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7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GR3N과 플라스틱 재활용 위한 개방형 자동화 시스템 구축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폐 폴리에스테르(PET)의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보유한 스위스 기업 ‘GR3N’과 첨단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을 위한 최초의 개방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98%가 화석연료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은 생산부터 폐기까지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소재로, 기후변화 대응에 큰 장애물로 꼽히고 있다. 플라스틱의 전 세계 수요는 206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의 양이 물고기의 수를 초과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종류나 성분이 다양해 재활용 자체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2022년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비율은 9%에 불과하다. GR3N은 폐 플라스틱의 순환성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인 MADE(Microwave Assisted DEpolymerization)를 선보이고 있다. 이는 PET를 화학적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포장재 및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신품과 같은 품질의 새로운 PET 펠릿(pellet)으로 재결합한다. 알칼리 가수분해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기술보다 더 많은 불순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GR3N은 IEC 61499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인 에코스트럭처 오토메이션 엑스퍼트(EcoStruxure Automation Expert)를 도입하여 스페인에 MADE 공장을 새롭게 구축할 예정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EAE는 UAO 런타임 엔진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이다. 이는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서 분리하고 여러 자동화 공급 업체의 제안을 원활하게 통합하도록 설계돼 산업 분야에서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산업 자동화 시스템 통합업체 및 OEM에게는 보다 뛰어난 민첩성과 간편함을 제공한다. GR3N의 스페인 MADE 공장은 UAO 런타임 엔진을 사용하는 최초의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으로, 연간 4만 톤 이상의 PET 폐기물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GR3N의 파비오 실베스트리(Fabio Silvestri) 마케팅 및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및 하드웨어 독립성을 통해 GR3N은 운영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기술의 한계를 확장할 수 있었다”면서, “특히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때 시스템을 빠르게 재구성할 수 있었고, 하드웨어에 구애받지 않는 시스템 덕분에 공급망 문제도 줄일 수 있다. 이는 대규모로 고급 플라스틱 재활용을 실현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크리스토프 드 마이스트르(Christophe de Maistre)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자동화 부문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4억 6000만 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 주기 전체에 걸친 통합,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모듈화, 그리고 고급 분석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솔루션이 필수적”이라면서, “GR3N과의 이번 협력을 통해 유연성 및 확장성, 효율성을 개선하고, 산업 규모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0-02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산업계 전문가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아카데미는 산업 분야 및 자동화, 전기 분야 등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에 대한 30여 개의 정기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심도 있는 기술 지식 제공은 물론, 전용 실습 장비를 이용해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실습 교육까지 병행 중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자사 솔루션에 대한 교육 외에도 반도체 및 전기차(EV) 배터리 솔루션, 데이터센터 전문가 과정, 북미 산업용 제어판넬 규정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 산업 분야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을 진행해 작년에도 만족도 조사 결과 8.3 이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아카데미의 정기 교육은 매달 온·오프라인 동시 교육 및 대면교육으로 진행되며, 서울과 부산 등 두 곳의 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고객이 원하는 교육을 맞춤으로 제안하여 시행하는 맞춤 교육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예습과 복습이 가능한 동영상 교육 자료도 함께 제공해 학습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올해는 고객들의 니즈에 발맞춰 ▲지속가능성 솔루션 ▲범용 자동화 플랫폼 에코스트럭처 오토메이션 엑스퍼트(EcoStruxure Automation Expert, EAE) ▲북미 산업용제어반 적용 규정 등에 대한 각각의 교육 프로그램이 신설됐다. ESG 및 기후변화 담당자, 유틸리티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가능성 솔루션 교육에서는 글로벌 탄소중립 선언 동향과 전략수립 방안을 이해하고, 전사 탈탄소화를 달성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지속가능성 솔루션 교육 프로그램은 총 3회에 걸쳐 진행되며, 일정 별로 교육 내용이 달라질 예정이다. IEC61499 국제 표준 기반 범용 자동화 플랫폼인 EAE 솔루션 교육 과정에서는 단일 및 다중 컨트롤러 배포를 위한 솔루션 구성 방법을 이해하고, EAE를 사용한 솔루션 생성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한 북미 산업용제어반 적용 규정 교육에서는 북미에 적용되는 전기 규정을 이해하고, 산업용제어반 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아카데미를 총괄하는 손장익 이사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아카데미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제품과 솔루션을 사용하는 모두가 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교육을 통해 제품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지고 더 폭넓게 응용할 수 있어 업계의 최신 동향과 기술적인 혁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업계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직면할 수 있는 문제들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전했다.
