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3D"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2,24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CAD&Graphics 2023년 10월호 목차
  Infoworld   Focus 17 코리아 그래픽스 2023, 메타버스와 AI가 만드는 산업의 미래를 짚다 24 헥사곤 MI, 넥서스 국내 출시로 데이터의 연결 통한 제조 혁신 지원 26 뿌리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3D 프린팅 트렌드 및 활용 사례 소개 28 에픽게임즈, “3D에 경제 모델 결합된 메타버스 생태계 만든다”   Case Study 30 제조 업계의 디지털 트윈 기반 인터랙티브 마케팅 고객 참여 확대부터 시장 출시 단축까지 실시간 3D 기술의 효과를 얻는 방법 33 단편 영화 수상작 ‘더 보이스 인 더 할로우’ 리얼타임 애니메이션으로 어둠의 공간을 구현   New Product 38 PDM 라이브러리 분류 정의 시스템 PDM Part Classification 40 빠르고 범용적인 3D CAD 뷰어 3D뷰스테이션 데스크톱 뷰어 42 시뮬레이션 속도 및 제품 개발의 협업 향상 지원 앤시스 2023 R2 44 렌더링부터 버추얼 프로덕션까지 크리에이터 위한 기능 향상 언리얼 엔진 5.3 48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전문가를 위한 내장 SSD WD 블루 SN580 NVMe SSD 52 이달의 신제품   Column 55 디지털 지식전문가 조형식의 지식마당 / 조형식 가상화와 소프트웨어 정의가 모든 것을 변화시키다 58 현장에서 얻은 것 No.14 / 류용효 PLM 구축 유형별 특징   On-Air 63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PLM과 MBSE,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64 캐드앤그래픽스 CNG TV 지식방송 지상중계 수소연료전지를 포함한 전기 추진 시스템 개발   People & Company 65 SK C&C 제조Digital플랫폼 담당 김성환 그룹장 대·중소기업 상생 협력을 통한 제조 기업 경쟁력 향상 지원 68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 양영진 대표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가이드 제공   50 New Books   Directory 123 국내 주요 CAD/CAM/CAE/PDM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디렉토리   CADPIA   AEC 70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 강태욱 파이썬 기반 오토캐드 설계 자동화 도구 개발 74 새로워진 캐디안 2023 살펴보기 (12) / 최영석 3D 객체 그리기 기능 Ⅲ 77 데스크톱/모바일/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아레스 캐드 2024 (6) / 천벼리 아레스 캐드 2024에서 강화된 평면 스냅샷 기능 80 토목 분야 BIM 기반 자동, 연동, 수동 수량산출 합산 프로세스 (3) / 이재홍 2D와 BIM 기반 수량산출 내역 합산 기능 프로세스   Reverse Engineering 86 이미지 정보의 취득, 분석 및 활용 (10) / 유우식 제어(수동, 자동, 반자동, 학습형) 96 포인트셰이프 디자인을 사용한 역설계 사례 / 드림티엔에스 플라스틱 커버 스캔 데이터의 역설계 작업 과정   Mechanical 101 제품 개발 혁신을 가속화하는 크레오 파라메트릭 10.0 (5) / 김성철 향상된 제조 기능   Analysis 106 성공적인 유동 해석을 위한 케이던스의 CFD 기술 (2) / 나인플러스IT 유압 터빈의 설계를 위한 와류 로프 해석 109 앤시스 워크벤치를 활용한 해석 성공 사례 / 박성근 입자와 함께 하는 유동해석, 앤시스 로키와 함께하는 SPH 소개부터 활용까지 114 제품 개발의 새로운 방법론, MBSE (5) / 목종수, 김태현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에서의 MBSE   Cloud Computing 119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AWS IoT 서비스 (6) / 조상만 AWS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 IoT 트윈메이커 Ⅰ
작성일 : 2023-09-27
모토로라, ‘엣지 40’ 5G 스마트폰 국내 출시
  모토로라코리아가 고속 5G 스마트폰 ‘엣지40(Edge 40)’을 국내 출시했다. 모토로라 엣지40은 모토로라의 첫 자급제 시장 출시 모델인 엣지 30의 후속 모델로 오픈마켓 단독 파트너인 쿠팡을 통해 판매된다.   7.6mm 슬림 사이즈의 모토로라 엣지 40은 미디어텍 디멘시티 8020(MediaTek Dimensity 8020)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8GB 메모리(RAM)와 이전 모델 대비 2배 증가된 256GB 저장 용량 모델로 제공된다. f/1.4의 넓은 조리개를 적용해 저조도 촬영에 최적화된 5000만 고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144Hz 주사율을 지원하는 풀 HD+OLED 디스플레이,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 사운드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멀티미디어 경험을 지원하며, 확장된 고속충전(68W) 및 무선충전(15W) 기능을 추가하고 이전 모델 대비 강화된 4400mAh 배터리를 장착했다. 