힘쓰며 실효성 있는 협약이 되도록 추진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부산지역내 중소중견기업 및 재직자를 위한 ESG창업 및 DX역량강화 온라인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은 모두 무료로 진행되며 상세내용 및 신청은 공식 홈페이지 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또한, 협회는 5월 24일(수)부터 27일(토)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내 탄소중립EXPO ’를 진행하며 참여기업을 모집중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홈페이지 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작성일 : 2023-03-29
엔비디아, "옴니버스로 자동차 제조 워크플로 전반을 혁신"
엔비디아가 자동차 제조산업의 워크플로를 혁신하는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과 AI의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옴니버스는 USD(Universal Scene Description)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잡한 3D 워크플로를 혁신하며, 팀이 3D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고 커스터마이징해 물리적으로 정확한 대규모의 가상 세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동차 제조업체가 자동차 제품 워크플로를 가상 세계에서 실현하면 기존의 병목 현상을 우회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과 AI를 사용해 콘셉트 및 스타일링,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및 전자제품, 스마트 공장, 자율 주행, 리테일 등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모든 단계를 디지털화하고 있다. 차량 설계부터 검증, 테스트까지 자동차 제조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함으로써 효율성은 물론 안정성과 고객 만족도까지 높인다는 것이 엔비디아의 설명이다.     옴니버스를 사용하면 자동차 설계 시에 콘셉트를 구체화해 자동차 내·외부의 모든 측면을 전체 차량의 맥락에서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협업 과정에서 물리학에 기반을 둔 사실적 렌더링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계기판이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같은 콕핏의 핵심 구성요소를 설계하기 위해 협업할 수 있으며, 이 때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방해 요소를 최소화해야 한다. 옴니버스는 설계자들이 차량의 실제 인테리어와 함께 화면상의 캐빈 및 콕핏 사용자 경험을 유연하게 배치함으로써 조화로운 룩앤필(look and feel)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같은 차세대 설계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조기에 결함을 발견하고 실시간으로 개선함으로써 테스트 및 검증해야 할 실제 프로토타입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설계가 완성되면 개발자는 옴니버스를 사용해 새로운 콘셉트를 시험해 볼 수 있다. 가상 세계에서 실내 디자인을 시험해 볼 수 있으며, 설계를 협업하고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검증할 수 있다. 가상 환경에서 다양한 재료와 부품을 테스트함으로써 실제 프로토타입 제작을 줄일 수 있는 것도 이점이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는 전산 유체 역학(CFD)을 사용해 공기 역학을 개선하고, 가상 충돌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안전한 차량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기능은 차량 전체에 분산된 수십 개의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컴퓨팅을 핵심 도메인으로 중앙 집중화함으로써 매우 복잡한 공급망을 단순화하고 많은 부품들을 대체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전체 아키텍처의 디지털 표현을 통해 차량 소프트웨어를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여기에 원격 진단과 자율 주행 기능, 엔터테인먼트 및 기타 서비스 구독 등 차량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무선(OTA, Over-The-Air)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옴니버스를 통해 공장 및 물류창고 설계를 위한 복잡한 AI 지원 가상 환경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다. 물리학에 기반을 둔 정밀 타이밍 디지털 트윈은 예측 분석 및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한편 공장 계획자는 공장의 디지털 트윈에 액세스하여 필요에 따라 공장을 검토하고 개선할 수 있다. 모든 변경 사항을 가상 세계에서 신속하게 평가하고 검증한 다음 현실 세계에 구현함으로써 공장 근로자에게 최대의 효율성은 물론 최적의 인체공학적 환경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제조업체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공장 위치를 동기화하여 확장 가능한 설계 및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옴니버스는 기존 제품의 개발과 제조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자동화 및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툴체인 또한 제공한다. 