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 광주광역시 마이스터 고등학교"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192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SAP 코리아, 충남 지역의 혁신 인재 양성 지원 위한 MOU 체결
SAP 코리아는 충청남도 교육청 및 건양대학교와 ‘SAP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AP 코리아, 충남교육청, 건양대는 이번 산·관·학 업무협약을 통해 ▲충남지역 내 직업계고 학생들의 SAP 분야 교육 및 취업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학과 개편 및 협약형 특성화고 개교 등 다양한 교육 모델 설계·운영 ▲교육 과정 개발 지원 및 학생의 기업 현장 교육과 취업 지원 ▲교원 현장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공동 기획 및 운영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충남교육청의 김일수 부교육감은 “SAP의 세계적인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있는 것은 우리 충남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아주 좋은 기회”라며, “SAP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SAP 분야 주역으로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건양대학교의 최임수 부총장은 “지난 2016년 최초의 SAP 분야 학부인 기업소프트웨어학부를 설치하고 8년 간 운영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십분 활용해, 도내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양질의 커리어 기회를 함께 만들 수 있게 되었다”며, “건양대학교는 세계적인 ERP 기업인 SAP와 협력해 혁신 인재를 지속적으로 양성하는 데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SAP 코리아의 김준홍 클라우드 석세스 서비스 부문장은 “SAP코리아에서 10여년간 진행했던 다양한 인력양성 사업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업을 준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SAP 코리아는 국내 기업의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 및 지역 인재 양성 발굴을 위해 보다 많은 청년들이 소프트웨어 분야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4-02-28
IBM, SSS 6000 출시와 함께 기업용 스토리지 포트폴리오 강화
한국IBM 스토리지 사업부가 신제품인 IBM 스토리지 스케일 시스템 6000(IBM Storage Scale System 6000, 이하 IBM SSS 6000)를 선보이며 플래시 시스템, 테이프 라이브러리와 함께 기업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스토리지 포트폴리오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스토리지 업계에서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집약적 프로젝트에 대응할 수 있는 스토리지와 함께 전통적인 데이터 저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래시 스토리지와 테이프 스토리지에 대한 요구가 공존한다.  한국IBM 스토리지 비즈니스의 대표 제품인 IBM 스토리지 스케일 시스템은 빅데이터와 AI 프로젝트에 특히 많이 활용되며 지속적으로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그래픽 처리장치(GPU)에 최적화된 단일 플랫폼인 IBM SSS 6000를 공개했다. 한국IBM은 “IBM SSS 6000은 경쟁사 대비 2.5배 이상 빠른 초당 기가바이트(GB/s) 처리량과 2배 이상의 IOPs(아이옵스) 성능으로 데이터에 더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다”면서, “2024년 상반기부터는 차세대 IBM 플래시코어 모듈(FCM)을 통해 이전 세대 시스템보다 동일한 상면 공간에서 데이터 용량을 2.5배 지원하며 고객으로 하여금 데이터 효율성을 높이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IBM은 IBM SSS가 활용된 대표 사례로 NHN 클라우드를 소개했다. NHN 클라우드는 고성능의 광주광역시 국가AI데이터센터를 구축했는데, 이 국가AI데이터센터는 연산 능력이 글로벌 상위권에 해당하는 88.5PF(페타플롭스)에 달하고 저장 능력은 107PB(페타바이트)이다. 즉, 1초에 8.85경번 연산할 수 있으며 10MB 파일을 10억 7000만 개 저장할 수 있다. 처리하고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가 많아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스토리지가 필요함에 따라 NHN 클라우드는 IBM SSS 스토리지를 활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IBM은 플래시 스토리지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세이프가디드 카피(Safeguarded Copy), 내부 복제, 원격 복제와 같은 주요 소프트웨어가 기본 탑재되어 있어 비용 효율성을 높인 IBM 플래시시스템과 콜드 데이터 백업에 유용한 IBM 테이프 라이브러리 등 다양한 스토리지 포트폴리오가 국내 기업에서 쓰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IBM의 박대성 스토리지 사업총괄 상무는 “기업 환경이 나날이 복잡해지면서 각각의 요건에 최적화된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IBM은 기업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포괄적인 스토리지 라인업을 갖춘 것은 물론, 각 제품군 내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많은 유수 기업들을 지원했고, 작년 한 해 동안 급성장할 수 있었,”면서, “올 한 해는 특히 기업 AI 프로젝트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4-01-22