작성일 : 2024-06-13
[Q&A] PLM과 MBSE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 - 목종수 비즈니스 컨설턴트(다쏘시스템코리아)
영상 다시보기와 발표자료 다운로드 바로가기   [Q&A] 정리 [질문] 국내 동향, C사의 사례에서 유용성을 확인하셨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유용성을 평가하셨는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답변] 결국은 회사에 도움에 되는가로 판단달 수 있습니다. 회사가 하고하는 일, 혁신하고자 하는일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판단하면 됩니다. 아키텍처라는 작업을 하게 되면 회사경쟁력에 도움이 되고 연구원 또는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연락처를 알려주시면 관련 자료 보내드리겠습니다." [질문] MBSE에 다양한 Methodology가 있는데 어떤 것에 전문성을 가지고 계시는지 말씀해 주실 수 있는지요? [답변]저의 회사의 전문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아키텍쳐 2. 해석 -1D 시뮬레이션/3D 시뮬레이션 3. MBSE 거버넌스 4. 제품개발관점의 적용 및 목표성능 달성 [질문] 구조를 설계하고 파트 리스트를 아무리 꼼꼼히 챙겨도 실수나 오류가 생기는데, 아키텍처와 BOM 연계시에 아키텍터 혹은 BOM 간의 오류를 발견 및 호환 여부를 판별해 주는 기능이나 도구는 별도로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답변] 대부분의 회사는 변환로직을 갖고 있고 이를 시스템으로 검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스템으로 filtering하고 프로세스적으로 filtering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질문] AI 반도체가 큰 화두가 되고 있는데, AI 반도체 관련한 특화 기능이나 메뉴가 포함이 되어 있는지 여부와 만약에 현재 없다면 향후에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현재는 없는 부분으로 판단이 됩니다. 하지만 다쏘시스템도 하이테크 분야에 지속적으로 솔루션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질문]esg 경영 어떻게 준비하고 대처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답변] 제품 개발 시 친환경 요소를 적용하면 됩니다.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후변화 > 탄소배출 > 제품 개발과 제조과정의 물리적 제작/실험을 디지털 시뮬레이션 대체 ② 자연자원 > 물소비 > 제조공정의 최적화 시뮬레이션으로 물 사용량 감소" [질문]디지털 PLM 도입 시 얻을 수 있는 효과와 PLM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 사례가 궁금합니다     [답변] 현대 선진기업들은 차세대 PLM도입을 준비중입니다. 자사가 바라보는 선진기업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다쏘시스템의 홈페이지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 요청드립니다. [질문]PLM 적용을 위한 내부 조직 및 프로세스의 혁신도 동반되어야 할텐데 이러한 혁신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은 어떤게 있을까요?     [답변]PLM은 조직을 혁신으로 가게 하는 매개체 입니다. PLM 도입을 통해 업무가 바뀌고 회사의 경쟁력에 혁신적인 기여를 하기위한 활동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우선 시장의 움직임, 경쟁사 움직임, 회사의 전략등을 파악하고 우리가 PLM을 통해 어느 부분에서 경쟁우위를 가져갈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도입할 때 조직의 확산측면에 대한 Challenge들에 대한 대응/준비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1D와 3D 모델을 결합해서 시스템 엔지니어링 운영 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며, 직무 단위 중심의 변화는 필수인지요? 다쏘 MBSE의 최신 기술과 엔지니어링 구현 시 타 솔루션과 주요 차별점은 무엇이며, 비용 절감 방안은 어떻게 되는지요?     [답변]1. 우선 제품 개발상에서 1D와 3D 모델의 역할을 정의가 필요합니다. 만일 1D와 3D 연계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면 1D의 파라미터와 3D 파라미터를 어떻게/어떤 방법으로 연계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필요합니다. 2. 주요 차별점은 아키텍쳐 부분을 모델링하는가 않하는가입니다. MBSE는 아키텍쳐링을 SysML로 모델링하고 이를 1D와 연계하여 조기검증하여 아키텍쳐를 최대한 잘 만들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후공정에서 발생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통해서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질문] 기업마다 비지니스 로직이 존재하여 그것들의 프로세스의 최적화된 적용을 고려해야하는데, 템플릿 등을 통한 업무의 표준화 등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답변]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벤더사들은 이러한 부분에 대해 지원하는 솔루션들을 갖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시면 저희 회사에 연락주시면 해답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전가차는 친환경이 아니기때문에 폐밧데리를 어떻게 재활용할지를생각해야 하는건 아닌지 친환경산업인 경영을 준비해야만 살아남지안을까 생각이듭니다     [답변]맞는 말씀입니다. 앞으로 환경에 대한 도전과제들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 입니다. 이에 대한 준비를 Virtulal Product Development/Model Based Design/Model Based Systems Engineering등으로 대응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질문] MBSE구현에 따른 복잡성이 큰 프로젝트를 실행하게되면 문제가 발생할텐데 프로젝트를 기업간 협업 효율을 높일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좋은사례가있다면 소개해주실수 있을까요?     [답변]복잡성이 큰 프로젝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키텍쳐를 모델링하고 이를 공유해서 협업해나가는 프로젝트들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티센크루프의 잠수함 개발, 또는 아우디의 새로운 차량보조 시스템 개발등이 있습니다. [질문]여러영역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하다보면, 각기 다른 영역의 원하는 결과가 약간 다르게 나타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최종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결과가 방향성 제시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설계 시 목표 하는바에 대해 여러 팀들이 모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 의견들을 조정합니다. 좀더 진화되면 시뮬레이션 결과들과 시험결과들에 대해 정량화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의사결정들을 내릴 수 있습니다. [질문] MBSE 모델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이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활발히 쓰이고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해외에는 다양한 산업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A&D, 자동차, 전기전자 및 농기계까지 다양합니다.