엔비디아 드라이브 심(DRIVE Sim)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기반의 물리학 기반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 대규모의 자율주행 차량 테스트 및 검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시간 정확도 또한 갖췄다. 여기에 전체 개발 툴체인도 지원하기에 개발자는 구성 요소 수준 내지 전체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개발자는 드라이브 심을 통해 일상적인 주행 시나리오는 물론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하기에 위험하고 드물게 발생하는 상황들도 반복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의 신경 재구성 엔진을 사용해 실제 주행 기록을 반응형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로 전환할 수 있다. 아울러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차 평가 프로그램(NCAP) 규정에 맞게 자동차 고급 운전 지원 및 자율 주행 시스템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NCAP는 여러 충돌 테스트와 안전 기능을 기반으로 신차의 안전 성능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때 드라이브 심(DRIVE Sim) NCAP 도구는 시뮬레이션에서 고충실도를 갖춘 NCAP 테스트 프로토콜을 제공해 제조사가 대규모 개발 및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물리학 기반의 가상 환경에서 주행할 수 있는 기능은 자율주행차 개발 프로세스를 크게 가속화해 실제 테스트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수집 및 시나리오 다양성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옴니버스의 생성형 AI는 이전에 주행한 경로를 3D로 재구성해 과거의 경험을 재현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D 시각화, 증강 현실(AR) 및 가상 현실(VR) 스트리밍을 비롯한 옴니버스의 몰입형 기술은 엔비디아 클라우드XR(ClouDXR)을 사용한다. 이는 소비자에게 더욱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구매 전에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잠재 고객은 차량 구성기(configurator)에서 색상과 인테리어 소재, 트림 레벨 등을 선택해 판매점의 실제 재고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차량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이후 3D 시각화를 사용해 커스터마이징한 차량을 모든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증강 현실과 가상 현실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차량을 확인하고 가상으로 시승할 수도 있다. 엔비디아는 "디지털화가 가져오는 이점은 자동차 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기업들이 옴니버스를 통해 워크플로를 재구상하여 효율성과 생산성, 속도를 높이고 비즈니스 방식을 혁신할 수 있다"면서, "옴니버스는 산업의 디지털화를 실현할 수 있는 디지털-물리 운영 체제"라고 소개했다.
작성일 : 2023-03-24
씨와이오토텍, 금속 적층물 서포트 제거기 개발
< 금속 써포트 자동 제거장비 CY-CNC > 씨와이오토텍은 경기도 화성시 소재한 자동차부품인 공조기 컴푸레셔모터를 생산하는 회사로서 2019년부터 금속적층 사업부를 구성하였다.  씨와이오토텍의 적층제조 사업부는 대량 양산 전용의 PBF 방식의 금속 3D 프린터 ‘Vulcan500’과 ‘Vulcan300’ 등을 사업화 하였으며, ‘2023 인터몰드 코리아’를 통해서 PBF 방식의 금속 3D 프린터의 난제인 써포트 자동 제거 장비 ‘CY -CNC‘ 출시를 발표하였다. Auto Postprocess Machine(자동 후처리 장비)인 CY - CNC는 기존의 CNC 장비에 고성능 3D 스캔너를 장착한 구조이다.  기존의 CNC도 형태가 없는 사각블럭을 가공할때 가공원점을 잡는 것은 쉽지 않은데, 3차원 가공물 후처리는 특별한 형태를 가진상태에서 절삭 가공원점을 맞추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Y – CNC는 3D 스캐너를 통해서 복합한 적층 가공물의 3차원 자세를 인식하고 가공원점을 자동으로 잡아서 무인후처리 가공이 가능한 금속 써포트 제거 전문 장비이다.   자동 후처리 장비 구동 개념   씨와이오토텍은 개발된 대량 양산 전용의 PBF 방식의 금속 3D 프린터 ‘Vulcan 500’ 과 ‘Vulcan300’ 등과 자동 후처리 장비 CY -CNC 그리고 자동 분말 제거장비 ( Depowder Machine ) DP 400 등을 활용하여 자동차 공조용 모터의 대량 양산공장을 준비하고 있다.   금속 적층 제품의 적정한 가격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대량 양산라인이 필수적이고,기존에 자동차 모터를 생산하고 있는 씨와이오토텍㈜에서는 보유한 금속 적층 가공관련 장비 기술을 바탕으로 대량양산 적층 제조 솔루션을 구축하여 DX(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를 준비하고있다.   씨와이오토텍㈜에서 구축중인 금속 적층 양산라인 구성도 씨와이오토텍㈜의 금속 적층 양산 라인은 금속 적층을 통해서 구리 헤어핀구조의 모빌리티용 고성능 모터의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헤이핀 모터는 기존의 모터보다 40 % 이상의 성능향상이 가능하여 차세대 모빌리티부품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씨와이오토텍㈜ 의 구리 방열판 및 헤어핀 샘플       적층 제조 장비 Vulcan500(좌), Vulcan300(우)    