ABB, 산업용 교육 로봇 ‘IRB 1090’ 출시
ABB는 산업용 교육 로봇 ‘IRB 1090’의 출시와 함께 교육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교육 기관인 STEM이 인증한 IRB 1090 로봇은 학생들의 역량을 높이고, 고용 확보에 있어 경쟁 우위를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광범위한 교육 서비스의 핵심인 신규 교육용 로봇은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교육 패키지, 차세대 컨트롤러, 시장 선도적인 프로그래밍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ABB IRB 1090은 580mm 리치와 3.5kg 페이로드를 제공하며, 이전 모델에 비해 10% 작은 공간과 20% 경량화로 쉽게 이동, 설치, 배치가 가능하다. ABB OmniCore E10 울트라 슬림 컨트롤러와 결합된 교육용 로봇은 학생들이 모션 컨트롤, TrueMove, QuickMove, 외부 가이드 모션 및 에너지 절약 전력망 피드백 솔루션을 포함해 최신 로봇 개발에 대한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기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로봇과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로봇 자동화가 다양한 부문 및 응용 분야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 배울 수 있다. 교육 기관, 로봇 판매업체, SI 업체는 조립, 자재 핸들링, 아크 용접 및 분사와 같은 다양한 응용 셀을 설계하고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다. 비전 카메라, 그립퍼, 작업 공간, 받침대 및 이동식 카트와 같은 다양한 액세서리가 포함돼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ABB는 누구나 이용 가능한 로봇 정책의 일환으로 IRB 1090 로봇 구매 시 RobotStudio 프리미엄 라이선스 100개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전했다. RobotStudio는 학생들이 실제 로봇 구매 전에도 로봇 프로그래밍 기초를 배울 수 있는 가상 프로그램이다. ABB는 40여 개국의 교육 기관과 협력해 학생들이 로봇 프로그래밍 기초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며, 더불어 매년 3만 명 이상의 전 세계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ABB 로보틱스 인더스트리 총괄 크레이그 맥도넬 상무는 “2301명의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2023년 ABB 글로벌 설문에 의하면 응답자의 80%가 로봇, 자동화가 향후 10년 간 고용의 미래를 형성할 것이라고 답변했다”며, “현재 교육 프로그램에서 로봇을 사용하는 곳은 4곳 중 1곳에 불과하다.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로서 ABB는 로봇을 모두가 이용하는데 일조하기로 결정했다. IRB 1090 교육용 로봇은 교육 공간에서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작성일 : 2023-09-22
스마트 건축 세미나 (9/19,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2023 AEC 로드 세미나 웹에서 보기 ????           사전등록하기             안녕하세요? KCIM입니다. ????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BIM,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국토교통부가 건설산업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를 목표로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건설산업 BIM(빌딩정보모델링) 시행지침’을 발간하는 등 건설산업의 전 분야에서 BIM 적용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국내 건축·엔지니어링·건설산업의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업계 트렌드와 사례를 공유하고 국내 사용자와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9월 19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는 KCIM의 세미나에서 ‘스마트 건축’을 더 쉽게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발표내용   내용   발표자 '스마트 건축'을 읽다: 기술 트렌드 - BIM이란 무엇인가 - Autodesk Initiative (BIM 트렌드) - Platform Company   오토데스크 코리아  이인근 차장    '스마트 건축'을 보다 : 건축사사무소의 BIM 내재화 - 국토교통부 BIM 로드맵 & 지침 - 건축사사무소 BIM 내재화 소개   KCIM  강영구 팀장    '스마트 건축'을 쓰다 : 건설 산업의 Digital Twin과 BIM 데이터의 활용사례 스캔비   이병도 대표이사     ‘스마트 건축’ 3多 : 설계 자동화 - 설계 자동화 프로세스 소개 - 설계 자동화 사례 KCIM   정재형 팀장     * 본 세미나는 운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전등록하기           KCIM(주)   │ AUTODESK Gold Partner 서울 강남구 역삼로19길 3 케이씨아이엠(주)    02-515-3167    marketing@kcim.co.kr       
