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AR"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32,129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현대오토에버, 실내 주차장 지도 구축 기술 개발
현대오토에버가 실내 주차장 지도 구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차량 내비게이션의 주차장 안내 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서비스의 운영에 필요한 실내 주차장 지도를 효율적으로 신규 구축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한 것이다. 실내 주차장 지도는 아파트나 대형 쇼핑몰 같이 넓은 주차장을 가진 시설에서 경로·위치를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용 주차면 수, 엘리베이터 위치, 출입구 정보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효율적인 실내 주차장 지도 구축을 위해 ‘실내 조사 시스템’을 만들고, 이 시스템을 통해 얻은 정보를 지도로 가공할 수 있는 ‘실내 조사 솔루션’도 함께 개발했다. 실내 조사 시스템은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며 ▲54채널 카메라 ▲라이다(LiDAR)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DMI(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해 실내 주차장에서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 정보를 수집한다. 실내 조사 솔루션은 실내 조사 시스템에서 확보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도를 만들기 위한 소프트웨어다. 이 솔루션에는 ▲실시간 센서 데이터 수집 툴 ▲실내 매핑 장비 위치 추정 소프트웨어 ▲IMU 위치 오차 보정 소프트웨어 ▲3차원 데이터 생성 및 후처리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다.     실내 주차장 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 조사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이 설정된 조사 경로대로 실내 주차장을 주행하며 ROS (Robot Operating System)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가공한다. SLAM은 ‘동시적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이라는 의미로 이동 중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지도를 작성하고, 환경 지도에서 센서 위치를 추적하며 지도 작성을 이어가는 방식이다. 실내 조사 시스템이 수집한 데이터는 실내 조사 솔루션을 통해 가공되는데, 3차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을 모델링한다. 모델링된 공간에 조사 중 파악한 주차장 노면과 벽면 표시, 표지판 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해 지도를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지도는 오차 범위 1m 이내의 정확성을 가진다. 현장을 직접 조사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도면 기반 지도보다 정확하다. 또 아웃소싱을 통한 현장 조사보다 낮은 비용으로 지도를 구축하고, 변화에도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번에 내재화한 기술은 앞으로 실내 주차장 뿐만이 아니라 실내 지도 전반에 응용될 수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스마트 공장이나 사무용 빌딩의 안전 관제 및 모니터링에도 실내 지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 이동하는 로봇의 이동 경로 관제 등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앞으로도 더 효율적인 주차장 지도 구축 프로세스 수립 및 고품질의 지도 양산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3-06-05
에이수스, 디자인 작업에 최적화된 크리에이터 노트북 ‘비보북 16X’ 출시
  에이수스(ASUS)가 디자인 및 창작 작업을 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비보북 16X를 출시하고,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비보북 16X은 최대 인텔 13세대 i7-13700H CPU와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60 GPU를 탑재해 사진 및 영상 편집을 비롯한 창작 작업과 멀티태스킹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실행하는 크리에이터 노트북이다. MUX 스위치를 지원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최대 10% 향상된 그래픽카드 성능을 발휘하는 ‘개별 GPU 모드’와 안정적인 배터리 수명을 위한 ‘하이브리드 모드’ 중 적합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에이수스의 아이스쿨 냉각 기술이 적용돼 본체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생생하고 부드러운 영상을 구현하는 16인치 WUXGA 디스플레이는 120Hz의 고주사율, 300니트(nits)의 밝기를 지원하며, 16:10의 화면 비율과 나노엣지 디자인으로 엔터테인먼트 작업 시 깊은 몰입감을 제공한다. 