작성일 : 2023-10-09
[피플&컴퍼니]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 양영진 대표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가이드 제공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디지털 트윈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 실험을 통해 미래 변화 분석, 예측,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잡하고 어려운 사회·산업 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회사이다. 양영진 대표는 국방에서부터 환경, 에너지, 교통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트윈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 디지털 전환을 가이드하고, 디지털 트윈 플랫폼 ‘WAiSER’(와이저)를 통해 이를 해결할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최경화 국장, 이성숙 기자     KAIST 연구소 기업,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세상과 사람을 위하여 디지털 트윈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 실험을 통해 미래 변화 분석, 예측,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잡하고 어려운 사회·산업 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KAIST 연구소기업이다.  2019년 1월 연구소기업 설립 인가를 받은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KAIST에서 이전받은 기술을 기반으로 상용화를 추진하여 77건의 지재권을 확보하고 있다. 이어 2022년 CES에 참가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디지털 트윈 플랫폼 WAiSER를 정식 출시하였다.  현재는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교통신호 제어최적화솔루션’을 비롯해,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위한 ‘풍력 발전량 예측 솔루션’, 홍수피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최적 방류량 산출 솔루션’ 등을 개발 및 사업화하고 있다. 이밖에도 조선·해양,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 첨단주력 산업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산업 분야별 전문기관 및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전 산업분야에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BAS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WAiSER’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WAiSER(와이저)’는 김탁곤 교수 랩에서 개발 후 실용화 단계를 앞둔 기술이었다. “당사의 사업 모델은 WAiSER 활용 확대를 통한 지혜 수준의 가치 창출 및 이익 창출”이라고 설명하는 양영진 대표는 “이를 실현할 최적의 도구가 바로 WAiSER”라고 소개한다. 다시 말해 WAiSER는 디지털 트윈을 제대로 만들고 가상 실험을 통해 미래 변화를 분석, 예측, 최적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단순화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는 BAS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다.    AI 기술과 모델링 시뮬레이션 기술의 한계 보완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도메인에 상관없이 BAS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을 수학 방정식으로 모델링하고 가상 실험하여 미래변화를 분석, 예측, 최적화를 할 수 있는 개발 및 운영 플랫폼인 ‘WAiSER’라는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빅데이터를 기계학습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의 한계와 모델링 시뮬레이션 기술의 한계를 각각의 장점을 상호보완적으로 융합하여 해결한 BAS(Big data, AI, Simulation) 모델링 기술이 ‘WAiSER’의 차별화된 경쟁력이자 핵심 기술이다.  양영진 대표는 “WAiSER를 기반으로 시스템 공학적 틀과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 구현, 시험, 운영 및 유지보수 전 주기동안 최적화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경쟁이 아니라 협업을 통해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으며, 정보와 지식을 넘어 지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라고 부연한다.    한국의 제조혁신 과정과 그 수준 변화  한국은 과거의 선진국을 빠르게 따라 하는 ‘Fast Follower’ 전략에서 ‘First Mover’ 전략으로 가야만 하는 변곡점에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고 사회와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우리는 시대변화의 중심에 선 ‘디지털 트윈’에 대해 제대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스마트공장과 제조혁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IoT·빅데이터·AI, VR·AR·메타버스 등 기술 중심으로 혁신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개선은 되고 있으나 혁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문제가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양영진 대표는 “문제를 정의하지도 않고 문제를 풀려 하거나, 목적과 수단이 전도된 경우가 많다”면서, “목적에 맞도록 필요한 것은 챙기고, 불필요한 것은 버리는 것이 ‘디지털 트윈’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양영진 대표는 “과거의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계학습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넘어 미래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가상 실험해 봄으로써 어떤 변화가 오더라도 최적의 대응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가상 실험 플랫폼 구축 필요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WAiSER를 기반으로 교통, 환경, 국방, 재난안전, 스마트팜, 풍력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 난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2022년 과기정통부에서 추진하는 SW 예비공성장 클럽에 선정되었고 퀀텀 점프를 위해 반도체, 이차전지, 조선·해양, UAM 등 첨단 제조산업분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제조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건강한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는 양영진 대표는 “산업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따라 설립된 한국산업지능화협회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산업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제조산업 혁신에 기여하고 싶다. 