작성일 : 2023-09-08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광주광역시 마이스터 고등학교와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진행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이상진 본부장 /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최홍진 학교장 산업 AI 소프트웨어 및 자동화설비 분야 인재육성을 위한 상생·협력 강화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와 광주자동화설비마이스터고등학교와 함께 산업 인공지능, 자동화 설비 산업 분야의 전문 지식을 겸비한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8월 31일(목)에 진행했다.   오늘날 산업현장에서는 산업 인공지능과 자동화 설비 등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기존 산업의 영역을 확장하는 디지털 전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어떻게 도입하고 활용하는지에 따라 기업들의 생존 여부가 달라진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세 기관은 재학 중인 학생들이 변화하는 산업계 인재상에 부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소속 교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목표로 힘을 모으게 되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세 기관은 ▲학생 연수 및 우수 기업체 체험 프로그램 운영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산업인공지능, 자동화 설비 산업 분야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자격증 교육 및 국내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등에 대해 협력할 것으로 약속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이상진 본부장은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산업수요에 연계된 교육과정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학생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업계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은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학교와 적극 협력하여 미래 인재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에 전문성을 더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3-09-03
유니버설 로봇, 국내 첫 번째 인증교육센터로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고 지정
협동로봇 전문 기업인 유니버설 로봇은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 고등학교가 유니버설 로봇의 공인인증 교육센터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국내 첫 번째 유니버설 로봇의 인증교육센터가 되었다. 유니버설 로봇 코리아는 하드웨어 개발에서 로봇∙AI 융합 산업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로봇 일상화’ 시대를 맞아, 협동로봇의 잠재력과 적용 범위를 알리며 국내 협동로봇 교육의 체계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2022년 3월 개교한 이래 지능형 공장 분야에서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이미 작년 9월 유니버설 로봇 코리아와 숙련된 전문 기술인재 양성 및 취업 지원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채결해 산업체 현장 실무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교사 신기술 연수 및 학생의 기업체 현장 체험 학습 기회 제공 등을 제공받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은 유니버설 로봇의 공인인증교육을 통해 현장 중심의 협동로봇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유니버설 로봇은 현재 전세계에 100개가 넘는 공인인증 교육센터를 운영하여 협동로봇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다. 유니버설 로봇 관계자에 따르면, 공인인증센터로 지정되려면 유니버설 로봇이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협동로봇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적합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유니버설 로봇 협동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전세계에서 인정받는 UR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유니버설 로봇의 이내형 대표는 “자동화, 스마트 공장, 로봇∙AI 융합 모두 충족하는 협동로봇의 수요가 늘어나는데 비해 협동로봇 사용에 적합한 교육은 부족한 지금,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 고등학교 공인인증 교육센터 지정은 우리나라 로봇산업 전문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의미있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면서, “유니버설 로봇은 앞으로도 다양한 모습으로 모든 세대가 협동로봇을 쉽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로봇 전문 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앞장서는 것은 물론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흐름인 ‘로봇 활용 자동화’에 발맞춰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산 스마트팩토리 마이스터 고등학교의 조동헌 교장은 “이번 공인인증교육센터 지정으로 협동로봇 교육에 차별화를 둬,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유능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작성일 : 2023-05-02
유니티 엔진, 모두를 위한 게임을 만든다!