현대적 디자인을 추구한 엣지 40은 좌우로 기울이면서 변화되는 은은한 보석 같은 패턴이 특징이며, 디스플레이 지문 판독기를 사용하면 화면 터치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슬림 디자인과 167그램의 경량 설계를 통해,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사용자들의 손과 팔의 피로감을 덜어준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곡면 글래스 디스플레이와 곡면 후면 인레이가 매끄럽게 조화를 이루는 엣지 디자인을 채택했다. 전면에는 베젤이 거의 없는 3D 글라스 디스플레이가 탑재됐으며 뒷면 곡선형 인레이는 손의 자연스러운 윤곽에 잘 맞는다. 비건 가죽을 적용해 견고한 그립감과 함께 부드러운 촉감이 느껴진다. 167그램 경량 설계는 사용자에게 또 다른 편안함을 제공한다. 각 측면은 정밀하게 절단된 샌드블라스트 알루미늄 프레임과 매끄럽게 결합되어 고급스러운 외관과 느낌을 더한다. 엣지40 사용자는 144Hz 주사율과 HDR10+의 6.55인치 OLED 디스플레이로 좋아하는 영화와 게임을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돌비 애트모스 공간음향이 지원되는 엣지 40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보다 깊고 선명한 사운드도 경험 가능하다. 모토로라 ‘레디 포(Ready For)’ 기능을 통해 모니터나 TV에 무선으로 엣지 40을 연결하면 더 큰 화면에서 영상, 게임 등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씽크패드(ThinkPad)에 적용된 보안 플랫폼 씽크쉴드(ThinkShield) 기술이 탑재돼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 모토로라 엣지 40은 네뷸라 그린, 이클립스 블랙, 비바 마젠타 등 세 가지 색상으로 구성된다. 공식 출고가는 49만 9000원(256GB)이다.
작성일 : 2023-09-27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주도 의료 혁신 선보이는 아바타 ‘엠마 트윈’ 공개
다쏘시스템이 버추얼 트윈 주도 의료 혁신을 선보이는 아바타 ‘엠마 트윈(Emma Twin)’을 공개했다. 의료 발전과 미래 의학 혁신 기술에 있어 버추얼 트윈의 역할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설계된 ‘엠마 트윈’은 앞으로 다양한 소셜 미디어 콘텐츠 안에서 익명의 의료 데이터로 생성된 버추얼 트윈 아바타가 질병과 관련된 수많은 검사를 거치는 방법을 공유해, 질병과 치료 효과에 대한 의학분야 종사자 및 연구자의 이해를 돕는 버추얼 트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예정이다. 엠마 트윈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는 ▲메디데이터 솔루션 활용 임상 시험 ▲리빙하트(Living Heart) 프로젝트 내 다양한 시술에 따른 심장 반응 ▲코닛비전(CorNeat Vision) 각막 이식술 ▲리빙브레인(Living Brain) 프로젝트 간질 및 알츠하이머병 연구 ▲IASO 약물 투여 및 모니터링 장치 착용기 ▲노년층 위한 집 환경 최적화 등 진행 중인 연구 및 의료 혁신에 참여한 버추얼 트윈 이야기를 다룬다.     또한 프랑스 수술용품 기업 ‘DAMAE 메디칼’의 피부암 진단용 휴대용 현미경, 다이노카디아(Dynocardia)의 혈압 모니터링 솔루션, FEops의 심장 모니터링, 루시드 임플란트 (Lucid Implants)의 안면 맞춤형 임플란트, 보르덱(VORTHEx)의 방사선 치료 시뮬레이션 체험 등을 함께 소개한다. 다쏘시스템의 버추얼 트윈은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하는 3D 모델로 과학적 정확도를 갖춘 현실을 복제해 가상 성능 테스트와 개선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버추얼 트윈은 자동차, 건물 또는 항공 산업과 마찬가지로 연구 및 의료 관련 분야 역시 인체를 정확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모델링, 테스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해 보다 정밀하고 선제적인 의료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한다. 다쏘시스템의 빅투아 드 마제리(Victoire de Margerie) 기업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부사장은 "엠마 트윈을 통해 버추얼 트윈이 의료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흥미롭고 의미 있게 풀어낼 것”이라며, "다쏘시스템의 버추얼 트윈은 코로나19 백신의 신속한 개발과 수술 과정 최적화, 그리고 치료 선택지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를 높여 왔으며, 앞으로도 선도적인 기술을 활용해 주요 의료 과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가상 세계가 현실 세계를 어떻게 개선하는지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9-26
벤큐, 사진·영상 전문가를 위한 27인치 모니터 SW272U, SW272Q 출시