저희가 확보한 WAiSER는 협회 회원사들의 디지털 혁신뿐만 아니라 국가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에 핵심 엔진으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양 대표는 “기업마다 필요한 것을 지원해주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디지털 트윈은 주로 최적화가 필요한 기업이나 새롭게 혁신이 필요한 기업들에 필요한 기술”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EU에서 GAIA-X 정책처럼 산업별 건전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라며, “중소제조업이 살아야 대기업이 살고 고객들도 좋아진다. 중소벤처부에서 추진하는 단가연동제를 넘어서 생태계에 속해 있는 이해당사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최적해를 찾을 수 있도록 디지털 트윈 기반의 가상 실험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부연하였다.   2023 DXCon에서 ‘WAiSER 2.0’ 출시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올 상반기에 주로 WAiSER 2.0 출시를 위한 연구개발과 WAiSER의 우수성을 실증할 수 있는 Best Practice를 만들기 위한 사업기획 수립과 마케팅 활동 등 도약의 토대를 다졌다. 이러한 활동들을 기반으로 하반기부터 조선·해양,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및 풍력발전과 교통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낼 계획이다.  한국디지털트윈연구소는 WAiSER 2.0을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주관하는 2023 DEXCon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양영진 대표는 “이미 복잡하고 어려운 산업 문제를 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 실험을 통해 지혜롭게 해결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은 확보했으므로 산업 디지털 혁신이 필요한 기업/기관과 협업하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솔루션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면서, “많은 기업과 협업을 통해 더욱 발전되고 함께 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어가는데 이바지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10-04
[이슈] 탄소중립 위한 전동화·지능화, 디지털 제조 생태계 앞당긴다
전동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동화란 무엇일까? 전동화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적 상태의 에너지로 배터리에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동력장치로 구현된다. 특히 배터리를 적용해 주행 중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차(BEV),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전기자동차(FCEV) 등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청정합성 연료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생산제조업계의 가장 큰 수요시장인 자동차의 전동화 전환은 자동차 부품 생산 생태계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생산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에너지 절감 솔루션 적용확대 등 협력사에 부는 ‘탄소중립’의 요구도 점점 거세지고 있다.    1. 탄소중립과 함께 열리는 전동화의 서플라이체인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기의 사용 비중을 높이는 전동화(Electrification)의 확대가 필수적이다. OECD 국제에너지기구인 IEA에 따르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시나리오’에 필요한 전력 사용 비중은 2021년 20%에서 2030년에는 27%로 확대될 전망이다.  전동화는 육상 운송뿐만 아니라 산업계와 건축/시설물에도 영향을 미치며, 탄소중립을 위해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에너지 사용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술의 발전은 전동화의 흐름을 가속하는 요인이 되었다. 전기차 관련 기술의 성장으로 인해 운송부분의 전력 소모가 빠르게 상승하는 현상이 대표적인 예이며, 고속 충전장치 등 충전 인프라도 동반 확대되면서 전동화의 추세를 확대시켰다. 산업계 역시 탄소배출의 최소화를 넘어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생산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시설물은 전략사용의 비중 확대에서 친환경/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한 건축물로 개·보수되고 있다.  2. 생산제조 시설의 탄소중립 공장 및 산업 시설이 당면한 과제는 탄소 배출없는 생산이 보장이다. 제품 생산을 위한 에너지원의 경우 대부분 탄소 발생을 수분하는데, 전력이라도 친환경 전략이 아니면 결국 탄소 발생을 동반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산업계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 생산과정’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다시 말해 불필요한 공정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생산프로세스 확보를 통해 탄소 없는 생산에서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는 생산으로 탈바뀜시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는 솔루션이 바로 스마트화, 지능화된 공정기술이다. 3. 미래 그리드 변화 방향 돌이킬 수 없는 친환경의 추세와 더불어 전력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반적인 네트워크에서도 절박한 상황에 상응하는 혁신이 발생할 것이다. 미래 그리드(Grid)가 변화하는 방향은 아래의 세가지로 전망된다. (1) 보다 섬세하게 전력의 송잔 및 배전을 담당하는 그리드 영역은 현재의 수준보다 훨씬 더 많은 기능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섬세한 네트워크로 진화할 것이다. (2) 보다 효율적으로 최종적인 에너지의 사용처인 각종 시설물과 산업시설들은 전력의 사용비중을 확대시킴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극단적인 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사용의 절감을 추구하게 될 것이다. (3) 보다 적게 화석연료 중에서 탄소배출량이 큰 에너지원의 빠른 퇴출은 현실적인 대체수단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모멘텀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4. 