유니티가 사회의 불평등을 해결하고 모두의 ‘디지털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한 시각장애인이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출시된 ‘갓 오브 워 라그라로크(God of War Ragnarök)’를 플레이해 화제를 모았다. 게임에 탑재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기능을 활용해 게임을 즐겼던 것으로, 게임 내 많은 작업이 자동화되고 버튼 입력이 단순해져 정확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쉽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웹, 모바일 등의 공간에서 누구나 동등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디지털 접근성’이라고 하는데, 코로나19를 계기로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장애인,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 누구나 소외 또는 차별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2020년 장애 자선단체 스코프(Scope)의 의뢰로 센서스와이드(Censuswide)가 총 1,326명의 장애인 게이머와 비장애인 게이머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66%의 게이머가 게임과 관련된 장벽이나 문제에 직면했다고 답했다. 이들은 게임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게임에 탑재된 접근성 기능을 사용하거나 하드웨어 솔루션을 사용하는 등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국내 게임 시장에서도 디지털 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1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20조 9,913억 원으로 이는 2020년도(18조 8,855억 원) 대비 11.2% 증가한 수치다. 2022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소외계층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 필요성 역시 커지고 있다. 이에 전 세계 PC, 콘솔, 모바일 게임의 절반 이상에서 활용된 유니티 엔진이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고, 안전성과 포용성을 갖춘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활발히 사용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아울케미 랩스의 VR 게임 ‘코스모니어스 하이’   VR 게임 회사 아울케미 랩스(Owlchemy Labs)는 지난해 출시한 게임 ‘코스모니어스 하이(Cosmonious High)’를 통해 VR 게임에 대한 접근성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코스모니어스 하이는 외계인들이 모여 있는 고등학교 곳곳을 탐험하며 문제를 찾고, 우주적인 규모의 혼돈으로부터 학교를 구하는 어드벤처 게임이다. 게임은 역동적인 제스처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데, 한 손 컨트롤 모드, 휠체어 사용자도 즐길 수 있는 기능, 색맹 접근성 개선, 몰입형 자막 시스템 등 접근성 기능 업데이트를 통해 플레이어 누구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색맹을 위한 커스텀 툴을 통한 색맹 접근성 개선은 다양한 유형의 색맹을 가진 플레이어도 코스모니어스 하이의 다채로운 비주얼을 즐길 수 있게 해 호평을 얻었다. 색 효과를 이용해 더 높은 콘트라스트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제2 색맹, 제1 색맹, 제3 색맹 등 색맹 사용자들의 가시성을 향상한 것이다. 소셜 사이퍼의 어드벤처 게임 ‘아바 스페이스 파이럿츠’   전체 직원 중 40%가 자폐증을 가지고 있는 소셜 사이퍼(Social Cipher)는 신경 발달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을 위한 어드벤처 게임을 제작했다. ‘아바 스페이스 파이럿츠(Ava Space Pirates, 이하 아바)’는 우주 해적과 함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 회의(Self-doubt)를 극복하면서 궁극적으로 공동체를 찾아가는 롤플레잉 어드벤처다. 아바는 몰입형 가상세계에서 신경 다양성을 가진 모든 청소년들이 사회적 상황과 감정적 반응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저가 자신의 기기로 게임을 즐기는 동안 카운슬러는 별도의 기기에서 게임 플레이를 지켜보면서 핵심 사회 정서적 학습(social-emotional learning)을 분석하고, 추적함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정서적 기술을 가르치게 된다. 실제로 해당 게임을 사용한 95%의 카운슬러가 아바를 사용한 후 1:1 치료 세션이 향상되었다고 답하기도 했다. 캥스터즈의 ‘휠리엑스’ 국내에서도 모든 플레이어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다수 있다. 먼저 접근성 기술 벤처기업인 캥스터즈(Kangsters)가 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헬스 케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 커뮤니티를 위한 건강 및 피트니스 분야에서 포용성 기회를 창출하는 캥스터즈는 ‘휠체어’와 ‘트레드밀 (treadmill·러닝머신)’ 그리고 ‘피트니스 콘텐츠’를 조합한 ‘휠리엑스(Wheely X)’ 콘텐츠를 선보이며 운동 약자를 위한 통합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휠리엑스’는 휠체어 이용자가 스스로 트레드밀에 탑승해 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로 누구나 장벽 없이 즐길 수 있는 피트니스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휠체어로 운동하는 경험을 유니티 기반의 3D 레이싱 게임으로 개발해 재미 요소를 강조했다. 