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AI기술"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0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5 초대합니다(2/14 금, 백범김구기념관) - 얼리버드 무료 선착순 이벤트
아래 내용이 보이지 않으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행사 아젠다 소개 공통 세션 [개회사]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신안식 회장 [기조연설] 산업AIX (AI Transformation) – 산업 생산성 관점에서 ‘파괴적 혁신’이 가능한가? / 원프레딕트 윤병동 CEO(서울대 교수)    [기조연설] 조선 디지털 혁신과 디지털 트윈 / HD현대삼호 유영웅 상무     [기조연설] 인간과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으로 소통하다 / 소프트힐스 최우영 부사장       Track A (Digital Engineering & Construction) AVEVA E3D의 AI기술 소개 / 아비바코리아 김민규 프로 플랜트 스마트 설비/공정 원격 진단 및 최적화 솔루션 개발 성공사례 / 포스코이앤씨 박종환 차장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새로운 도시모델 연구(New Urban Model for Future Mobility) / 현대건설 박혜성 책임연구원   국내 대기업 사례로 보는 R&D 디지털 전환 전략 / 클루닉스 사업본부 박정환 이사 SK에너지 Smart Plant 추진 사례 / SK에너지 박혜준 PM   Process 산업의 디지털 트윈 성공 전략과 도입 가속화 방안 / PwC컨설팅 신민용 파트너      Track B (Smart Ship & Smart Tech)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플랜트 조선 업계의 자원 효율화 방안 제시 / 팀솔루션 송희삼 상무 HD현대미포 조선 특화 Digital Manufacturing 구축 현황 소개 / HD현대미포 김성민 부서장 삼성중공업 AI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무인화 사례 소개 / 삼성중공업 윤시록 그룹장  DX전환의 마지막 퍼즐 - 성과제 시스템 / 세이브잡스 장용진 대표 #플랜트조선컨퍼런스2025 #플랜트조선컨퍼런스 #플랜트 #조선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전환 #디지털트윈 #DT #DX #플랜트조선산업전망 #HD현대삼호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SK에너지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아비바코리아 #소프트힐스 #클루닉스 #팀솔루션 #다우데이타 #씨앤지소프텍 #세이브잡스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캐드앤그래픽스 #플랜트조선산업동향 #도시설계 #미래모빌리티 #AI #인공지능 #생성형AI
작성일 : 2025-01-15
국내 대표 AI 기업·서비스 사례집 소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AI기술을 바탕으로  산업 혁신 및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K-AI Power를 선보이기 위해  국내 대표 AI 기업·서비스의 Usecase를 담은 사례집을 발간하여 소개드립니다. 국내 AI기업 대상 설문조사, 직접조사를 바탕으로 자문회의 등을 거쳐 총 52개 기업을 선정하였고, 기업별 소개 및 서비스 내용과 더불어 UN에서 정의한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17개에 따른 기여 부분을 정리하였습니다.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사회발전, 경제성장, 환경보전 등 문제 해결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국제적 공동목표(UN, ’15.09) 목차 한눈에 보는 K – AI Power     AI로 이루고 싶은 지속가능발전목표 UN-SDGs     AI기술 이해를 위한 용어 43     참여 AI 업체 리스트 1. 헬스케어 루닛 뷰노 이마고웍스 2. 환경·에너지 슈프리마 시큐레이어 3. 제조 라온피플 마키나락스 씨메스 엠아이큐브솔루션 4. 교통·물류 렉스젠 로보티즈 핀텔 5. 교육 매스프레소 오픈놀 6. 금융 디셈버앤컴퍼니 메사쿠어컴퍼니 에이젠글로벌 7. 법률 로앤컴퍼니 8. 미디어/컨텐츠 네오사피엔스 씨이랩 업스테이지웨인힐스브라이언트에이아이 9. 농업·어업·축산업 한국축산데이터 10. 보안·관제·안전 슈프리마 시큐레이어 씨유박스 알체라이 글루코퍼레이션 인텔리빅스 11. 기타(공통분야)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노타 뤼튼테크놀로지스 마음에이아이 모레  무하유 바이브컴퍼니  비아이매트릭스 비큐 AI 셀바스에이아이  솔트룩스 슈어소프트테크 아크릴 애자일소다  와이즈넛  이스트소프트  인피닉 코난테크놀로지  크라우드웍스 클루커스 포지큐브 포티투마루   출처 : NIPA 발행일 : 2024. 12 https://www.nipa.kr/home/2-1/15766  
작성일 : 2025-01-09
[연간일정]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2025년 연간 교육프로그램 안내