창작 작업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성능 모니터링, 개인 맞춤형 설정, 워크플로 최적화, 색상 보정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아트 크리에이터 허브’ 앱을 지원해 크리에이터에게 특화된 사양을 갖췄다. 모던한 디자인의 본체는 ‘쿨 실버’ 색상으로 출시되며, 18.9mm의 두께와 1.93kg의 무게로 휴대가 용이하다. 미국 국방성 군사 규격인 밀스펙(MIL-STD-810H) 인증을 받은 내구성과 오래 지속되는 70Wh 배터리 및 30분 만에 최대 50%까지 충전되는 PD 고속 충전을 지원해 장시간 외부 사용에도 적합한 이동성까지 겸비했다. 생산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도 지원한다. 180도 펼쳐지는 힌지를 장착해 활용성을 높였으며, 우수한 입력감을 제공하는 에르고센스 키보드를 탑재했다. 지문 인식으로 간편하게 로그인 가능한 센서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물리적 웹캠 실드를 장착했으며, 99%의 항균 효과를 자랑하는 안티박테리아 가드 기술도 적용됐다. 공식 가격은 139만 9000원부터 시작하며, 기본 1년의 보증 기간 내 1회에 한해 소비자 과실로 인한 파손 수리비 전액을 지원하는 ‘에이수스 퍼펙트 워런티(Perfect WARranty)’ 서비스가 적용된다. 이 제품은 11번가, G마켓, 옥션과 에이수스 온라인 스토어을 통해 구매 가능하며,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에이수스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매한 고객 한정으로 우발적 손상 방지 패키지(ADP), 출장수리 서비스, 배터리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15만 9000원 상당의 ‘에이수스 프리미엄 케어’ 2년을 추가 증정한다. 또한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1개월 무료 구독권이 사은품으로 제공되며, 제품을 구매하고 이벤트 기간 내에 포토리뷰 혹은 SNS 리뷰를 남긴 후 URL을 인증하면, 참여자 전원에게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제공하고, 추첨을 통해 도미노피자 상품권과 신세계 상품권을 증정하는 ‘에에수스 리뷰 이벤트’가 진행된다.
작성일 : 2023-06-05
에너지 측정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6)   지난 호에서는 ‘시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여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의 기준 단위가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시간 측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1초에 대한 정의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바뀌어 왔으며 바뀌게 된 배경을 소개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에너지의 개념과 에너지의 기준 단위인 1 줄(J)의 정의에 관해서 소개하고 에너지(energy), 일(work), 힘(force), 동력(power)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에너지 측정’ 및 에너지의 각종 단위 간의 환산방법 등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에너지 변환 방식 및 에너지 변환 효율 등에 관해서도 살펴본다.   ■ 연재순서 제1회 측정의 목적(호기심, 정보 수집) 제2회 단위(비교의 기준) 제3회 길이 측정 제4회 무게 측정 제5회 시간 측정 제6회 에너지 측정 제7회 정적 측정과 동적 측정 제8회 측정 결과의 분석 제9회 분석 결과의 활용 제10회 제어(수동, 자동, 반자동, 학습형) 제11회 정보의 가시화 제12회 입체 이미지 정보의 유혹과 과제   ■ 유우식 미국 웨이퍼마스터스(WaferMasters)의 사장 겸 CTO이다. 동국대학교 전자공학과,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과 미국 브라운대학교를 거쳐 미국 내 다수의 반도체 재료 및 생산설비분야 기업에서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재료, 공정, 물성, 소재분석, 이미지 해석 및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 오사카대학 대학원 공학연구과 공동연구원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객원연구원, 국민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연구원, 문화유산 회복재단 학술위원이다. 이메일 | woosik.yoo@wafermasters.com 홈페이지 | www.wafermasters.com   그림 1. 국가별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란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할까? 에너지란 무엇일까? 