캥스터즈는 세계 3대 재활보조기기 박람회로 손꼽히는 국제 재활 및 복지 산업 전시회 ‘레하케어(REHACARE) 2022’에서 휠체어 레이싱 게임을 최초로 공개했다. 또한 지난해 11월에 개최된 ‘유니티 포 휴머니티 서밋(Unity for Humanity Summit) 2022’에서도 관련 게임을 소개하며 실시간 3D를 활용해 긍정적이면서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경험을 공유했다. 이지투게더의 VR갤러리 ‘더보다’에서 진행된 ‘Every Single Day’ 그룹전시 게임 외에 문화 콘텐츠에서도 편의 증진 및 접근성 확보에 유니티 엔진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발달장애 아티스트의 주체적인 삶의 성립 및 삶의 질 향상을 지향하는 비영리단체인 이지투게더는 VR 갤러리 ‘더보다(THE VODA)’를 통해 장애 예술의 다양성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더보다는 유니티 엔진을 기반으로 구현한 3D 가상갤러리로, 발달장애 아티스트의 독특한 시점, 자유로운 생각 그리고 색다른 상상이 담긴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이다. 한국장애인예술원의 유망예술분야 프로젝트인 VR 갤러리 프로젝트에서 이지투게더와 동아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산학협력으로 개발되었다. 이후 2021년부터 지금까지 개인전, 기획전 등 다양한 작품 전시가 열리며 발달장애인의 미술창작활동 및 전시활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양대학교 플레이랩 ‘스포츠 모바일 쇼다운’ 플레이 모습 한양대학교 플레이랩(PlayLab)은 기존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개발한 VR 게임을 한층 더 개선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을 해소한 콘텐츠를 선보였다. 한양대학교 플레이랩은 VR 기기만 있으면 언제나 쇼다운(시각장애인을 위해 고안된 스포츠)을 즐길 수 있는 ‘시각장애인 스포츠 쇼다운 VR’을 선보였다. 해당 콘텐츠는 장애인 접근성 향상 및 우수 학생 콘텐츠로 호평 받으며 ‘메이드 위드 유니티 코리아 어워드 2021(Made With Unity Korea Award 2021)’에서 베스트 스튜던트(Best Student) 부문을 수상했다. 한양대학교 플레이랩은 특정 공간에서만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한계를 인식, 모바일로 해당 게임을 옮김으로써 공간의 제약까지 해소한 ‘스포츠 모바일 쇼다운’을 개발했다. 이로써 시각장애인들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시각장애인 스포츠인 ‘쇼다운’을 즐길 수 있게 했다. ‘2022 유니티 포 휴머니티 그랜트’에 선정된 VR영화 ‘다크닝’ 우울증의 실상을 경험하면서 동시에 우울증에 대한 적절한 대처 전략을 찾을 수 있는 VR영화 ‘다크닝(Darkening)’도 있다. 다크닝은 실시간 3D를 사용하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사회 공헌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기 위해 기획된 ‘2022 유니티 포 휴머니티 그랜트(2022 Unity for Humanity Grant)’에 선정되고 ‘제79회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베니스 이머시브 경쟁 부문에 선정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영화는 감독이자 주인공인 온드레이 모라베크(Ondřej Moravec)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가족 여행, 대학 등 일상에서 우울증을 겼었던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우울증을 어떻게 대처하고, 어떤 매커니즘을 사용해 극복할 수 있는지 등을 공유하고 있다. 인터랙티브 수화 학습 툴 ‘엘에스앱’ 이 외에도 청각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개발된 수화 학습 앱도 있다. 바네사 바란(Vanesa Barán)이 포시빌리언 테크(Possibillian Tech), 플로렌스 로스(Florence Roth), 그리고 아르헨티나 농아 협회(Argentine Association of the Deaf, ASO)의 지원을 받아 설계한 ‘엘에스앱(LSApp)’이 바로 그것이다. 청각 장애인과의 대화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해당 학습 앱은 청각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작성일 : 2023-02-03
지멘스, 엔지니어링에 대한 관심 높이는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 공개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지멘스 DISW)가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인 ‘아워 오브 엔지니어링(Hour of Engineering)’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진학 전 학생들에게 엔지니어링의 역할과 기초에 대한 교육 등을 제공하여, 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고 미래 엔지니어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1시간 내외의 적절한 분량의 청소년 친화적인 학습 콘텐츠를 통해 교사가 학생들에게 엔지니어링과 기술을 소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가운데 E(엔지니어링)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을 지향하는 아워 오브 엔지니어링은 "미래에 닥칠 국가적 기술자 부족 사태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 방안"이라는 것이 지멘스 DISW의 설명이다. 미국 인구조사국은 2030년까지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연평균 12만 5000명 이상의 인력 공백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아워 오브 엔지니어링은 학생들이 엔지니어링 커리어에 대해 흥미를 갖고, 엔지니어링을 포함한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자신감과 문제 해결 능력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에는 STEM 표준에 맞춘 학습 콘텐츠가 포함된다. 