벤큐는 사진·영상 전문가를 위한 넓은 색역과 정확한 색상을 지원하는 27인치 UHD 모니터 SW272U와 QHD 모니터 SW272Q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SW272U는 4K UHD(3840×2160) 해상도로 DCI-P3/Display P3 99%, AdobeRGB 99%, sRGB/Rec.709 100%의 광색역을 지원하며, SW272Q는 QHD(2560×1440) 해상도로 DCI-P3/Display P3 98%, AdobeRGB 99%, sRGB/Rec.709 100%의 광색역을 지원한다. 두 제품 모두 균일도 보정 기술(Uniformity Technology)이 적용되어 화면 전체에 균일한 밝기와 색상을 제공하며, 10억 개 이상의 색을 표현하는 10bits 디스플레이로 부드러운 그라데이션을 구현할 뿐 아니라 16bits 3D LUT(Look Up Table), 평균 1.5 이하의 Delta E 색 편차 수치를 지원해 정밀하게 색상을 재현한다.   ▲ 벤큐 SW272U AQCOLOR   사진, 영상 전문가를 위한 모니터는 정확한 색감이 중요한 만큼 SW272U와 SW272Q는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기능이 한층 업그레이드되었다.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은 그래픽카드의 설정에 관계 없이 색상교정기를 통해 교정된 색상 데이터를 모니터에서 관리하는 방식이다. SW272U, SW272Q에서 지원하는 팔레트 마스터 얼티밋(Palette Master Ultimate) 소프트웨어는 엑스라이트(x-rite)와 데이터컬러(datacolor)의 캘리브레이터와 호환되며, 기존 팔레트 마스터 앨리먼트(Palette Master Element)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더욱 쉬운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고, 다양한 사용자 지정 설정이 가능해 더욱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벤큐 사진, 영상 전문가용 모니터는 개별 제품마다 팩토리 캘리브레이션 리포트를 제공해 정확한 Delta-E 및 감마 성능을 보장한다. 사진가를 위한 다양한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용지색상 동기화(Paper Color Sync)’ 소프트웨어를 지원하여 프린터와 인화용지에 맞는 색상을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으며, AdobeRGB 모드, sRGB 모드, DCI-P3 모드, 흑백 모드 등 다양한 색역과 색온도에 맞춰 설정된 12가지의 컬러 모드를 지원하여 작업 용도와 사용 환경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영상 소스 기기에서 컬러 모드를 다르게 설정하여 색감을 비교할 수 있는 가멋 듀오(Gamut Duo)기능뿐 아니라 차광 후드가 기본적으로 제공되어, 자연광과 산만한 반사광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더욱 정확한 색상을 확인하면서 정밀한 후보정 작업을 할 수 있다. 게다가 SW272U와 SW272Q의 미세 코팅 패널은 글로벌 인증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눈부심 및 난반사 방지 기능을 인증 받아 모니터 화면에서 한층 더 정확한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의 효율을 높여주는 다양한 기능 또한 업그레이드되었다. USB 타입-C 단자는 최대 90W 전원 공급과 대용량 전송이 가능해 데이터와 영상 송수신, 4K 영상과 음성 출력이 하나의 단자로 가능하다. 무엇보다 다이얼 조작 몇 번으로 손쉽게 화면 밝기와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핫키퍽이 한번에 최대 3대의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는 3세대 무선 핫키퍽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기존의 다이얼과 프리셋 버튼은 유지하여 손쉽게 모니터의 밝기나 볼륨을 조절, 직관적으로 빠르게 OSD를 탐색할 수 있고, 새롭게 추가된 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모니터의 색상 데이터를 즉시 제공해, 사진·영상 전문가들의 위한 작업 편의성을 높였다. 벤큐코리아 마케팅팀의 이상현 팀장은 “벤큐 SW 시리즈는 색온도, 색 재현률, Delta E 색 표준 편차 등에서 세계적인 색채 연구기관인 칼맨(CalMAN)과 팬톤(PANTONE)의 인증을 받아 많은 사진·영상 전문가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되는 SW272U와 SW272Q는 각각 DCI-P3/Display P3 99%, 98%.로 광범위한 색역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Delta E 색 편차 수치 또한 평균 1.5 이하로 수준 높은 색 정확도를 자랑한다”고 소개했다. 또한, “사진·영상 전문가의 작업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캘리브레이트 소프트웨어 팔레트 마스터 얼티밋과 3세대 무선 핫키퍽 또한 새롭게 선보인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3-09-25
SMATEC 2023, 스마트 공장 구축 컨설팅 상담회 참여 기업 모집