전력관리 솔루션의 활용 확대 운송수단이나 시설물들의 전동화와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전력관리 솔루션의 활용분야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 에너지효율의 필요성, 환경관련 규제의 확대 등은 지속가능(Sustainability)한 경영환경 구축을 앞당기고 있다. 특히 전동화와 에너지공급 전환 등은 전력수요의 확대와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전력망(Grid)의 보강 니즈를 키웠고, 디지털화를 실현할 기기의 확산과 데이터 센터(Data Center)의 역할을 확대시켰다. 결국 전동화는 비단 전기차 확대를 넘어 전기장치 사용 비중 확산까지 주도하고 있다. 5. 고탄소 산업구조의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 대비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고탄소 산업구조를 갖추고 있어 탄소중립 실현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제조업 중 에너지 다소비 비중(1차 금속, 석유화학 등)이 매우 크며 ‘제조업 기반 경제’, ‘재생에너지 제반이 불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정부는 부문별 탄소 배출량 등을 고려하여 ‘한국형 탄소중립 100大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맞춤형 지원에 나서고 있다. 산업분야에서는 탄소배출의 핵심 원인은 공정 단계의 高탄소 연료・원료를 친환경 연・원료로 대체하고, 고효율 등을 실현 기술을 선정했다. 초고속 전기로, 원교공정 대체, 공정에너지 효율화 등을 위한 신기술 48개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와 함께 전기차 에너지 효율화, 설비자재 및 시스템 고효율화, 신재생에너지 융합 시스템, 건물 에너지 관리제어 시스템 등 수송, 건물, 환경분야에서는 탄소중립 제품으로 신속히 전환되도록 성능·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신기술들이 선정, 지원체계를 구축하면서 탄소중립 실현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작성일 : 2023-08-18
[인터뷰]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김희 상무
친환경 철강 시대를 선도하는 포스코의 2050 탄소중립 여정과 비전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김희 상무   지구온난화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실현은 우리 사회 전반이 해결해 나가야 할 핵심 미션이며, 탄소저감 실천과 친환경을 위한 사회적 책무는 기업 역시 피할 수 없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많은 국내외 기업들이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전세계적·시대적 요구에 응답하기 위한 탄소중립 실천 전략과 ESG 경영 제고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탄소 다배출 업종의 대표인 철강업계 역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에 분주하다. 그중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업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철강회사 포스코다. 포스코 탄소중립담당 김희 상무를 만나 국제 사회, 정부 및 고객의 저탄소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친환경 철강 시대를 선도하고 있는 포스코의 탄소중립 실천 전략과 탄소중립 마스터 브랜드 ‘Greenate’에 대해 들어보았다. 포스코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면. 포스코는 2022년 3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며 철강사업 전문회사로서 새롭게 출범했다. 국내외 약 4,500만톤의 조강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광양제철소와 포항제철소는 단일 제철소로 세계 최대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적 철강전문 분석기관인 WSD(World Steel Dynamics)가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철강사’에 13년 연속 1위로 선정되었으며, ESG 경영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에 세계철강협회 ‘지속가능성 최우수 멤버(Sustainability Champion)’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2022년에는 아시아 철강사 최초로 ‘Responsible Steel 사업장’ 인증을 획득하여 글로벌 ESG 경영 역량을 입증하였다. 포스코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기술 개발 계획에 대해 소개한다면. 포스코는 2020년 아시아 철강사 최초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지난 50여년간 축적한 기술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저탄소 제철공정으로의 대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단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상용화 이전까지 기존 고로 등의 설비를 기반으로 한 저탄소 Bridge 기술 개발 및 전기로 신설, 장기적으로는 고유 수소환원제철 공법인 HyREX 기술을 완성하여 기존 고로 설비를 단계적으로 수소환원 설비로 전환하여 탄소중립 체제를 완성할 계획이다. 2023년 2월 광양제철소에 스크랩을 활용한 전기로 신설 계획을 확정하며 본격적인 저탄소 생산체제 전환에 착수하였으며, 포스코 고유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HyREX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HyREX 기술은 포스코가 1992년 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07년 상용화 한 FINEX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유동환원로 설비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풍부한 분철광석을 별도 가공 공정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원가스 중 이미 일부 수소가 포함되어 있어 수소환원으로의 전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포스코는 2026년 HyREX 시험 설비를 도입하고 2030년까지 상용 기술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포스코의 탄소중립 마스터브랜드 ‘Greenate(그리닛)’의 출범 배경은. 포스코는 탄소중립을 위한 전략적 방향성 및 이를 위한 노력과 성과를 집약하여 지난해 11월 탄소중립 마스터브랜드인 ‘Greenate(그리닛)’을 출범하였다. Greenate은 탄소중립 및 무한한 순환 경제, 완전한 상생 사회, 영원한 푸른 지구와 같이 포스코가 나아가고자 하는 미래를 상징하는 당사의 마스터 브랜드이며, 저탄소 철강 제품(Greenate Steel), 저탄소 철강 기술 및 공정(Greenate Tech&Process), 수소 공급 등 제반 인프라(Greenate Infra)의 서브 브랜드로 이루어져 있다. 