또한 구현이 용이한 학습 액티비티와 함께 제공되는 교사 가이드에는 1시간부터 20시간까지의 학습시간 옵션을 비롯해 학습을 위한 시퀀스 권장사항이 포함된다. 지멘스 DISW의 메인스트림 엔지니어링 제품 관리 상무인 브라이언 그로건(Brian Grogan)은 "엔지니어링 커리어에는 다양한 길이 있고, 그 중 어떤 길을 선택하든 보람을 느끼며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바꾸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고교 이전의 학생들에게 보다 일찍 엔지니어링에 대한 개념과 커리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우리의 목표는 교사들이 예산 부담이나 추가적인 훈련 없이도 구축할 수 있는 자원을 통해 학생들에게 엔지니어링을 접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 2022-12-07
[인터뷰] 황호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주조 해석의 이해와 동향   황호영 박사는 고등학교 <주조설계> 교재를 공동 저술하였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액상성형부문 소속으로, 주조공정 해석 소프트웨어를 국내 최초로 공동 개발하였으며 현재까지 중소기업에 보급하고 있다. 국내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주조공정해석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인재 양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주조공정 해석 기술개발과 인공지능 기반 공정 최적화 연구 등이다. 주조 해석이란 무엇인가. 주조는 용탕(금속을 로(도가니)에서 용해한 액상 금속)을 불투명한 주형(Mold)에 부어서 형상을 만드는 공정이다. 주조공정 해석은 컴퓨터에서 주조 과정을 분석(제품의 어떤 부분이 먼저 용탕이 충전되는지, 가장 마지막에 충전되는 부분은 어디인지, 충전 과정동안 액상 금속의 온도가 얼마나 내려가는지, 원하는 형상(제품)을 만들기 위해 형틀 내부에 비어 있는 부분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는지, 제품의 어떤 부분으로 용탕을 공급하는 것이 좋은지 등)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금속은 재용해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요즘 환경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플라스틱과 달리 재활용(Recycle)에 유리하다. 주조는 수천 년 전부터 장신구, 종, 동상, 무기 등의 제조에 사용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결함이 없는 제품을 만들기가 까다로운 공정이다. 액상 금속은 온도가 높을수록 부피가 커지고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는 응고과정에서 부피 수축을 한다. 만들고 싶은 형상의 치수로 형틀(주형)을 만들면 응고가 끝나고 수축 때문에 원하는 치수 보다 작은 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축될 정도를 미리 예상하여 조금 크게 만들고 후가공을 통해 정확한 치수로 만들어야 한다. 또한 응고 과정에서 액상 금속보다 낮은 온도에 있는 주형과 접촉하고 있는 제품의 외곽에서 먼저 응고되고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늦게 응고되면서 이 두꺼운 부분에서 수축 결함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금속의 조직이 겉 표면과 중앙부에서 다른 조직이 생성되고 제품의 기계적 특성(경도,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등)이 제품의 표면과 두꺼운 부분이 다르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제품에 원하지 않는 오류(결함)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컴퓨터로 주조공정을 해석하고 주조방안(용탕을 공급하기 위한 경로(탕도)와 수축될 부피를 보급해 줄 압탕(Riser), 공동부(Cavity)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벤트(Vent)를 어디에 설치할지, 제품을 만들고 나서 변형을 가장 적게 만들지 등)을 빠르게 변경하면서 가장 좋은 주조방안을 찾는 목적으로 활용한다. 모래 또는 금속으로 형틀은 제작하고 용탕을 만들어 주입하여 제품을 만들고 제품을 절단하거나 표면의 결함을 확인하고 결함이 있을 경우 다시 주형을 만들고 결함이 없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은 아주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주조공정해석으로 사전에 결함이 발생할 위험을 최소화한 다음 그 주조방안으로 제품을 실제 주조하여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주조를 하고 있는 기업에서는 주조공정 해석이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품의 생산을 발주하는 기업이 생산할 기업으로부터 주조방안과 주조공정 해석 결과를 요구하고 좋은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진 주조방안으로 생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주조 해석은 주로 어떠한 분야에서 응용되는가. 주조 해석은 금속을 용해하여 형틀에 부어서 형상을 만드는 모든 주조(Casting)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주조공정은 크게 분류하면 모래로 형틀을 만드는 사형주조와 금속으로 형틀을 만드는 금형 주조로 분류할 수 있고, 용융하여 주입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철계(주철, 주강)와 비철계(Al, 마그네슘(Mg), 동(Cu) 등) 주조로 나눌 수 있다. 