2025년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건설플랜트기술교육원 연간 교육프로그램 안내입니다. ■ 주최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www.kapit.or.kr ■ 교육 문의 : 02-333-6900, plant@cadgraphics.co.kr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margin: 20px; } table { width: 100%; border-collapse: collapse; margin-bottom: 20px; } th, td { border: 1px solid #ddd; text-align: center; padding: 8px; } th { background-color: #4472c4; color: white; } .nowrap { white-space: nowrap; } .text-left { text-align: left; } .highlight { background-color: #f9f9f9;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2025 강의 일정표(예정)   강의일정 과정명 과정상세 시간(일) 2025년 1월 22일(수) 프로젝트의 AI기술 적용기법 주중과정 4h 1월 23일(목) 원가적산 및 계약관리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1월 24일(금) 수주영업관리 및 영업력증대방안 주중과정 7h (1일간) 2월 15(토), 16(일), 22(토), 23(일) 미국국제공인 프로젝트관리전문가(PMP) 양성 과정 주말과정 35h (8h/일, 4일간) 2월 27일(목)~28일(금) 리스크관리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3월 17일(월)~19일(수) 프로젝트개발(PPP)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21h (7h/일, 3일간) 3월 26일(수) AI를 이용한 의사소통관리기술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3월 27일(목)~28일(금) 의사소통관리(리더십)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4월 15일(화)~18일(금) 글로벌프로젝트관리전문가(GPMP) 자격 과정 주중과정 28h (7h/일, 4일간) 4월 22일(화)~25일(금) 공정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28h (7h/일, 4일간) 4월 29일(화)~30일(수) 품질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5월 27일(화)~28일(수) 구매조달물류관리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5월 29일(목)~30일(금) ESG경영관리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6월 21(토), 22(일), 28(토), 29(일) 미국국제공인 프로젝트관리전문가(PMP) 양성 과정 주말과정 35h (8h/일, 4일간) 6월 26일(목) AI 기술을 적용한 프로젝트관리 기법 주중과정 4h 6월 27일(금) 플랜트공정설계 기본과정 주중과정 7h (1일간) 7월 21일(월) 공사입찰.계약.클레임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7월 22일(화) 플랜트전기설계 및 시공관리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8월 27일(수) 플랜트배관설계 기본과정 주중과정 7h (1일간) 8월 28일(목)~29일(금) 자원(인력.기자재.장비)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PM 및 전문 분야 연간 교육 일정입니다. * 교육 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개설된 것 이외의 원하시는 강좌가 있거나, 강사로 활동하고 싶은 분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 교육 문의 : 02-333-6900, plant@cadgraphics.co.kr * 플랜트 코드교육은 별도 일정으로 상하반기 개설 예정입니다. (2025년 4월, 11월(또는 9월 예정) -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시 예정 * 캐드앤그래픽스 2025 연간 교육 일정(예정) 참고  2/20(목) -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DX/PLM 교육 7/3(목) - 디지털트윈교육 11/21(금) - 건축AI 교육  
작성일 : 2024-12-23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2025년 연간 교육프로그램 안내