철강 생산 전 과정에서 탄소발자국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저탄소 철강 제품을 통해 사회의 탈탄소화에 기여하고, 저탄소 Bridge 기술, 수소환원제철 등 기술과 공정개발을 통해 석탄과 에너지 사용을 저감하고 있다. 또한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그린수소 및 재생에너지 등 인프라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전 그룹사 차원의 역량을 모으고 있다. 원료, 철강,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기업들과의 ‘HyREX R&D 파트너십’ 교류를 통한 지속적인 기술 협력, 온실가스 저감 노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글로벌 수소환원제철 포럼(HyIS) 개최 등 탄소저감 기반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포스코의 모든 활동이 집약된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탄소중립 EXPO 참가 배경과 포스코의 탄소중립과 관련한 계획에 대해 소개한다면. 철강은 다른 소재 대비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적고 재활용률도 85%로 높은 친환경 소재이다. 그러나 철강 소비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많은 탄소를 배출하게 되는 데 이로 인해 제철소가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 위기의 주범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포스코는 국내 대표 철강 기업으로 글로벌 기후 위기 대응에 앞장서면서 저탄소 산업 체제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 설비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강재 생산, 부산물 재활용 등을 통한 사회적 온실가스 감축에도 앞장서며 철강 밸류체인 전반의 탄소를 감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당사의 노력을 관람객들께 잘 설명하고 대외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탄소중립 EXPO)에 참가하게 되었다. 철강은 인류 문명을 발전시키는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됐고, 앞으로도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다만 철강 산업의 탄소중립은 기업 단독으로 실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탄소 배출 없는 깨끗한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국가적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도 이번 전시를 통하여 모두가 공감해주셨으면 한다. 포스코는 탄소중립 제철소 구현을 통한 철강 제품 공급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동시에 국제 사회, 정부 및 고객의 저탄소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50 탄소중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며 친환경 철강 시대를 선도해 나갈 것이다. ■ 캐드앤그래픽스 이성숙 기자 mail@cadgraphics.co.kr
작성일 : 2023-07-20
버넥트, 스페인 환경수리학 연구소(IHCantabria)와 MOU 체결
  버넥트가 7월 4일 스페인에서 칸타브리아 대학교 환경수리학 연구소(IHCantabria)와 프로젝트 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버넥트는 오는 11월까지 스페인 칸타브리아 대학교 환경수리학 연구소(IHCantabria)의 수리실험 인프라를 디지털트윈(Digital Twin)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소 설비 매뉴얼을 다양한 스마트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매뉴얼로 제작하고, 실험실 인프라 및 콘텐츠를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플랫폼에 구축함으로써 확장성을 높일 계획이다. 칸타브리아 대학교 환경수리학 연구소(IHCantabria)는 칸타브리아 대학교와 칸타브리아 지방정부가 협력하여 만든 공동연구기관으로, 2007년에 설립됐다. 연구소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 생태학적 수자원 시스템의 통합 관리를 비전으로 기초 및 응용 연구, 기술이전, 교육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 해안침식, 해상풍력 등 해양분야에서 저명한 연구기관이다.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버넥트 김경만 프로젝트매니저(PM)는 “한국의 ICT 기술을 대표하는 버넥트의 기술을 글로벌 시장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국내 최고의 XR 솔루션 전문 기업답게 스페인 연구소의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을 시작으로 해외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프로젝트는 국내 유망 ICT기반 융합서비스 분야 혁신기업의 해외진출 개발 및 현지화 지원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버넥트, GS ITM, 더픽트로 구성된 ‘버넥트 컨소시엄’은 수요기관인 칸타브리아 대학교 환경수리학 연구소에 AR 및 디지털트윈, 클라우드, 메타버스 기술 등을 융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컨소시엄 주관기업인 버넥트는 오는 7월 26일 코스닥 상장 예정이다.   
작성일 : 2023-07-12
HP, 부모 대상 기후변화 인식 조사 결과, 일상 결정과 자녀 계획에도 영향 미쳐
HP가 기후변화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과 대응 방법을 조사한 설문 결과를 발표하며 지속가능성 현황을 공유했다. HP는 지속가능성 분야의 인사이트를 넓혀가며 이에 대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HP가 여론조사업체 ‘모닝 컨설트(Morning Consult)’와 함께 지난 5월 미국, 영국, 인도, 멕시코, 싱가포르에서 약 5천여 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후변화 인식 조사 설문 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부모의 일상적인 결정부터 장기적인 가족계획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1%가 기후 위기에 대한 걱정으로 생활 및 소비 습관이 변했다고 답했으며, 53%는 이러한 우려가 자녀 계획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또한,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한 행동이 일상생활에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응답자의 84%가 지속 가능한 제품 구매로 인해 생활비가 증가했고, 57%는 환경친화적인 행동에 