작성일 : 2023-03-19
한국후지필름BI, AI 기반 360도 화상회의 카메라 및 24인치 태블릿 모니터 출시
한국후지필름비즈니스이노베이션(이하 한국후지필름BI)이  AI 기반 협업 솔루션 기업인 FTI와 파트너십을 맺고, AI 솔루션이 탑재된 360도 화각의 4K 화상회의 카메라 ‘큐브(Innex cube)’와 24인치 태블릿 모니터 ‘허브(Ideao hub)’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큐브’와 ‘허브’는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근무 형태로 각광받는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원격 협업 솔루션이다. 최근 비대면 및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MZ 세대가 기업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하며 내부 조직과 업무 방식에서도 디지털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후지필름BI는 "이번 신제품은 간편한 조작법과 편리한 기능으로 원격 협업을 지원해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큐브’는 4K 360도 화각을 제공하는 AI 분석 기반 화상회의용 카메라로, 가로와 세로 6.5cm, 높이 6.6cm의 컴팩트한 크기를 갖추었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제품 외부에 장착된 4개의 5MP 카메라와 최상의 스티칭 알고리즘을 활용해 왜곡 없는 360도 화각의 선명한 화면을 전달한다. 또한, 모든 방향의 소리를 감지해 균일한 음질을 보장하는 듀얼 무지향성 마이크가 내장돼 있어 몰입감 있는 회의를 경험할 수 있다. 협업이 필요한 업무에서 ‘큐브’ 카메라를 회의실 중앙에 놓으면 회의실 전체를 한 화면에 촬영할 수 있다. 지능적인 AI 기술 기반의 비디오 기술로 회의 참석자들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최대 8개의 화면 분할을 제공한다. 회의 종류에 따라 자동 프레이밍 모드, 프레젠테이션 모드, 대화 모드, 파노라마 모드, 고정 프레이밍 등 원하는 화각을 선택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리모컨으로 표시하고 싶지 않은 구역을 간편하게 설정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회의 간섭을 방지해주는 이그노어존 설정 기능도 탑재했다.     한편, ‘허브’는 개인 작업부터 협업 회의까지 다방면의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24인치 태블릿 모니터다. QHD 해상도의 WCG(Wise Color Gamut, 고색재현)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명한 색감과 생동감 넘치는 화면을 연출하고 스위블, 틸트, 피벗 스탠드 기능을 지원한다. 모니터를 60도까지 눕혀서 사용하거나 가로 세로 또는 좌우로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일반 비즈니스 업무 외에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국후지필름BI는 ‘허브’의 향상된 터치감으로 디자인 작업이나 회의 중 판서가 필요할 때에도 사용하기 적합하다고 소개했다. ‘옵티컬 본딩(Optical Bonding)’ 기술과 고급 P-Cap(Projected-Captive) 터치 기술을 적용하여 부드러운 필기감을 제공하며, 태블릿 모드 사용 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용 스타일러스 펜 ‘아이데오 펜(Ideao Pen 2.0)’도 기본으로 제공한다. 이 전용 스타일러스는 MPP 2.0(Microsoft Pen Protocol 2.0) 규격을 지원하는 펜으로, 4096단계의 압력 감지와 기울기(tilt) 입력을 지원해 더욱 자연스럽고 정교한 드로잉과 필기를 돕는다. 또한, USB PD(Power Delivery) 규격을 지원해 C타입 USB 케이블로 연결 시 최대 65W의 전원을 연결 기기에 공급할 수 있어, 노트북이나 태블릿, 스마트폰, 게임 콘솔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국후지필름BI의 김현곤 영업본부장은 “최근 대다수의 기업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인 MZ세대 직원들의 니즈에 맞춰 업무 연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면서, “뛰어난 스펙과 효율적인 기능들을 겸비한 ‘큐브’와 ‘허브’를 활용해 디지털 대전환(DX) 흐름에 맞춘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3-03-17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 ‘신산업‧신기술 TBT 대응협의회’ DX 분과 위원장 선임
씽크포비엘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운영하는 ‘신산업·신기술 TBT 대응협의회(이하 대응협의회)’  산하 DX 분과 위원장으로 박지환 대표가 선임되었다고 밝혔다. 국가기술표준원은 3월 15일 ‘신산업·신기술 TBT 대응협의회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회의장(모데라토)에서 출범식을 개최하였으며, 이 행사에는 이창수 국가기술표준원 국장과 이영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센터장을 비롯해 정부와 기업, 기관, 연구소, 협회‧단체에서 30여 명이 참석했다. 대응협의회는 세계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 에너지와 디지털 전환 관련 신산업·신기술 기술규제 시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략을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마련된 모임. 