2025년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건설플랜트기술교육원 연간 교육프로그램 안내입니다. ■ 주최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www.kapit.or.kr ■ 교육 문의 : 02-333-6900, plant@cadgraphics.co.kr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margin: 20px; } table { width: 100%; border-collapse: collapse; margin-bottom: 20px; } th, td { border: 1px solid #ddd; text-align: center; padding: 8px; } th { background-color: #4472c4; color: white; } .nowrap { white-space: nowrap; } .text-left { text-align: left; } .highlight { background-color: #f9f9f9;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2025 강의 일정표(예정)   강의일정 과정명 과정상세 시간(일) 2025년 1월 22일(수) 프로젝트의 AI기술 적용기법 주중과정 4h 1월 23일(목) 원가적산 및 계약관리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1월 24일(금) 수주영업관리 및 영업력증대방안 주중과정 7h (1일간) 2월 15(토), 16(일), 22(토), 23(일) 미국국제공인 프로젝트관리전문가(PMP) 양성 과정 주말과정 35h (8h/일, 4일간) 2월 27일(목)~28일(금) 리스크관리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3월 17일(월)~19일(수) 프로젝트개발(PPP)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21h (7h/일, 3일간) 3월 26일(수) AI를 이용한 의사소통관리기술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3월 27일(목)~28일(금) 의사소통관리(리더십)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4월 15일(화)~18일(금) 글로벌프로젝트관리전문가(GPMP) 자격 과정 주중과정 28h (7h/일, 4일간) 4월 22일(화)~25일(금) 공정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28h (7h/일, 4일간) 4월 29일(화)~30일(수) 품질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5월 27일(화)~28일(수) 구매조달물류관리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5월 29일(목)~30일(금) ESG경영관리 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6월 21(토), 22(일), 28(토), 29(일) 미국국제공인 프로젝트관리전문가(PMP) 양성 과정 주말과정 35h (8h/일, 4일간) 6월 26일(목) AI 기술을 적용한 프로젝트관리 기법 주중과정 4h 6월 27일(금) 플랜트공정설계 기본과정 주중과정 7h (1일간) 7월 21일(월) 공사입찰.계약.클레임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7월 22일(화) 플랜트전기설계 및 시공관리 실무 주중과정 7h (1일간) 8월 27일(수) 플랜트배관설계 기본과정 주중과정 7h (1일간) 8월 28일(목)~29일(금) 자원(인력.기자재.장비)관리전문가 자격 과정 주중과정 14h (7h/일, 2일간) * 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PM 및 전문 분야 연간 교육 일정입니다. * 교육 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개설된 것 이외의 원하시는 강좌가 있거나, 강사로 활동하고 싶은 분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 교육 문의 : 02-333-6900, plant@cadgraphics.co.kr * 플랜트 코드교육은 별도 일정으로 상하반기 개설 예정입니다. (2025년 4월, 11월(또는 9월 예정) -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시 예정 * 캐드앤그래픽스 2025 연간 교육 일정(예정) 참고  2/20(목) -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DX/PLM 교육 4/18(금) - VPD(CAE/제어/1D 교육) 7/10(목) - 디지털트윈교육 11/21(금) - 건축AI 교육  
작성일 : 2024-12-18
파수, FDI 서밋에서 AI시대의 데이터 관리 전략 제시
파수가 9월 12일 오전 ‘FDI 서밋 2023(Fasoo Digital Intelligence Summit 2023)’을 개최, AI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및 보안 전략을 제시하고 관련 로드맵을 공개했다.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개최된 FDI 2023은 ‘생성형 AI 시대를 준비하는 데이터 관리 및 보안 전략’을 주제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과 기관 CIO 및 CISO 50여 명이 함께했다. 총 3개의 세부 세션으로 구성돼, ‘기업의 생성형 AI 활용 현황 설문조사 결과 분석’, ‘생성형 AI 시대의 데이터 관리 및 보안 전략’, ‘파수의 AI 현재와 미래’가 소개됐다.  먼저 이강만 파수 부사장이 발표한 첫번째 세션에서는 파수가 지난 7월 진행한 ‘생성형 AI 활용 현황’ 설문조사의 세부 결과가 공개됐다. 