참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현실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응답자들은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선택지를 택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응답자의 64%가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으로 생산되는 제품을 선호하며, 60%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 추구 여부가 실제 제품을 구매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소비자가 기후변화 행동에 대한 책임이 크다 답한 사람은 36%인 반면, 기업에게 책임이 크다고 답한 사람은 51%로,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기업이 지속가능성과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주도적인 자세를 취할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임스 맥콜(James McCall) HP 지속가능경영 최고책임자는 "지속 가능한 영향 이니셔티브와 지속 가능한 제품이 HP의 고객 유지, 매출 신기록 달성, 인재 영입에 기여하고 있는 만큼 이번 설문조사는 HP의 사업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라며 "기후 위기 현황에 대해 신중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기업들은 악영향 근절을 넘어 긍정적인 영향을 전파한다는 목표로 임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와 더불어, 올해로 발간 22주년을 맞은 ‘2022 지속 가능한 영향 보고서(Sustainable Impact Report)’는 포용적이고 적극적인 환경 및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한 HP의 노력을 담았다. 2021년부터 기후변화 행동, 인권, 디지털 형평성 분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목표를 세워 온 HP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탄소 중립, 산림 환원, 순환 경제 조성, 평등 문화 구축, 디지털 형평성 가속화 등에 기여한 바에 대해 다뤘다. 보고서에 따르면 HP는 2040년까지 탄소 배출량 넷 제로(Net Zero) 달성 목표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탄소 발자국 18% 감축, 2018년 대비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55% 감소에 성공했다. 또한, HP의 제품과 서비스에 필요한 용지 생산에 사용된 삼림 41% 규모의 재식림에 성공했으며 2030년까지 1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털 형평성 달성을 위해 현재까지 약 2,100만 명을 대상으로 관련 활동을 진행했으며, 2030년까지 1억 5,000만 명을 대상으로 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P 코리아 김대환 대표는 “모든 HP 고객들이 그렇듯 가족 고객들 역시 일, 여가, 주변 지인 등 중요한 일상과 연결되어 있기 위해 HP에 많은 부분 의지하고 있다. 이에 HP는 부모 고객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라며 “현재 부모 세대가 부담을 느끼는 많은 부분 중 하나가 기후 위기이다. HP는 단순히 사업만을 위해서가 아닌, 인류와 지구 모두를 위해 더 나은 비즈니스를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HP 코리아는 지난 4월부터 (사)자원순환사회연대(KZWMN)과 함께 '우리 순E(우리 순환 E-Waste) 캠페인'을 전개하며 지역사회에 자원순환의 원리를 알리고 폐전자제품 재활용·재사용을 실천하는 지속 가능한 환경 운동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작성일 : 2023-07-06
[포커스] 탄소중립 EXPO, 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과 비전을 폭넓게 소개
‘2023 탄소중립 EXPO’가 지난 5월 25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2023 기후산업 국제박람회’로 통합 개최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부산광역시가 공동 주최하고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산업지능화협회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전시·홍보관 운영을 비롯해 비즈니스·도시·리더스서밋, 정책지원 세미나, 기술이전·사업화 우수사례 발표회, 신기술·제품소개 발표회 등이 진행됐다. ■ 이성숙 기자   ▲ ‘2023 탄소중립 EXPO’ 개막식   ‘기후위기를 넘어, 지속 가능한 번영으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기후박람회는 산업 부문의 탄소중립 전환을 본격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산업의 지능화, 디지털 등 첨단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지속가능한 탄소중립의 현주소를 공유하고 미래 비전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특히 기후산업 선도 및 신성장동력화 도모를 위해 기후산업 분야 국내외 500여개 기업들이 참가해 탄소중립 관련 혁신제품 및 적정기술(그린 디지털 등)을 선보이고 2030 부산엑스포 홍보관 등이 마련된 전시장을 운영했다. 또한 수출상담회 등 비즈니스 네트워킹과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교류의 장으로도 활용되었다. 국내외 기후산업 기업이 참여하는 전시회는 청정에너지관, 에너지효율관, 미래모빌리티관, 탄소중립관, 기후환경기술관 등 5개 전시관과 부산 엑스포 홍보를 위한 EXPO 홍보관으로 구성되었다. 롯데그룹, 포스코, SK그룹 등 탄소중립 리딩기업 전시부스에서는 탄소중립 산업을 이끄는 대표 기업의 우수기술 기반 탄소중립 이행 전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삼성, 현대자동차, 카카오 등 탄소중립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주요 기업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의 주요 기관에서도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주요 사례, 성과를 전시했다.   ▲ 포스코 부스   ▲ 롯데그룹 부스   ▲ SK그룹 부스   특히 기후박람회에서는 탄소중립 관련 주요 이슈를 산업별로 소개하기 위해, 탄소중립 특별관(정부, 정책 등), 탄소중립 기술사업화 지원관(공공연, 공기업), 탄소중립 기술우수사례관(기업 등)을 운영하였다. 이 중 탄소중립 특별관에서는 ‘탄소중립선도플랜트 구축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한국생산연구원이 티와이엠, 태형물산, 프론텍 등 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키는 대표 모델 사업장 구축을 지원하는 업체들과 함께 참가해 관련 정책 및 지원제도를 소개하고, 사업의 실증사례를 공유했다. 이와 함께 모터헤드, 에너지엑스, 21세기, 그리너스, 아이핌, 카본사우루스, 켐프, 씽크포비엘, 유메디헬스케어 등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회원사들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산업의 지능화, 디지털 등 첨단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지속가능한 산업부문의 탄소중립 전환 솔루션’을 다각도로 소개했다. 