일상생활 속에서 분명히 자주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순수한 우리말로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없다 보니, 영어 단어 energy의 발음을 그대로 적어 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작 에너지의 개념을 누군가 묻기라도 한다면 한참 당황하다가 여러 가지 활용사례를 들어가면서 그 의미를 설명하려고 하지 않을까 싶다. ‘인간이 활동하는 근원이 되는 힘’ 또는 ‘기본적인 물리량의 하나로 물체나 물체계가 가지고 있는 일을 하는 능력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정도로 적당히 얼버무리지 않을까 싶다. 사실, 용어의 정의만큼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 없다. 단어의 뜻이 불분명해서 사전을 찾아보면 사전의 설명을 이해하는 것이 더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세계 각국의 언어 모두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현상이기도 하다. 요즈음에는 에너지 드링크(energy drink), 에너지 바(energy bAR)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음료수와 식품의 종류도 많다. 에너지 드링크는 말 그대로 에너지 보충용 음료수이다. 주로 체력 보충을 목적으로 마시는 음료로, 수분과 전해질 보충을 목적으로 마시는 스포츠 드링크류와 구별된다. 에너지 바는 열량을 많이 소모하여 열량 보충이 필요하거나 식사 시간이 모자랄 때 한 끼 식사 대용으로 먹을 수 있는 식품으로 칼로리 바(Calorie bAR)라고도 불린다. 주요 재료는 열량이 많은 초콜릿을 함유한 곡식류같은 것이 사용된다. 에너지 드링크나 에너지 바의 영양정보에는 반드시 내용량의 성분별 중량과 열량이 kcal로 표시되어 있다. 즉, 에너지는 열량으로 표시되며 단위는 칼로리 바라는 이름에서도 상상할 수 있듯이 cal 또는 kcal이다. 세계 각국의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의 통계치로 세계지도에 색상을 입힌 것을 <그림 1>에 표시하였다. 우리나라 주변 국가, 세계 주요 국가 및 세계에서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이 최저 수준인 아프리카 동쪽의 섬나라인 마다가스카르(MadagascAR)의 통계치를 kWh로 표시하였다. 에너지의 단위임에도 단위로 kWh가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의 표준 단위와 그 정의를 살펴보고 cal(또는kcal)와 kWh의 관계를 알아보자. 이 글을 쓰는 데에도 체력을 소모하니 에너지가 사용되는 것은 분명하다. 과연 몇 kcal나 필요할까?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까?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에너지는 정의대로 ‘물체나 물체계가 가지고 있는 일을 하는 능력’을 의미하므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에너지 드링크, 에너지 바를 포함해서 석유, 전기 등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에너지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그 유용성이 에너지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에너지의 양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활용의 편리성이다. <그림 2>에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원을 분류해 보았다. 분류 방법은 보는 관점에 따라서 더 세분화할 수도 있고 합쳐서 표시할 수도 있다. 에너지 드링크나 에너지 바는 화학 에너지에 해당된다. 다양한 에너지의 형태로 표시하고 있지만 모든 에너지의 형태는 한 가지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성질의 형태로 공존하고 있지만 대표적인 성질로 구분하면 이러한 방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열 에너지라고 표시한 그림을 보면 불꽃으로 함축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열은 복사, 대류, 전도의 세 가지 방법으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복사 에너지, 빛 에너지로도 구분이 가능하고 연료가 연소되면서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화학 에너지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불꽃이 연소하면서 소리도 나기 때문에, 비중은 높지 않지만 소리 에너지의 성분도 가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2.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분류 방법에 따라서 세분화될 수 있음)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6-05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의 개선된 부품 모델링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 (1)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Creo PARametric 10.0)은 부품 모델링과 관련해 스케치, 멀티바디, 서피스 나누기, 구멍, 패턴 기능이 개선되었다. 이번 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춰 더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기능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자.   ■ 박수민 디지테크 기술지원팀의 과장으로 Creo 전 제품의 기술지원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smpARk@digiteki.com 홈페이지 | www.digiteki.com   스케치 개선사항 현대화된 투영/오프셋/강화 기능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에서는 투영, 오프셋, 강화의 기능 UX가 개선되었고, 커브 선택 시 피처의 모든 커브를 한번에 선택할 수 있으며, 간편한 재사용/조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또한 구성 모드에서도 투영, 오프셋, 강화 기능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투영, 오프셋, 강화 기능 사용시 규칙 기반을 통해 피처의 모든 커브를 한번에 선택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구성 모드를 활성화하여도 기존 형상을 쉽게 참조할 수 있어 스케치의 효율을 높였다..   참조 목록 현대화     외부 참조의 구성 요소를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실패한 참조에 대해 문제 해결 정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변경된 참조에 따라 실패한 피처에 대해서는 참조 편집을 사용하여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그래픽과 메시지를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향상된 중심선 동작 중심선에 맞물려 스케치된 형상이 중심선 치수 변경에 따라 기존 위치에 머무르는 솔루션을 선호하도록 방식을 개선하였다. 중심선의 각도 값이 변경됨에 따라 스케치의 위치도 동일하게 이동하여 예측이 쉽도록 개선되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6-05
우주 발사체의 이륙 시 음향 해석
항공 우주 분야의 CAE 활용 사례   이 글에서는 항공 우주 분야에서 실제 업무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구조 음향 해석 프로세스 및 실제 사례를 소개한다.   ■ 정찬희 헥사곤 코리아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BU의 이사로, 음향 해석 전문 소프트웨어인 Actran의 PreSales/Tech Support/Consulting SVC를 담당하고 있다 홈페이지 | www.hexagon.com   일반적으로 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음압에 의한 구조 손상은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주 발사체는 이륙시에 160~200dB에 이르는 매우 높은 음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사체뿐 아니라 탑재물의 구조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매우 정밀하고 구조적으로 약한 태양전지 패널이나 안테나같은 경우, 이러한 높은 음압 하에서 음향 피로(acoustic fatigue)에 의한 손상에 취약하다. 우주 발사체나 탑재물은 그 특성 상 제품 단가와 발사 비용이 매우 높고 장기간의 개발 기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사고 발생시 인명 손실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및 검증 단계에서 발사체와 탑재물에 발생하는 높은 음향 하중 하에서의 진동 음향 거동을 예측하여야 한다.   그림 1   액트란(Actran)은 구조물의 구조 음향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전문 음향 해석 소프트웨어로, 이러한 높은 음향 하중 하에서의 진동 음향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액트란을 이용한 우주 발사체에 대한 구조 음향 해석 프로세스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음향 해석에 사용되는 가진원은 크게 두 종류로, Deterministic 가진과 Random 가진으로 나뉜다. 우주발사체에 적용할 수 있는 Deterministic 가진은 다음과 같다.   구조물에 가해지는 국부하중 및 분포하중 평면파(planewave) 외부 음장 해석으로부터 구해지는 음압 비정상(unsteady) CFD 해석으로부터 구해지는 유체역학적 압력 DFAT(DirectFieldAcousticTesting) 모델   우주발사체에 적용할 수 있는 Random 가진은 다음과 같다.   잔향실(diffuse sound field) 조건(탑재물 대상 masking 효과 고려) 난류경계층조건(turbulentboundARylayer)   앞서 소개한 구조 음향 해석 프로세스는 다양한 항공 우주 분야에서 실제 업무에 적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베가 발사체 중단 구조물의 구조 음향 해석(Vibro ­acoustic analysis of the interstage structures) 발사시 구조물의 진동과 음향 하중에 의해 발사체의 전자 부품 및 기계 부품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비오(Avio)에서는 베가(VEGA) 발사체의 구조 음향 거동을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MSC 나스트란(MSC Nastran)을 이용하여 중단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였으며, 액트란을 이용하여 내부 캐비티(cavity)를 고려한 잔향실 가진과 구조가진 하에서 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한 결과 해석과 실험의 상관성은 높은 수준으로 일치하였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6-05