이날 5대 핵심 무역기술장벽 분과별 TBT 대응협의회 운영계획이 보고됐고, 관련분야 주제발표 등을 통한 이슈가 공유됐다. 박 대표가 이번에 DX 분과 위원장을 맡게 된 건, 씽크포비엘이 그간 DX 관련해 시장에서 인공지능(AI) 신뢰성 검증 필요성을 강조해온 게 영향을 줬기 때문. AI 신뢰성은 최근 ‘챗GPT’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해결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회사는 ‘챗GPT’ 관련 ‘탈옥’ 등의 문제가 AI가 데이터를 제대로 학습하지 못해 일어날 수 있음을 지적하고, ‘AI 신뢰성 검증’과 ‘데이터 편향 측정’ 같은 기술 등에 관심을 둬야 한다 강조해왔다. 관련된 회사의 기술기법 다섯 건이 현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단체표준으로 채택돼 있다. 박 대표는 출범식에서 AI 신뢰성 검증 관련 인력 양성에 정부 차원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회사가 그간 국가 연구개발 과제 사업으로 AI 신뢰성 검증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일부 대학에서 관련 교육을 시행했지만, 모두 단발성에 그치고 있을 뿐 장기적이면서 연속적인 교육과정으로 정착하지는 못한 현실도 소개됐다.  박 대표는 “챗GPT 문제 이후 시장에서 AI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지만 정작 기업은 ‘과연 이걸 할 수 있는 사람을 어떻게 구하지’라고 고민하고, 대학 등의 학교는 ‘AI 신뢰성 검증과 같은 교육이 미래를 위해 중요한 것은 분명한데 교육과정을 운영하면 학생의 취업 기회가 보장될 수 있을지 의문을 품고 있다”며 “기업과 학교가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분야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정부가 의지를 갖고 조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는 국가 간의 서로 다른 기술 규정, 표준, 적합성평가 등을 적용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하는 등 무역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기술적 장애 요소를 일컫는다. 관련해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내 기업의 TBT 관련 인식을 제고하고, 필요할 때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세계 TBT 동향과 우리나라 TBT 대응 시책과 기업애로 해소 사례를 담은 연례보고서를 지난 2013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다. 아울러 2021년 5월에는 날로 높아져 가는 무역기술장벽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내에 ‘기술규제 대응 지원 데스크’를 설치했다. 
작성일 : 2023-03-15
‘2023 산업지능화 컨퍼런스’ 3월 9일, 10일 양일간 개최 
  ‘AI·디지털트윈, 산업의 미래를 바꾸다!’ 주제로 코엑스 E홀서 진행 스마트공장엑스포 개최 기간 중인 3월 9일, 10일에는 산업지능화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혁신성장을 가속하기 위한 교류의 장인 ‘산업지능화 컨퍼런스’가 동시 개최행사로 진행된다. 산업지능화 컨퍼런스는 ‘AI·디지털트윈, 산업의 미래를 바꾸다!’를 주제로 열린다. 기조세션은 국내외 산업지능화 선도기업들의 핵심기술 및 전략을 응용한 사례들을 소개하며, 일반세션에서는 4개 트랙별(△IT기술을 활용한 제조지능화, △OT기술을 활용한 제조지능화, △산업 AI, △제조 및 제품 디지털트윈)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3월 9일 목요일에 진행될 기조세션에서는 한국지멘스, Dropbox,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타타 컨설턴시 서비스가 글로벌 기업의 제조 DX 선도사례를 소개하고, 3월 10일 금요일 기조세션에서는 ㈜티와이엠, LG유플러스, 엘에스일렉트릭㈜, 한국산업지능화협회 DX 기술위원회가 국내 기업의 제조 DX 선도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DX 기술위원회는 “Next AI Generation, 이제껏 보지 못한 AI 시대가 온다!(우리가 인공지능의 ‘나쁜짓’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으려면?)”을 주제로 미래의 핵심기술이 될 AI 및 챗 GPT 관련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방향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협회 홈페이지 내 사전등록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이상진 본부장은 “제조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기존 제조업의 ICT와의 융합 및 유연 생산체계 구축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지능화를 통해 생산성이 고도로 향상되는 변화의 시기에 놓여 있는 현재, 컨퍼런스에서 발표하는 선도기업들의 우수사례 및 핵심전략을 살펴보며 이에 대응하고 혁신성장을 위한 인사이트를 창출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스마트공장엑스포 전시 기간에는 1층 A, B홀에서 산업자동화 최신 기술 트렌드를 확인할 aimex(국제공장자동화전)와 혁신적인 비전시스템의 현주소를 확인할 Korea Vision Show(한국머신비전산업전)도 함께 개최돼 산업지능화 생태계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방향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작성일 :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