이밖에도 SK그룹, 카본사우루스, 아이핌, 그리너스, SDX 재단법인, 엔츠, 삼월삼십삼일 등이 자발적탄소시장(VCM) 및 탄소금융플랫폼을 소개했으며, 경기도 통합관에는 스마트제조 혁신기술을 보유한 경기도 중소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스마트 제조가 실현하는 산업 현장의 탄소중립 기술을 소개했다.   ▲ 탄소중립 특별관   ▲ 경기도 통합관   기후박람회에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최신 제품 및 기술 소개와 함께 세계적 석학, 국내외 대표기업, 기후위기 관심 도시·국가·국제기구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 호우 등 이상기후에 대응한 한국과 국제 사회의 탄소중립 이행 노력을 공유하고, 이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 기후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역할 등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 중 ‘비즈니스서밋(비즈니스리더 라운드테이블)’은 글로벌 기업의 녹색 비즈니스 성장전략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의 책무를 논의하기 위해 ‘저탄소 에너지 세션’, ‘환경·사회·투명(ESG) 경영 세션’으로 나눠 25일과 26일 이틀간 진행되었다. 이 행사에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케이스케 사다모리 에너지시장.안보국장, 블룸버그의 알리 이자디 뉴 에너지 파이낸스(NEF) 아태지역 총괄, 서울대학교 김희집 교수, 뉴욕타임즈의 스티븐 던바존슨 국제부문 사장, 구글 글로벌 파트너십의 욜린 앙 아태지역 부사장,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WBCSD)의 서르비 싱가비 에너지전환 매니저 등이 주요 연사로 참여했다.   ▲ 2030 탄소중립 세미나   또한 벡스코 1전시장에서는 5월 25일부터 27일까지 ‘2030 탄소중립 세미나’가 4개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세미나 첫째 날 ‘탄소중립 산업정책 및 이행 지원(1)’ 세션에서는 산업연구원 이재운 소재산업환경실장의 ‘글로벌 녹색성장 확대와 한국 제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을 포함한 4개의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또 둘째 날 오전에는 ‘탄소중립 산업정책 및 이행 지원(2)’세션에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상준 에너지정책학과 부교수의 ‘탄소중립시대, 기후변화 이슈의 국제 규범화와 시사점’ 등 3개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26일 오후에는 ‘탄소중립 대전환, 한국의 경험과 향후 과제’ 세션이 1, 2부로 나눠 진행되었다. 1부는 ‘자발적 탄소시장과 탄소금융 플랫폼’이라는 주제로 SK, 카본사우루스, 아이핌, 그리너스, SDX재단법인에서 강연을 진행했으며, ‘탄소중립 기술이전·사업화 우수사례’를 주제로 진행된 2부에서는 SK, 에너지엑스, 켐프,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성균관대학교 등이 발표를 이어갔다. 탄소중립 세미나 마지막날인 27일에는 오코텍코리아유한회사 등 10여 개 사의 탄소중립 신제품·신기술 발표와 아주대학교, 한국디스플레이협회 등의 탄소중립 및 ESG 전략 발표가 진행되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3-07-03
HP, 지속 가능한 지구 위해 자원 순환·재활용 장려하는 캠페인 진행
HP가 4월 22일인 지구의 날을 기념해 지속가능성 전략의 일환으로 ‘우리 순E(우리 순환 E-Waste)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HP는 지속가능성을 핵심 기업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실현하고 자원순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자원순환사회연대(KZWMN)와의 협업을 통해 추진되는 이번 캠페인은 장애인, 노인, 여성 등 취약계층 5000여 명을 대상으로 하며 HP 임직원 봉사 최대 100시간이 투입될 예정이다. 캠페인은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원순환 실천 및 디지털 형평성을 위한 정보화 교육’과 ‘폐 소형 전자제품 모으기’ 등 크게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우선 HP는 서울 소재 노인복지센터 등 사회복지시설 10곳을 대상으로 20회(대면을 통해 10회)에 걸친 자원순환 전문가의 자원순환 강의와 HP 자원봉사자의 디지털 형평성을 위한 정보화 교육을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이뤄지며 자원순환과 분리배출, 전자제품 사용법 및 올바른 재활용,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미세플라스틱 이야기 등을 주제로 다룬다. 같은 기간 폐 소형 전자제품을 모으는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복지관 등 10곳에서 수거한 폐소형 전자제품은 E-순환거버넌스(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에 전달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게 재활용한다. HP는 이번 캠페인을 위해 약 4000 만 원을 기부한다. HP는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왔다. 대표적으로 지역 초등학생에게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아워오브코드(Hour of Code)’ 프로그램과 ‘HP 리인벤트메이커(Reinvent Maker)’ 교육, 자원봉사 활동인 '40일간의 선행(40 Days of Doing Good)’,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 글로벌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전개했다. 또 자사 제품의 생산부터 부품 재조립을 통한 재생산까지의 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복합기 등에 재활용 및 재생 가능한 성분의 사용을 늘리면서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재료 활용을 축소해 환경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2002년부터 매년 ‘지속가능한 영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자사가 기후변화 행동, 인권, 디지털 형평성 분야 전반에서 시행한 다양한 지속가능성 활동과 결과도 공개하고 있다. HP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인권을 보호하며 디지털 형평성을 가속하는 긴급조치에 나서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HP 코리아의 김대환 대표는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제정된 지구의 날 53주년을 맞아 지역사회에 자원순환의 원리를 알리고 폐전자제품 재활용·재사용을 실천하는 지속가능한 환경 운동 캠페인을 진행하게 됐다”면서, “HP는 순환경제 창출에 앞장서 온 기업으로서 앞으로도 환경 문제를 개선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작성일 : 2023-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