캐디안 2023의 Express Tools, 수정 기능 소개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8)   오토캐드와 양방향으로 호환되는 국산 CAD인 캐디안(CADian) 2023 버전에서는 이전 버전부터 제공되던 Express Tools 기능이 동일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캐디안 2023 버전에 탑재된 Express Tools의 수정 관련 기능 몇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최영석 인텔리코리아 기술지원팀 부장으로 기술지원 업무 및 캐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cad@cadian.com 홈페이지 | www.cadian.com 카페 | https://cafe.naver.com/ilovecadian   이동/복사/회전(Mocoro) 기능 객체를 이동하거나 복사, 회전하려면 Move 명령을 통해서 객체를 이동한 후 Rotate 명령을 통해서 객체를 회전시키고, Copy 명령을 통해서 객체를 복사해야 한다. 하지만 Mocoro 명령을 이용하면 선택한 객체를 한번에 이동, 복사, 회전시킬 수 있다.   1. 메뉴에서 Express &rARr; 수정 &rARr; 이동/복사/회전 항목을 클릭하거나, 명령 창에 ‘mocoro’를 입력한다.     2. 이동/복사/회전하길 원하는 객체를 클릭 또는 드래그하여 선택한 후 Enter 키를 입력한다.     3. 명령 창에 ‘기준점 지정:’이 표시되면, 이동/복사/회전 명령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클릭하여 입력한다.   4. 명령 창과 동적입력 항목에 실행 가능한 명령어 옵션이 표시되며, 원하는 기능을 타이핑하거나 클릭하여 선택한다. 회전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R’을 입력하거나 ‘회전(R)’을 클릭한다.       5. 명령 창에 ‘두번째 점 지정 또는 각도 지정:’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회전 각도를 타이핑하거나 마우스로 지정해 준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6-05
생성형 AI 오픈소스 딥러닝 모델 Stable Diffusion, ControlNet 및 ComfyUI 사용 방법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의 개념과 생성형(Generative) AI 오픈소스 도구의 설치 및 사용 방법을 간략히 살펴본다. 스테이블 디퓨전 및 컨트롤넷(ControlNet) 기술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고, ComfyUI 등 도구의 사용법도 알아본다. 아울러, 다양한 이미지 스타일로 학습된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의 다운로드 방법도 설명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메일 | laputa99999@gmail.com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http://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스테이블 디퓨전의 개념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은 Stability AI와 Runway 도구의 협업으로 개발된 생성 AI 모델이다. 이 모델은 OMMER Lab의 도움을 많이 받아 개발되었다. 스테이블 디퓨전의 원래 이름은 LDM(Latent Diffusion Model)이었다. StableDiffusion : https://github.com/CompVis/stable-diffusion 스테이블 디퓨전은 text to image diffusion을 지원한다.   그림 1. 스테이블 디퓨전 기반 생성 AI 예시   그림 2. OMMER Lab 연구내용(https://ommer-lab.com/reseARch/latent-diffusion-models)   스테이블 디퓨전은 <그림 3>과 같이 디퓨전 확산 모델을 사용한다. 확산 모델은 입력 이미지와 노이즈 라벨링 데이터 간의 가중치를 학습한다. 디퓨전은 전형적인 UNet(encoder-decoder, autoencoder 모델) 모델을 따른다. 입력 모델에 대한 노이즈를 학습한 가중치 모델을 역으로 실행하면, 원본 입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GAN(생성 적대 네트워크) 모델과 유사한 개념을 차용한 것이다.   그림 3. Diffusion의 UNet 구조   여기에 모델의 역방향(Reverse Diffusion Process)으로 text encoding 벡터를 입력해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노이즈인 Random Latent Noise(zT)와 디노이즈 가중치 레이어인 Denoised Latent(Z0)를 UNet 모델 사이에 삽입한다.(<그림 4> 참고) 이를 통해, 텍스트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림 4   Input text prompt &rARr; Text embedding + Time step + Random latent noise &rARr; Diffusion &rARr; Denoised latent   이 결과로 T 시행이 많을 수록 <그림 5>와 같이 유사한 입력 이미지가 되도록 한다.   그림 5   이를 종합하면 <그림 6>과 같은 딥러닝 모델 구조가 완성된다. 이제 모델의 각 파라미터를 조정하면 텍스트 입력에 대한 다양한 스타일의 학습 가중치를 조정하게 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림 6.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6-05