국내 보안, IT 담당자 1,012명이 참여한 설문 결과, 프라이빗 AI 서비스 도입에 대한 높은 관심에 비해 현실적인 준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I 학습을 위한 조직 내 ROT(Redundant, Obsolete, Trivial: 중복되고 오래된,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 관리에 대해 56%가 ‘관리 노력은 하지만 정확한 현황 파악은 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관리되지 않는 ROT 데이터는 ‘민감정보 및 개인정보 유출’(63.1%, 중복응답)과 ‘데이터 관리 및 유지 비용’(48.5%) 등의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우려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실제 조직에서 생성형 AI를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모델별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나눴다. 발표를 맡은 김용길 파수 상무는 조직 내 생성형 AI도입을 위한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제시하며, AI를 학습시킬 내부 데이터의 양과 질이 AI 활용의 성공을 결정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생성형 AI 언어 모델의 알고리즘 특성을 고려하면 최적의 학습 데이터 유형은 일반 텍스트형이며, 보통 조직 내에서 일반 텍스트의 90% 이상이 문서형 데이터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부 비정형 문서 데이터의 자산화, 버전 관리, ROT 관리를 위한 최적의 방안으로 콘텐츠 가상화 기술을 제안하고, 해당 기술 기반의 차세대 문서관리 플랫폼 ‘랩소디(Wrapsody)’를 소개했다.  마지막 윤경구 파수 전무 세션에서는 AI 시대 데이터 관리와 보안을 위한 파수의 로드맵을 공개했다. AI기술 기반으로 비정형 데이터 내 개인정보를 식별 및 보호하는 ‘파수 AI-R Privacy(Fasoo AI Radar Privacy)’는 LLM 활용시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올해 11월 경 출시될 ‘파수 AI-R DLP(Fasoo AI Radar DLP)’는 인증관리와 접근제어, 데이터 트랜잭션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생성형 AI로 내보내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내년 초 선 뵐 예정인 기업용 프라이빗 LLM ‘파수 엔터프라이즈 LLM(Fasoo Enterprise LLM)’도 공개됐다. 한글과 영어를 기본 언어로 갖춘 거대 언어 모델인 파수 엔터프라이즈 LLM은 고객별 파인튜닝(미세 조정)을 지원한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AI의 도입과 활용은 산업의 구분을 넘어 모든 기업과 기관에 가장 중요한 과제로 자리잡을 것이며, 이에 발빠른 내부 점검과 대응이 시급하다”며, “파수는 AI의 수준을 결정하는 학습 데이터의 관리 및 보안을 위한 솔루션 외에도, 내년 초에는 프라이빗 LLM도 선보이는 등, AI 활용을 위한 혁신 방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9-12
인텔코리아, 국내 AI 생태계 조성 위한 ‘2022 인텔 로보틱스 서밋’ 개최
인텔코리아는 6월 16일 ‘2022 인텔 로보틱스 서밋(2022 Intel Robotics Summit)’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웨비나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에지 AI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로봇 솔루션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에지 AI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인텔코리아는 지난 2019년 국내 AI 기술 생태계 조성 및 최신 기술 도입 가속화를 위해 ‘에지 AI 포럼’을 처음 개최했으며, 올해는 인텔 로보틱스 서밋으로 이름을 변경해 3회째를 맞았다. 올해 행사는 최근 산업, 소매, 의료,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보틱스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이 증가하는 등 높아지고 있는 업계 관심을 반영했다. 2022 인텔 로보틱스 서밋에서는 12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와 인텔 누크(Intel NUC) 등 인텔의 로보틱스 분야의 전략과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로봇의 눈이라고 할 수 있는 인텔 리얼센스(Real-sense) 카메라의 최신 기술을 시연하고, 국내외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인텔 리얼센스 카메라는 3차원 깊이(depth) 정보를 추가 제공해 로봇에 적용하면 충돌회피, 위치 및 지형 인식, 거리측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인텔은 로봇 손목용 근거리 3D 카메라인 D405, 반사광이 심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외선 필터를 적용한 D435f 등 신제품을 최근 출시한 바 있다. 