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하이테크"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351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앤시스코리아,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ASK 및 ASK SPACE 참여 기업 모집
앤시스코리아가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과 함께 국내 창업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해외 시장 진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2025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ASK(애스크)’와 ‘ASK SPACE(애스크 스페이스)’의 참여 희망 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은 정부와 글로벌 대기업이 협력해 창업기업의 혁신 성장을 도모하고 해외 시장으로의 진입 기회를 마련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에는 중기부가 최대 2억 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총 13개 사의 글로벌 기업이 분야별 전문 서비스 및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종합 제공한다. 올해로 6년 연속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앤시스코리아는 참가 주관기간 중 유일하게 2개의 협업 프로그램을 운영해 보다 폭넓은 산업군의 창업을 지원하게 됐다. ASK(Ansys/Startup/Korea)는 미래 전략 분야인 자율주행, 전기차, 수소차 등의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와 반도체, 통신을 비롯한 전자전기 분야 그리고 헬스케어, 에너지, 로봇, 하이테크, 산업장비, 기계 등 미래 유망산업 분야의 창업 기업에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패키지를 지원해 생산성 혁신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5년 2월 8일 이후에 창업한 유관 분야 업력 10년 이내의 창업 기업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올해는 작년 25개사 대비 약 5개사가 증가한 30개사 내외의 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할 예정이다. ASK SPACE는 국내 우주산업 스타트업 육성과 상용기술 R&D 지원을 통한 민간 주도의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신설된 프로그램이다. 작년 ASK 진행 당시 우주항공 분야의 스타트업을 선정해 지원한 바 있는 앤시스코리아는 “올해부터 위성 시스템, 발사체 및 추진 시스템, 우주 탐사 및 플랫폼 기술, 지상 지원 시스템 등 미래 우주산업 핵심 기술 분야의 기업을 지원하기 워한 별도 프로그램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5년 2월 8일 이후 창업한 유관 분야 업력 10년 이내의 기업 중 15개사 내외의 기업이 선정 대상이다. 앤시스코리아는 최종 선정된 기업에게 ▲공학해석 설루션 ‘앤시스 디스커버리(Ansys Discovery)’를 비롯한 서비스 지원 ▲역량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컨설팅 실시 ▲온라인 홍보 및 글로벌 콘퍼런스, 박람회 참여 기회 제공 ▲투자자 초청 기술 시뮬레이션 데모 ▲앤시스 주최 마케팅 행사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과 신청 방법은 ‘K-Startup 창업지원포털’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앤시스코리아의 박주일 대표는 “올해로 5년 연속으로 ASK 프로그램에 참여해 국내 유망한 창업기업과 인연을 맺을 수 있게 되어 대단히 기쁘다. 특히 올해는 우주항공 분야 기업들을 위한 ASK SPACE 프로그램을 신설해 작년 보다 더 폭넓은 산업군의 기업을 지원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뜻깊은 한 해가 될 것”이라면서, “앤시스코리아가 보유한 모든 역량을 동원해 참가 기업의 역량 강화는 물론 그들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주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작성일 : 2025-02-13
에이수스, 1kg 미만의 코파일럿+ AI PC ‘젠북 A14’ 출시
