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 시대의 슬기로운 AI 생활을 위해
GPT 시대의 교육과 학습
이 글은 라인테크시스템에서 지난 5월 30일 진행한 ‘BIM Shift 2024 세미나’에서 한국디지털교육원 김진만 원장이 발표한 'BIM Education in New ERA'의 발표자료를 AI의 General Purpose Technology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 양승규
캐드앤그래픽스 전문 필진으로, MOT를 공부하며 엔지니어와 직장인으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건축과 CAD를 좋아한다.
홈페이지 | yangkoon.com
그림 1. 라인테크시스템 BIM Shift 2024 세미나
한국디지털교육원
한국디지털교육원은 라인테크시스템에서 2018년 1월에 개설한 교육원으로, 건설 산업 전반의 설계, 시공, 운영 시 사용되는 플랫폼 소프트웨어의 교육과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다.
단순한 소프트웨어 사용법 교육 외에 실용적으로 할 수 있는 교육을 목표로 운영 중이며, 2024년 현재까지 약 500명의 수강생을 배출하였다. 협회, 학교, 설계사, 건설사, IT 기업 등 다양한 분야와 상호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빌딩스마트협회의 BIM 자격시험, 오토데스크 인증 자격제도인 ACU(AutoCAD Certified User) 관련 교육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건설 AI 전문 해외 기관과 협업하여 관련 기술과 지식을 국내에 전파하려고 노력 중이다.
그림 2. 한국디지털교육원(출처 : 한국디지털교육원 김진만 원장)
범용 인공지능 시대의 개막
오픈AI(OpenAI)의 챗GPT(ChatGPT)가 세상에 나오고 5000만 명이 이용하는데 걸린 시간은 단 2달에 불과했다. 비슷한 사용자 규모에 이르는데 인터넷이 7년, 유튜브가 4년이 걸린 것에 비하면 정말 빠른 시간에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범용 인공지능을 목표로 만들어진 AI 모델인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를 필두로 한 AI 기술이 우리 삶에 매우 빠르게 스며들었다. 인터넷 포털을 이용한 검색 활동이 GPT AI를 통한 프롬프트 활동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AI 범용 기술 사용의 사례이다. 건설 분야에서도 관련 AI 프로그램이 1000개가 있다고 하니 건설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그림 3. 범용 인공지능 시대의 개막(출처 : 한국디지털교육원 김진만 원장)
대표적인 범용 AI
AI는 이미지 생성, 정보 검색, 연구자료 탐색 등 우리 삶에 밀접한 부분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AI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Midjourney : 텍스트로 된 설명문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OpenArt : 텍스트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Perplexity : 정보 검색 및 공유에 특화된 AI
SCISPACE : 연구논문을 탐색하고 이해를 도와주는 AI
CONNECTED PAPERS : 학술 논문을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판별할 수 있는 AI
draw.io : 다양한 유형의 다이어그램을 작성해주는 AI
그림 4. 범용 AI 솔루션(출처 : 한국디지털교육원 김진만 원장)
건설 분야 AI
건설 분야에도 다양한 AI 기술이 있으며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Codesign : 스케치로 디자인을 발전시켜 생성형 AI로 확장시키는 앱
Skema : 기존 워크플로와 원활하게 통합시켜 생산성을 향상
TogaLl.AI : 도면에서 공간과 기능을 자동으로 감지, 측정, 비교, 라벨링
CodeComply.AI : 도면을 위한 맞춤형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여 규정 미준수 항목을 자동으로 생성
CONIX.AI : Zoning 계획, 2D 평면 계획, 가구 배치 계획, MEP 계획, 입면 및 3D 모델 대안 생성
KREOD : DfMA 원리와 첨단 지능형 자동화를 결합한 첨단 기술 솔루션
InspectMind : 휴대폰으로 현장 정보를 캡처하고 AI가 검사 보고서를 생성
Kolega : 디자인으로 매스 콘셉트 디자인 및 환경 분석
Designbotic : 시선 추적 장치를 사용한 디자인, 공간 분석의 맥락에서 뇌파 측정 방법 개발
그림 5. 건설 AI 솔루션(출처 : 한국디지털교육원 김진만 원장)
일자리의 변화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그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나고, 기존의 기술이 새로운 기술로 대체되면서 기존의 일자리가 사라진다. 세계 경제 포럼의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Future of Jobs, 2023)에 따르면 AI 기술로 인해 8300만 개의 일자리 소멸되고 6200개가 생성된다고 한다.
KIET(산업연구원)의 ‘AI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 인공지능 시대 일자리 미래와 인재양성 전략’ 보고서(2024)에 따르면 인공지능 도입으로 대체될 일자리는 327만 개로 추정된다. 보고서는 특히 제조업, 건설업 등 국내 주요 산업에서 일자리 소멸 위험이 클 것으로 전망했으며, 인공지능이 대체 가능한 일자리는 2022년 기준 327만 개로 추정했다. 산업 비중이 높은 건설업과 같은 분야에서 일자리 소멸 문제가 심각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