인텔 리얼센스 카메라는 하드웨어 출시와 함께 SDK도 제공, 개발자들이 관련 솔루션 개발에 도움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기조연설에서 인텔의 산업 솔루션 부문을 총괄하는 크리스틴 볼스(Christine Boles) 네트워크 & 에지 그룹 부사장은 “기업은 로봇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며 혁신의 기회를 늘릴 수 있다”며 “인텔은 인텔 파트너 얼라이언스라는 광범위한 에코시스템 파트너 커뮤니티와 기업을 연결해 혁신적인 로봇 기술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인텔코리아 임익철 상무의 ‘인텔 로보틱스 전략 및 솔루션 소개’와 인텔코리아 김충현 부장의 ‘로봇 개발을 위한 인텔 카메라 제품 및 적용 사례 발표’ 세션이 진행됐다. 이와 함께, 국내 로봇솔루션 개발 업체인 크로스젠과 클로봇이 인텔 로보틱스 솔루션 활용 및 도입 사례를 발표했다. 크로스젠의 박효진 이사는 ‘인텔 NUC를 활용한 로봇 개발 및 사례 발표’ 세션을 통해 인텔 기술이 보다 나은 로봇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했다. 박상균 클로봇 이사는 ‘병원로봇서비스 적용 사례–인텔 리얼센스 기술’ 발표를 통해 이기종 및 다수의 로봇을 병원에 적용, 통합관제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수직이동을 최초로 구현한 방식에 대해 소개했다. 해당 사례에 적용된 의료용 로봇은 인텔 리얼센스 기술을 이용한 센서퓨전을 통해 주행환경에 존재하는 병원 내 다양한 장애물을 인식하여 주행에 반영할 수 있다. 인텔코리아의 권명숙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팬데믹으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경제, 비접촉 문화의 확산으로 로보틱스와 AI기술 활용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국내 파트너사들과 인텔 AI기술을 활용한 로보틱스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작성일 : 2022-06-17
인텔코리아, '2020 엣지 AI 포럼' 개최
인텔이 '2020 엣지 AI 포럼'을 개최하고 엣지 AI 기술과 최신 기술 트렌드 및 새로운 협력 사례를 공유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는 라이브 온라인 중계 및 웨비나를 통해 진행됐다. 인텔은 한화테크윈, 대동공업, 펀진, 아이쓰리시스템과 함께 기업들이 당면한 엣지 AI 과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AI 혁신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엣지 컴퓨팅은 AI를 활용해 분산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독립 시스템, 디바이스 등 데이터가 생성되는 지점 근처에서 인사이트를 얻는다. 중앙 데이터 센터 외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총 데이터의 75%에 이르며, 데이터 발생 지점 인근에서 처리함으로써 새로운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 실시간으로 회복성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인텔과 파트너는 다양한 개방형 표준과 API를 기반으로 구축된 엣지 지원 컴퓨팅, 연결성, 메모리 및 스토리지 기술 포트폴리오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그리고 인텔은 완벽히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서 스택까지 포괄하는 제로 트러스트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권명숙 인텔코리아 사장은 환영사에서 엣지 AI 기술과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데이터가 생성되는 지점인 엣지에서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제공할 필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를 발굴하고, 새로운 사업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엣지 AI 솔루션은 물론 이를 적용하고 관련 노하우를 공유할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권명숙 사장은 엣지 AI 포럼이 AI 솔루션의 도입과 사업화를 위한 국내 기업들과의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환영사를 마무리했다. [사진] 인텔코리아 권명숙 사장   이어진 기조연설에서 저스틴 크리스티안슨(Justin Christiansen) 인텔 IOTG 부문 엣지 AI 세일즈 총괄은 ‘엣지 AI 및 비전 테크놀로지의 IoT 시장 트렌드’를 주제로 발표했다. 