SMATEC 2023 전시사무국은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 공장 구축 방안을 공유하고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컨설팅 지원 기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 컨설팅 상담회’는 스마트 공장 도입 및 구축 예정 기업을 위한 1대1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으로, ‘제5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3)’의 부대행사로 마련됐다. 컨설팅 전문가 산업별 주력업종은 ▲기계·장비 ▲금속가공 ▲자동차 부품/수송 ▲반도체 ▲전기장비/전자부품 ▲화학제품 ▲고무제품/플라스틱 ▲식료품 ▲섬유제품 ▲의료정밀기기 ▲기타 제조업 등이다. 스마트 공장 구축 예정 또는 운영 중인 중소·중견 제조기업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선착순으로 마감한다. 이번 상담회에 참여하는 컨설팅 전문가는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 공장 전문가 풀에 등록이 완료돼 지역제조혁신센터(TP)에서 승인을 받아 스마트 공장 전문가로 활동 중인 기술 전문가로, SMATEC 2023 전시사무국은 이중 산업별 스마트 공장 구축 컨설팅 전문가 7명을 엄선해 함께 상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SMATEC 2023 전시사무국은 "스마트 공장을 도입 중이거나 예정인 기업들에게 자사의 공장 환경과 산업적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며, "특히 대기업 퇴직 인력 등 기술 전문가의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써 스마트 공장 구축 방안 공유는 물론이고, 애로사항 해결을 통한 스마트 공장 운영 성과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수원컨벤션센터 전시장 내 ‘SMATEC 2023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 컨설팅 상담장’에서 진행될 이번 상담회는 전시회에 참가하지 않는 기업도 신청 가능하며, 참가 신청은 SMATEC 2023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첨부된 양식 작성 후 이메일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상담회는 업체당 1시간 안팎의 컨설팅을 지원하며 100개 업체를 선착순 모집한다.     한편, 스마트 공장 구축 및 생산자동화 전문 전시회인 ‘SMATEC 2023’은 ‘첨단 제조 기술 미래의 힘’을 주제로 오는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180개 업체의 350부스 규모로 열릴 ‘SMATEC 2023’에서는 ▲모션 컨트롤 및 부품, FA 시스템, 제어계측·시험검사기기, 산업 로봇, 3D 프린팅 및 소재 관련 품목이 전시될 ‘공장자동화관’ ▲제조 자동화 솔루션 및 관련 소프트웨어가 전시될 ‘스마트공장솔루션관’ ▲물류 시스템, 유공압 기술, 용접/FINISHING 설비 등이 소개될 ‘자동화설비관’을 통해 스마트 공장 구축 및 자동화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9-22
비브스튜디오스, 초실감 버추얼 뷰티클래스 제작
비브스튜디오스는 신라인터넷면세점 사이트 및 유튜브 ‘신라TV’ 채널을 통해 공개된 ‘에스티 로더’의 ‘어드밴스드 나이트 리페어 레스큐 솔루션’을 소개하는 버추얼 뷰티클래스 제작을 진행했다고 소개했다. 경기도 곤지암에 있는 비브스튜디오스 버추얼 스튜디오에서 사전 촬영으로 제작된 ‘버추얼 뷰티클래스’는 버추얼 스튜디오의 프로덕션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공간 배경을 현장감 있게 전하는 영상을 구현했다. 리얼타임 3D 기술을 제공하는 언리얼 엔진 인카메라 VFX 기술로 제작된 밤하늘부터 항공기 일등석 객실 등의 가상 공간을 가로 27m·높이 7m의 대형 LED 월에 띄워, 실제 현장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의 초실감 버추얼 뷰티클래스 스튜디오 공간을 연출해냈다. 또 다양한 형태의 VFX 및 AR/XR 등 실감형 콘텐츠 작업을 유연하게 적용해 촬영 중 카메라에 담겨 실시간으로 촬영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버추얼 프로덕션의 장점을 활용했다. 버추얼 뷰티클래스 영상 촬영 과정 속 ‘에스티 로더’의 신제품과 신라면세점의 버추얼 휴먼 ‘신라라’ 등이 실시간으로 등장하는 연출로 현장감을 더함으로써 기존 비대면 뷰티클래스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했다.     버추얼 프로덕션은 낮과 밤, 날씨, 계절 등 자연적 요소들과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받는 기존 촬영 방식과 달리 리얼타임 3D 그래픽을 이용해 백그라운드를 구현함으로써 하늘에 구름을 추가하거나 낮과 밤을 자유롭게 오가며 시공간, 계절, 날씨의 제약 없는 촬영 환경을 제공하는 제작 기술이다. VFX 후반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영화나 드라마, 뮤직비디오, CF 광고 제작은 물론 최근 홈쇼핑이나 교육 콘텐츠 영상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비브스튜디오스의 김세규 대표는 “버추얼 프로덕션의 가장 큰 장점은 물리적 제약 없이 상상하는 모든 공간의 구현을 빠르고 완성도 높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라며, “업계 최초로 진행한 이번 신라면세점의 비대면 버추얼 뷰티클래스는 고품질 크리에이티브 영상 콘텐츠를 통해 지금껏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으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3-09-21