또 용탕을 금형에 주입할 때 중력에 의해 주입하는 중력주조와 용탕에 압력을 가하는 고압주조, 저압주조, 진공주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조는 자동차, 조선, 중공업, 전기·전자 부품의 생산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품은 육면체, 원기둥으로 만들고 기계 가공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지만 저렴하게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인 주조를 이용하면 대량으로 동일한 형상을 만들 수 있어서 많이 활용되어 왔다. 컴퓨터의 CPU 연산속도 향상과 RAM 메모리의 증가와 전산유체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 기술의 발달로 현장의 주조공정을 해석하는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실제 주조현장의 거의 모든 주조공정을 컴퓨터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주조공정 해석 기술도 발전하였다. 주조 해석을 하게 되면 어떠한 이점이 있는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조 초기에는 시행착오를 통해 제품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제거하는 활동을 하였다. 즉, 비슷한 형상을 만들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먼저 형틀을 만들고 제품을 주조하여 평가를 하고 결함이 있을 경우 형틀 또는 주조방안을 변경하면서 양산에 적합한 주조방안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왔다. 하지만 산업화 초기의 대량생산이 아니라 최근 다품종 소량 생산을 할 때는 이런 시행착오적인 방식의 작업을 고수하면 좋은 방안을 찾을 때까지 손실이 많이 생길 수 있다. 이럴 때 컴퓨터로 가상공간에서 미리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최적의 제품을 생산할 방안을 찾은 다음 제품을 생산할 때 가장 불량이 작고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주조방안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고 실제 주형을 제작하여 생산하는 것이 개발기간도 단축할 수 있고 제품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는 과학적인 방법이다. 최근 주조 해석과 관련한 해석 분야의 트렌드는 어떠한가. 주조를 주된 업무로 하는 기업은 사람들에게 3D 업종으로 인식이 되면서 현장에서 근무할 젊은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현장 엔지니어들도 본인의 경험(암묵지)을 후세대에 이전하기를 꺼려하는 경향(본인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기술을 공유하기 기피하는)이 있어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암묵지를 형식지로 만드는 노력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즉, 사람의 경험을 토대로 주조방안을 설계하는 과정을 컴퓨터상에 가상의 전문가를 만들고 그 전문가가 기존의 기업에 축적된 방안을 검토하고 최적화하는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컴퓨터가 제품의 형상(크기, 두께 등)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용탕이 제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로를 설계하거나 수축이 발생할 위험 위치에 압탕(Riser), 칠(Chill)을 추가하거나 방안의 크기와 위치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자동 주조방안 설계 기술이 개발되어 일부 공정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주조공정 해석에서 결함이 발생할 것인지를 예측하는 결함예측인자도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아주 큰 결함만이 아니라 작은 결함(미세 수축공)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주조공정 해석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주조현장에서 취득된 센서 정보(온도, 압력, 속도, 시간, 진동 등)를 분석하고 불량과 연계하여 어떤 공정조건에서 가장 불량이 낮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공정조건을 최적화하는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좋은 성과를 냈다는 보고도 많이 있다. 전산유체해석을 이용하지 않고 비슷한 형상의 용탕 충전과정을 인공지능이 분석하고 용탕 충전과정을 예측해 주는 기술도 최근에 많은 국가에서 개발되고 있다. 주조 해석 관련 향후 전망은 어떠한가? 몇 개의 대기업이 주조공정해석 소프트웨어를 인수하여 제품의 모델링부터 각종 주조 공정별 해석과 주조 불량을 예측하고 주조 방안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해석의 정확도도 많이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비싼 가격으로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매년 구입가격의 20~30%의 라이선스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제품 개발 및 불량률 감소에 가끔 활용하는 중소기업은 소프트웨어 구입 및 유지보수 비용이 부담이 될 수 있다. 꼭 필요하지만 활용할 주조공정 해석을 담당할 젊은 엔지니어를 확보하기 어렵고, 유지 보수에 부담이 큰 중소기업은 활용을 하고 싶지만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최근의 자동차 산업이 전통의 내연기관에서 전기/수소차로의 급변으로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던 기업은 빨리 생산 품목을 변경하여야 하는 위기 환경에 놓이고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CAE가이드 V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기사 보러 가기 
작성일 : 20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