크리스티안슨 총괄은 발표에서 분산된 엣지, 네트워크,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동하는 엄청난 데이터로 인해 데이터가 생성되는 곳과 가까운 곳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하고, 학습 및 추론하기 위해 엣지 AI의 활용성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엣지 AI는 엄청난 데이터를 처리할 뿐 아니라 지연 시간을 없애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며, 연결성, 보안 및 프라이버시를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텔은 더 높은 수준의 인텔리전스와 효율성을 제공하고 파트너와 협력을 통해 활용사례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인텔의 엣지 AI 솔루션 에코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한화테크윈 R&D 센터장인 정원석 상무가 ‘엣지 디바이스(Edge Device)의 AI기술 상품화 현황’을 주제로 작년부터 진행된 인텔과의 협력과 시스템 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2018년 인텔의 제온 프로세서를 탑재해 서버형 NVR(Network Video Recorder)을 출시한 한화테크윈은 올해 아폴로레이크와 8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NVR을 출시할 예정이다. 해당 솔루션은 향후 인텔 모비디우스(Intel Movidius) VPU와 인텔 오픈비노 툴킷(Intel OpenVINO Toolkit)을 바탕으로 인텔 AI 알고리즘을 사용한 영상 분석 기능을 적용할 계획이다. 국내 1위 농기계 기업 대동공업㈜과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펀진은 ‘스마트 농기계 중심의 정밀농업 기술 개발 현황’을 주제로 인텔의 엣지 AI 솔루션을 기반 자율주행 농기계 구현 계획을 발표했다. 감병우 대동공업㈜ 미래사업추진실 실장은 정밀한 농업을 위한 엣지 AI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인텔, ㈜펀진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 예정인 자율주행 농기계를 소개했다. 김득화 ㈜펀진 총괄사장은 인텔 오픈비노로 비전 컴퓨팅을 구현하고, 아폴로레이크를 기반으로 리얼센스 뎁스 카메라(4채널)를 탑재해 트랙터, 콤바인에 최적화된 자율주행 컨트롤러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적외선 영상센서를 개발 및 제조하는 아이쓰리시스템은 ‘팬데믹 극복을 위한 AI 열영상 카메라’를 주제로 최근 코로나19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열영상 카메라에 인텔 오픈비노 툴킷(Intel OpenVINO Toolkit)을 바탕으로 AI 알고리즘을 적용한 새로운 제품을 소개했다. 정한 아이쓰리시스템 대표는 인텔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해 맵핑 알고리즘을 고도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인텔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한 열영상 카메라는 객체 탐지 및 타사 솔루션 대비 높은 정확도의 온도 측정 기능을 탑재해 방역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 세션에서는 권명숙 인텔코리아 사장과 한화테크윈 정원석 상무, 감병우 대동공업 미래사업추진실 실장, 김득화 펀진 총괄사장, 정한 아이쓰리시스템 대표가 각 회사별로 AI 전략 및 인텔과의 협력 사례에 대해 공유했다. [사진] 인텔 코리아 2020 엣지 AI 포럼 패널 토론   한편, 이날 인텔은 대동공업 및 펀진과 ‘인텔 엣지 AI 솔루션 기반 정밀농업 구현을 위한 기술과 자율주행 제품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MOU’ 협약을 맺었다. 또한 아이쓰리시스템와는 인텔 엣지 AI 솔루션 기반 및 코로나19 방역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발열 측정 열영상 카메라의 기술 혁신과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진행했다. 저스틴 크리스티안슨(Justin Christiansen) 인텔 IOTG 부문 엣지 AI 세일즈 총괄은 “실시간으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점점 다양한 산업군에서 컴퓨터 비전과 AI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인텔은 다양한 시장에서 파트너들과의 협력 경험을 기반으로 한국 기업들에게 최적화된 엣지 AI 솔루션을 제공하고,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원석 한화테크윈 R&D 센터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협력을 통해 인텔 CPU와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보다 향상된 시스템을 NVR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도 고객이 현재와 미래 환경에 필요로하는 제품을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감병우 대동공업 미래사업추진실 실장과 김득화 펀진 총괄사장은 “인텔의 엣지 AI 솔루션을 기반으로 보다 정밀한 농업을 위한 자율주행 농기계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한 아이쓰리시스템 대표는 “코로나19로 열영상 카메라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텔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 