3D 프린팅 토털 서비스 기업 프로메테우스, ‘프로토랩’으로 사명 변경
3D 프린팅 토털 솔루션 선도기업인 프로토텍의 자회사인 프로메테우스는 회사명을 ‘프로토랩(PROTOLAB)’으로 변경하고, 고객에게 보다 신뢰 받는 원스톱 제조 토털 서비스 제공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프로토랩의 새로운 회사명은 ‘프로토타입(Prototype)’과 ‘랩(Lab)’을 결합한 것이다. 프로토랩은 고객 중심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제품 디자인, 기구 설계, 시제품 제작, 양산에 이르기까지 제품 양산 전 과정에 필요한 원스톱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프로토랩은 "25년 이상의 적층제조 경력으로 50개 이상의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6년 AS9100(항공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아 현대, 삼성, LG, 한화, KAI과 같은 대기업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프로토랩은 글로벌 적층제조 기업인 스트라타시스, 데스크탑 메탈, 트럼프 등의 최신 금속, 폴리머 산업용 3D 프린터를 보유한 대규모의 3D 프린팅실을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는 제품 디자인, 기구 설계, 3D 스캐닝, 시제품 제작, 사출 양산 등 3D 프린팅 제품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필요한 기술을 한 눈에 검토할 수 있고, 서비스도 빠르게 받을 수 있다. 프로토랩은 이러한 기술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1만 건이 넘는 프로젝트를 국내 대기업, 중견·중소기업, 연구소, 학교 등과 진행하면서 제조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스트라타시스가 세계 각지에 구축한 Global Manufacturing Network(GMN)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 프로토랩은 3D 프린팅 기술의 제조업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재직자 및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산업용 3D 프린팅 및 3D 스캐닝 교육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 과제를 통해 수요기업과 3D 프린팅 기술 발전과 양산 부품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프로토랩의 신상묵 대표는 “산업 대전환 시대를 맞아 제조업계의 경쟁력 강화가 절실한 이 때 프로토랩은 지속적인 공정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며, “도전적인 과제에 고객사와 함께 도전하며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3-09-21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팅 포럼 2023’에서 적층제조 기술을 통한 제조업 혁신 전략 제시
스트라타시스가 10월 11일 더블트리바이힐튼 서울 판교 그랜드 볼룸에서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팅 포럼 2023’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3D 프린팅 포럼’은 2019년 이후 4년만에 스타라타시스가 진행하는 오프라인 행사로, ‘Making Additive Work for You’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스트라타시스는 "기후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는 환경하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제조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돕고,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의 3D 프린팅 고객 성공사례를 소개하여 제조업 분야의 기술 혁신과 패러다임 변화를 도우려는 취지"라고 밝혔다. 행사에서는 스트라타시스 문종윤 지사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스트라타시스의 글로벌 임원들이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크리스티안 알바레즈(Christian Alvarez) 최고 수익 책임자(CRO)는 ‘적층 제조 산업의 혁신’이라는 주제로, 얀 라그엘(Yann Raguel) 산업 비즈니스 부문 부사장은 ‘적층제조 기술 양산 가속화’에 대해, 지하빗 레이진(Zehavit Reisin) 소비자 솔루션 글로벌 세일즈 및 재료 비즈니스 부문 수석 부사장은 ‘유연하고 지속가능한 적층제조’에 대해 발표하고, 아시아 지역 최신 고객 사례로는 FDM & Origin One 기술을 활용한 일본 ‘Trytec사의 파이프 & 인공지능 로봇 부품 개발 사례’에 대해 김대경 Pre-Sales & Application Engineer가 발표한다.     