아레스 커맨더 2024의 도구 팔레트 기능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4 (2)   DWG 호환 CAD인 독일 그래버트(Graebert)의 아레스 캐드(ARES CAD)는 PC 기반의 아레스 커맨더(ARES Commander), 모바일 기반의 아레스 터치(ARES Touch), 클라우드 기반의 아레스 쿠도(ARES Kudo)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듈은 상호 간에 동기화되어 이를 삼위일체형(Trinity) CAD라고 부른다. 오토캐드와 호환되는 데스크톱 PC 기반의 아레스 커맨더 2024 버전에서는 이전보다 더 많은 도구 팔레트(Tool Palettes)를 사용자 정의할 수 있게 해주며, 오토캐드에서 가져올 수도 있다. 이번 호에서는 달라진 도구 팔레트 기능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 천벼리 인텔리코리아 3D 솔루션 사업본부 대리로 기술영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메일 | ARes@cadian.com 홈페이지 | www.ARescad.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raebert 유튜브 | www.youtube.com/GraebertTV   Example Palettes(예제 팔레트)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블록과 미리 설정된 개체를 결합한 도구 팔레트를 제공한다. 단순한 폴리선뿐만 아니라 특정 유형의 벽을 나타내기 위해 특정 색상과 레이어 속성을 가진 폴리선이다.   Preconfigured Entities(미리 구성된 요소)     모든 유형의 요소를 미리 구성한다. 이 경우, 선은 자동으로 특 정 레이어인 ‘A _Wall’에 할당된다. 색상, 선 가중치 또는 선 종류 와 같은 다른 매개변수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ARC+MECH(건축+기계)     건축 및 기계 도구 팔레트이다.   MEP + MAPS(MEP + 지도)     MEP 및 지도 도구 팔레트이다. MEP는 기계(Mechanical), 전기(Electrical), 배관(Plumbing)의 약자이다. 건물의 난방, 급배수, 조명, 전력 공급,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시설 시스템을 설계하고 문서화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건물의 전체적인 성능과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6-05
지멘스, '2023 IDC 마켓스케이프'에서 MES 부문 리더로 선정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가 제조 실행 시스템(MES) 소프트웨어와 관련 시장 및 산업 채택에 초점을 맞춘 5개의 IDC 마켓스케이프(IDC MARketScape) 보고서에서 리더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IDC 마켓스케이프 보고서는 ▲세계 하이테크 및 전자 MES ▲세계 엔지니어링 집약적 MES ▲세계 이산형 MES ▲세계 공정 MES ▲아시아/태평양 MES 등 5개 부문에서 MES 시장의 소프트웨어 공급업체를 평가하며, 지멘스는 이 5개 보고서 모두에서 리더로 선정되었다고 전했다. 한편, 지멘스는 최근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GARtner Magic Quadrant) MES 부문 리더 쿼드런트에 6회 연속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MES를 위한 지멘스의 Opcenter Execution 소프트웨어는 기업이 설계,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데이터를 실제 완제품 생산에 정확하게 반영하여 제조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공장 현장에 포괄적인 디지털 트윈을 제공하고,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과 자동화된 제조 장비를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하여 생산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Opcenter는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 포트폴리오의 일부이며, 최근 출시된 산업 생산 자동화 및 운영을 위한 Industrial Operations X 솔루션의 핵심 요소이다.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토비아스 랑게(Tobias Lange) 디지털 제조 부문 제조 운영 관리 수석 부사장은 "IDC 마켓스케이프가 지멘스를 MES 부문 리더로 선정하고 전 세계 고객에 첨단 통합 MES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지멘스의 노력을 인정해준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지멘스는 첨단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통합 MES를 쉽게 구성하고 구현하며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로써 우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산업 분야의 고객들에게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