객체 탐지 및 온도 측정이 가능한 엣지 AI 솔루션으로 방역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0-07-29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창원에서 ‘2019 AI 팩토리 컨퍼런스’ 개최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는 오는 10월 29일 창원컨벤션센터 컨퍼런스룸(301-302호)에서 산업지능화를 위한 ‘2019 AI 팩토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AI 팩토리 컨퍼런스’에 300여명이 참가하며, AI기반의 스마트제조 기술 적용 사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에 협회는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개최되는 창원 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과 연계하여 ‘2019 AI 팩토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스마트제조산업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산업지능화 방안’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전자부품연구원이 공동 주관하고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후원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인공지능 기술 선도기업 및 전문가들이 모여 산업별로 최적화된 AI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전략과 핵심 기술 및 적용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글로벌 산업 지능화 Best Practice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의 역할 △ 산업별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AI 기술 및 단계별 AI기술 도입 절차 △AI 기반의 산업지능화를 통한 제조 혁신 사례 및 전략을 제시한다.   AI 팩토리 컨퍼런스와 더불어 창원컨벤션센터 내 협회 홍보관 및 공급기업 연합관 운영을 통해 수요-공급기업 업종별 맞춤형 진단 컨설팅 제공과 스마트공장 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행사는 자동차, 전기/전자, 철강 등 全 제조업 관련 기업, 4차산업혁명분야 관련 기업, 일반인 등 누구나 무료로 참석 가능하며, 온라인 사전등록 및 행사당일 현장등록을 통해 참가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작성일 : 2019-10-15
국내 최초, 인공지능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보다!
2018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이 지난 7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었다. 인공지능(AI) 기술 정보를 공유하고 AI 아이디어경진대회 등을 통해 체험할 수 있는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을 비롯한 6개 기관과 한국IBM 등 9개 관련단체 및 학계의 참여 속에 진행되었다. AI EXPO KOREA 첫 막을 올리다! 인공지능(AI)은 이제 우리 삶과 사회와 산업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는 거대한 흐름이다. 인공지능은 다양한 관점에 있지만 일각에서는 발전된 인공지능 관련 제품과 서비스가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꿀 것으로 전망하기도 한다. 인공지능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것은 그리 녹녹치 않지만 확실한 것은 사회와 산업전반에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요 몇 년 새 국내외 최고의 이슈이자 화두인 인공지능의 미래와 산업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될 것인지, 인공지능 기술이 가져오는 산업 변화, 관련 기술과 플랫폼·솔루션, 인공지능 기반 비즈니스 모델, 국내외 인공지능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다양한 산업에서 인공지능 적용 및 도입 전략 등 국내 최초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제조업과 융합산업 혁신을 이끌 인공지능의 모든 것을 한눈에 확인하고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장이 펼쳐졌다. 한국인공지능협회, 인공지능신문, 스토리앤플랜, 서울메쎄인터내셔널이 공동 주관으로 개최된 2018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에는 국내외 AI 전문 업체, 기관, 단체 73곳이 참가했다. 주요 출품 및 전시품목으로는 ‘A I Elemental Technologies·하드웨어·소프트웨어’ 분야의 머신러닝,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 강화 학습, 자연어, 음성인식, 이미지인식, AI칩·부품, 컴퓨팅, 플랫폼·솔루션 등이 출품되었다. 