또한, 스트라타시스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융합 증착 모델링), 폴리젯(PolyJet), P3, SAF, SLA 등 핵심 3D 프린팅 기술과 함께 전자, 항공, 방산,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고객 성공사례를 선보인다. 박인백 LG 전자 AM솔루션 팀장, 전현희 한국항공우주산업 책임연구원, 장진수 육군종합정비창 사무관, 홍재옥 글룩 대표이사, 김영신 실피드 디자인 팀장, 임성한 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등 여섯명의 연사가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의 주요 고객사의 적용 사례를 통해 대한민국 제조업의 혁신과 성공을 위해 필요한 3D 프린팅 기술의 강점을 소개한다. 이어 3D 프린팅 소프트웨어인 GraCAD소프트웨어 솔루션과 GrabCAD Print Pro의 새로운 기능 및 기술 트렌드에 대해 스트라타시스 코리아 어플리케이션 팀장 고유성 부장이 공유한다. 행사장 한편에는 전시존이 마련되 발표에서 소개되는 항공, 자동차, 전자, 패션, 의료 및 소비재 애플리케이션의 국내외 적층 제조 사례의 부품 및 제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스트라타시스 문종윤 지사장은 “스트라타시스의 글로벌 임원진들과 국내외 주요 고객사와 함께 성공 사례를 선보이고 업계 관련 인사이트와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게 됐다”면서, “이번 포럼을 통해 디지털 전환 및 비즈니스 가치 실현 등 3D 프린팅의 이점을 소개하고, 대한민국 제조업의 혁신과 성공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3-09-20
맥스트, MAXST AR SDK 6.1.0 업데이트 론칭
맥스트가 AR 개발 플랫폼의 인식 성능을 업그레이드한 MAXST AR SDK 6.1.0 버전을 선보인다. 지난 5월 선보인 6.0 버전 이후, 이번 업데이트 버전에서는 주요 인식 성능을 향상시켜 보다 현실감 있는 AR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MAXST AR SDK 6.1.0 버전은 패키징 기능을 도입해 인식 가능한 타깃의 개수와 속도를 늘렸다. 2D 오브젝트 타깃은 기존 50개에서 최대 1000개까지, 3D 타깃은 기존 3개에서 최대 25개까지 불러올 수 있게 되었다. 공간은 최대 5개까지 로드하여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다. 또한 3D 공간인식 및 AR 콘텐츠 트래커 기능(Object Tracker, Object Fusion Tracker, Space Tracker)을 개선하여 먼 거리에서도 사물 및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카메라 각도 변화에 대한 추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맥스트는 이번 업그레이드로 공간 및 오브젝트에 대한 인식 정확도가 향상돼, 다양한 분야에서 사실감 있는 AR 경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게임이나 교육 분야에서 캐릭터나 오브젝트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실적인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고, 다수의 이미지와 3D 모델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생생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AR 쇼핑과 관광/문화 분야에서는 상품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제공으로 편리한 쇼핑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풍부한 AR 여행 경험과 문화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공장 등 산업 현장에서도 AR 기술을 적용해 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정교하게 해결할 수도 있다. MAXST AR SDK는 현재까지 약 50여개 국에서 총 8500개가 넘는 AR 앱의 개발 키트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3D 오브젝트 맵 데이터 생성 툴인 'Visual SLAM Tool'과 공간 맵 데이터 생성 툴인 'MAXSCAN'도 업데이트하여 선보인다. 업데이트된 앱으로 생성된 맵 데이터는 새로운 형식으로, AR SDK에 패키징 기능 도입을 가능하게 했다. 패키징은 서버 접속 없이 로드 가능한 타깃의 개수와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맥스트의 조규성 부사장은 “이번 6.1.0 업데이트를 통해 AR 앱의 서비스 영역이 보다 확장되기를 바란다”면서, “맥스트의 AR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일상에서 완성도 높은 AR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한 “XR 메타버스 시장은 애플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디바이스 발전과 함께 계속해서 성장하게 될 것이며, 당사는 현재 AR 원천기술을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의 영역까지 확장 진보시켜, 비전 프로 등 차세대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