에이수스가 퀄컴의 스냅드래곤 X 시리즈(Snapdragon X Series) 프로세서를 탑재한 899g의 14인치 코파일럿+ PC인 ‘젠북(Zenbook) A14’를 출시한다. 젠북 A14는 노트북 상·하판 및 키보드 프레임에 알루미늄을 세라믹으로 바꾸는 공정을 거친 하이테크 세라믹 세랄루미늄 소재를 적용해 단단한 내구성과 가벼움을 동시에 잡은 울트라포터블 노트북이다. 세랄루미늄 소재는 스크래치 방지 기능과 함께 강력한 내마모성과 얼룩 방지 기능이 있어 오랫동안 매끄럽고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젠북 A14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색상과 미니멀한 디자인에 899g의 초경량 무게로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이와 함께 젠북 라인업 최초로 ‘스냅드래곤 X’ 및 ‘스냅드래곤 X 엘리트’ 프로세서를 탑재해 높은 전력 효율과 배터리 성능을 발휘한다. 제품에 내장된 최대 70Wh의 대용량 배터리는 약 32시간 동안 사용 가능해 종일 작업 및 게임, 영상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기에 충분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또한 최대 WUXGA OLED 16:10 화면 비율의 14인치 나노엣지 디스플레이에는 sRGB 색 영역을 100% 커버 및 400니트로 생생한 색상과 깊은 명암비를 제공하며, TÜV Rheinland 인증을 받은 낮은 청색광 방출로 장시간 사용 및 작업에도 사용자의 눈을 보호한다. 풍부한 오디오 출력을 위한 두 개의 스피커는 초저지연 시간, 고급 소음 제거 기능 등을 갖췄다.     신제품은 최대 45 TOPS를 지원하는 퀄컴 헥사곤 NPU(Qualcomm HexagonTM NPU)를 탑재한 코파일럿+ PC로 실시간 인사이트, 성능 최적화, 멀티태스킹 등 한층 향상된 AI 기능을 지원한다. ▲실시간 자막 및 번역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 캡션(Live Captions) ▲AI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코크리에이터(Cocreator) 등을 통해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했다. 뿐만 아니라 제품에 내장된 다양한 연결 기능을 통해 매끄러운 작업 시스템을 구축했다.  ▲안드로이드/iOS 휴대폰을 윈도우에 연결 가능한 윈도우 폰 링크 기능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로 디바이스 간 중단 없이 전환 가능한 크로스 에코시스템의 스냅드래곤 심리스(Snapdragon Seamless) 통합 기능을 제공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노트북 간에 파일 공유, 화면 미러링, 동기화가 가능하며,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노트북 내 주요 정보 보호를 위한 어댑티브 록(Adaptive Lock) 및 어댑티브 디밍(Adaptive Dimming) 기능과 하드웨어 보호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플루톤 보안 칩 등의 스마트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갖추고, 스마트 제스쳐를 지원하는 확대된 터치패드와 함께 다양한 입출력 포트를 갖춰 연결성을 높였다. 듀얼 경량 팬과 향상된 히트 파이프를 포함한 열 솔루션을 통해 업그레이드된 발열 제어 시스템은 물론 0dB 엠비언트 쿨링(Ambient Cooling) 기능이 적용돼 조용한 작업 환경을 지원한다. 에이수스는 신제품 젠북 A14의 공식 출시를 기념해 특별 구매 혜택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먼저, 3월 7일까지 제품을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에이수스 MD100 마우스를 증정하며, 제품 구매처에 포토상품평 및 SNS 리뷰를 남긴 고객에게는 20명 추첨을 통해 5만원 상품권을 지급한다. 또 포토상품평, 네이버 블로그 및 다나와 DPG, 퀘이사존 등 커뮤니티에 모두 리뷰를 작성한 고객에게는 20명 한정으로 10만원 상품권을, 모든 사이트에 리뷰를 남긴 구매자 중 베스트 리뷰어에게는 ▲에이수스 로고 모양 금(1명) ▲모션 데스크 및 의자(1명) ▲호텔 식사권(1명)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출시일부터 오는 2월 24일까지 오픈 마켓별 최대 할인을 진행한다. 젠북 A14는 공식 스토어, 네이버 브랜드스토어, 쿠팡, 11번가, G마켓, 옥션, SSG 등의 온라인 판매처에서 구매 가능하다.
작성일 : 2025-02-10
[PLM 공급업체 리스트] 이쓰리피에스
#이쓰리피에스    이쓰리피에스(E3PS)는 2006년 1월부터 현재까지 PTC사의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트너 회사이다. PLM 서비스(Strategic Advantage Provider), IoT 관련 서비스 자격을 부여 받아, 많은 고객사로부터 MCAD/PLM/IOT 분야에서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기술 능력을 검증 받았고, 현재 다 방면의 산업 분야(자동차,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하이테크, 일반 제조, 의류, 식음료 산업 등)에서 MCAD, PLM 및 IOT시스템을 성공리에 구축한바 있으며, 그 규모는 300여 회사에 이른다. 또한, 2016년부터 스마트 팩토리에 필수적인 밑단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플랫폼(PTC의 Thingworx)를 이용하여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수행한 바 있다.