이와 함께 ‘AI Applications & Services’분야로 챗봇 및 어시트턴트, 5G·네트워크, IoT, 자율주행, 의료·헬스케어, 금융, 보안, 제조·유통·소매, AI로봇, 웨어러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홈, 드론·UAV, 콜센터·컨텍센터, 예측유지보수, AI컨설팅 등이 출품되었다. 성황이룬 ‘인공지능 유저컨퍼런스’와 ‘인공지능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 이번 전시회에서는 최신 AI기술 및 솔루션 전시뿐만 아니라 ‘인공지능경진대회’, ‘AI 유저 컨퍼런스’, ‘부대 세미나’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동시 개최 행사로는 ‘스마트 커넥티드 월드(Smart Connected World) 및 ‘인공지능 인력 1:1 매칭’, ‘AI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데모데이’ 등이 진행되었다. 이중에서도 전시장 내에서 공개컨퍼런스로 개최된 ‘AI Skill up Seminar: 인공지능과 디지털헬스케어’ 인공지능 유저컨퍼런스에서는 서울아산대학교 김남국 교수가 ‘인공지능과 의료 : 공포와 과장을 넘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이어 ‘미래 의료패러다임 전환, AI와 정밀의료’를 주제로 한 세선 1과 AI를 통한 디지털 헬스케어 저변확대를 주제로 한 세선 2 발표가 진행되었다. “헬스케어에서 생물학적 특성, 건강 이력, 웰빙 상태, 가는 곳, 지출 내역, 수면 상태, 식사와 배설/실험 기록, 의학 영상, 유전정보, 액체생체검사, 심전도/보험금 청구서, 임상시험, 처방전 등 모든 자료들이 빅데이터로 활용된다”고 설명하는 김남국 교수는 최근에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차트에 적은 후, 사무실로 돌아가 병원 EHR에 일일이 수치를 입력하고 데이터를 환자의 손목밴드에서 자동 업로드, 간호사가 병실에서 휴대용 장비로 입력해 모니터링 기술에 탑재된 AI기반 경고 시스템을 통해 생체신호의 미세한 변하를 감지해 사전에 위급한 상황을 방지하는 ‘EMR + IoT’ 인공지능 기술도 의료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병원 현장의 인공지능 적용 시나리오에 기반한 실용화 가능한 인공지능 개발이 중요하다”며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기술혁신은 환자의 생명 향상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전시회 마지막 날인 11일에는 ‘스마트 커넥티드 월드 2018’ 컨퍼런스가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미국인공지능학회(AAAI)가 수여하는 혁신적 인공지능 응용상을 5회 수상한, 홍콩시립대 앤디 천(Andy Chun) 교수가 ‘인공지능과 프라이버시: GDPR’ 이란 주제로, 한국정보화진흥원장(NIA) 문용식 원장이 ‘AI 시대, NIA의 대응’, 한국 IBM 유부선 상무가 ‘인공지능: 인지컴퓨팅 실현을 위해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IT 인프라’라는 각 주제로 기조강연과 중국, 일본, 홍콩 등의 인공지능 기반서비스 기업 대표와 전문가의 발표로 이어졌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을 Amazon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 아마존웹서비스 양승도 솔루션아키텍트는 “Digital Transformation에서 인공지능/머신러닝 분야의 깊은 경험은 비즈니스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이 된다”며 “아마존은 설립 초기에서부터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투자했으며 고객에게 지식과 역량을 공유하며 인프라를 확충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특히 양승도 솔루션아키텍트는 “인공지능이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이유는 ‘혁신을 리딩하는 포지셔닝’과 ‘모든 것을 연결하는 중심’ 그리고 결국 데이터 유치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함”이라고 덧붙였다. 또 AI 기술 및 비즈니스 적용 사례 소개를 통해 스마트공장에 딥러닝기반 솔루션 적용 방안을 제시한 라온피플 추연학 이사는 강화학습, 딥러닝, 인공지능의 단계 등을 소개하며 인공지능 기술 알고리즘을 어떻게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자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이상진 한국인공지능협회장은 “이번 행사는 AI와 관련 솔루션을 공급하고자 하는 기업 및 AI 관련 기술을 도입하고자 희망하는 사용자의 ‘자발적 네트워킹 기회’를 통한 산업 발전과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기획됐다”며 “다양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보유한 인공지능 기업과 사용자가 상호 교류하고 비즈니스 기회와 협력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