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의 ALM(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서비스 분야의 SLM(Service Lifecycle Management)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표전화    02-576-2997     홈페이지    www.e3ps.com 사업분야     PLM/PMS/PDM/IoT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 Creo(3D CAD) 판매/교육/컨설팅 PLM 관련 취급 제품 WINDCHILL(윈칠) , FlexPLM(의류), Thingworx(씽웍스), Vuforia(뷰포리아)    출처 : PLM/DX 가이드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30
[PLM 공급업체 리스트] 다쏘시스템코리아
#다쏘시스템코리아    1981년 설립된 다쏘시스템은 프랑스 3D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전세계 29만 고객사와 협력 중이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제품수명주기관리(PLM)부터 디지털목업(DMU), 컴퓨터지원설계(CAD)까지 아우르며, 디자이너부터 엔지니어, 마케팅, 세일즈 등 모든 기업 조직을 위한 가상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는 3D를 공통 언어로 협업할 수 있다. 자동차, 항공우주, 국방, 건설 등 12개 산업 분야에서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이 쉬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앱을 제공한다. 생산 전 과정의 디지털화를 지원하여 고품질 제품을 빠르게 생산하며 스마트 매뉴팩처링은 효율적인 생산 계획을 통한 최적화 기술을 추구한다. 다쏘시스템은 강력한 브랜드 애플리케이션과 85개 이상의 특화된 솔루션을 12개 산업 고객에게 제공한다. 대표전화    02-3270-7800     홈페이지    www.3ds.com/ko 사업분야 자동차/모빌리티, 항공우주/국방, 건축/엔지니어링/건설, 홈/라이프스타일, 소비재, 도시/공공서비스, 하이테크, 생명과학/헬스케어, 조선/해양, 에너지/소재, 산업장비 등 12개 산업 분야에서 초기 제품 컨셉 개발부터 엔지니어링, 제조, 생산, 판매까지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PLM 관련 취급 제품 3DEXPERIENCE Platform    출처 : PLM/DX 가이드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29
에이수스, 최신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탑재한 AI 컨슈머 노트북 4종 출시
에이수스가 인텔의 최신 CPU인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 시리즈2(코드명 루나 레이크 및 애로우 레이크)를 탑재한 고성능 AI 컨슈머 노트북 4종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신제품은 루나 레이크를 탑재한 ▲젠북 S16 OLED(Zenbook S16 OLED) 및 애로우 레이크를 탑재한 ▲젠북 14 OLED(Zenbook 14 OLED) ▲젠북 듀오(Zenbook Duo) ▲비보북 S16 OLED(Vivobook S16 OLED) 등이다.   ▲ 젠북 S16 OLED   슬림한 디자인의 젠북 S16 OLED는 최대 47 TOPS(초당 최대 47조회 연산) 성능의 NPU가 결합된 최신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시리즈2)인 루나 레이크를 새롭게 탑재해 한층 강력한 AI 성능을 갖췄다. 1.1cm의 두께 및 1.5kg의 무게로 휴대성을 높였으며, 하이테크 세라믹인 세랄루미늄(Ceraluminum)이 적용된 견고한 보디가 특징이다. ASUS Lumina OLED가 적용된 16인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은 16:10 및 3K의 해상도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120Hz 주사율로 지연 및 끊김 없는 매끄러운 디스플레이 경험을 선사한다. 이와 함께 전문가 색 영역인 100% DCI-P3을 충족, 베사(VESA) 디스플레이 HDR 트루 블랙 500, 돌비 비전(Dolby Vision), 팬톤 인증을 통해 생생하고 입체적인 비주얼을 구현한다. 이와 함께 노트북에 내장된 78Wh의 대용량 배터리는 종일 작업에도 충분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해 학생, 창작자, 비즈니스 전문가 및 여행이 잦은 사용자에게도 적합하다. 전작 대비 40% 커진 터치패드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이 적용돼 한층 편안한 사용감을 지원하며, 하만 카돈 인증을 받은 스피커도 탑재됐다. 색상은 ‘스칸디나비안 화이트’와 ‘수마이아 그레이’ 2가지로 출시된다.   ▲ 젠북 14 OLED   젠북 14 OLED는 프리미엄 성능의 최대 인텔 코어 울트라 9 프로세서 285H 및 NPU AI 엔진이 통합된 인텔 아크 그래픽 프로세서가 탑재돼 한층 업그레이드된 AI 성능을 제공한다. 1.28kg의 무게와 1.49cm의 두께로 휴대성을 높였고, 제품에 탑재된 75Wh의 대용량 배터리는 15시간 이상 지속된다. 최대 3K 해상도 및 120Hz의 14인치 ASUS Lumina OLED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는 나노엣지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DCI-P3 100%의 넓은 색 영역과 베사(VESA) 디스플레이 HDR 트루 블랙 500 인증을 받아 몰입감 높은 시각 경험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2개의 썬더볼트 4포트, HDMI 2.1, USB 3.2 Gen 1 타입-A 포트, 오디오 콤보 잭을 지원해 높은 연결성은 물론 미군용 등급의 단단한 내구성을 갖췄다. 이외에도 하만 카돈 인증을 받은 돌비 애트모스 오디오 스피커와 양방향 AI 노이즈 캔슬링 기능으로 고품질의 선명한 오디오 사운드를 지원한다.   ▲ 젠북 듀오   14인치 듀얼 스크린 OLED 노트북인 젠북 듀오는 최신 인텔 코어 울트라 9 프로세서 285H와 최대 32GB의 메모리 및 2TB SSD가 탑재됐다. 2개의 16:10 3K 14인치 OLED 나노엣지 베젤 터치스크린은 생생하고 섬세한 비주얼을 구현하며, TUV 라인란드(TÜV Rheinland) 인증을 통해 낮은 블루라이트 레벨로 장시간 사용에도 눈을 보호한다. 이와 함께 탈부착형 블루투스 키보드가 함께 구성돼 다양한 활용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젠북 듀오는 ▲듀얼 스크린 모드(블루투스 키보드 활용 및 가상 키보드 활용) ▲데스크톱 모드 ▲랩톱 모드 ▲공유 모드 등 5가지 사용 모드를 지원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다. 키보드를 포함해 1.65kg의 가벼운 무게와 1.46cm의 슬림한 두께에도 썬더볼트 4포트 2개, HDMI 2.1, USB 3.2 Gen 1 타입-A 포트, 오디오 잭을 지원해 다양한 기기에 손쉽게 연결 가능하며, 초고속 무선 연결이 가능한 와이파이 7 기능이 포함됐다. 여기에 까다로운 미국 국방성 규격인 밀스펙(MIL-STD 810H) 표준을 충족해 단단한 내구성까지 갖췄다.   ▲ 비보북 S16 OLED   비보북 S16 OLED는 최신 기술과 미니멀한 디자인을 통합한 차세대 AI 컨슈머 노트북이다. 1.39cm 및 1.5kg의 디자인으로 향상된 휴대성은 물론 최대 인텔 코어 울트라 7 프로세서 255H와 전용 AI 엔진을 탑재해 고성능의 효율적인 퍼포먼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품에 내장된 ASUS IceCool 열 기술을 통해 무겁고 까다로운 작업도 노트북 성능 저하 및 소음 걱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에르고센스 키보드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입력감을 지원하며, 가위 키 메커니즘이 적용돼 조용하게 타이핑할 수 있다. 특히 키보드에는 코파일럿 키가 포함돼 간편하고 빠르게 AI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ASUS Lumina OLED가 적용된 3K 16인치의 넓은 디스플레이는 최대 120Hz의 주사율과 0.2ms의 빠른 응답 속도, 압도적인 명암비의 HDR 트루 블랙 600 인증을 통해 풍부한 색 재현력과 부드럽고 몰입감 넘치는 시각 경험을 제공한다.
작성일 : 2025-01-13
[포커스] AWS, 인더스트리 위크 통해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혁신 전략 제시
아마존웹서비스(AWS)는 11월 7일 열린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에서 클라우드 기술과 디지털 전환이 산업 혁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조명했다. 이번 인더스트리 위크에서는 6개 산업별 트랙 세션에서 40여 개의 강연을 통해 주요 기업의 혁신 사례와 클라우드/AI 전략이 발표됐으며, 30개 이상의 고객 사례 및 파트너사 데모를 포함해 다양한 디지털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 정수진 편집장     ‘AWS 인더스트리 위크 2024’는 리테일/소비재, 통신/미디어, 금융/핀테크, 제조/하이테크, 헬스케어/생명과학, 디지털 인더스트리 등 6개의 산업별로 트랙이 나뉘어 진행됐다. 이 가운데 제조/하이테크 트랙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의 Amazon Datazone을 활용한 데이터와 ML 거버넌스 혁신 전략 ▲Amazon Bedrock 생성형 AI가 바꿔 나가는 HL만도의 제조 업무 혁신 ▲LG전자의 생성형 AI로 진화한 고객 데이터 플랫폼 구축 경험기 ▲AWS IoT Greengrass를 활용한 HD현대마린솔루션의 통합항해시스템 고도화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 공장 설계를 위한 클라우드 건설 디자인 플랫폼 구축 ▲안랩 XDR이 그리는 AI를 적용한 보안의 미래 등의 발표가 진행됐다. 또한 전시 부스에서는 홀로그램 아바타를 활용한 대화형 컨시어지, AI 고객센터와 기업 메시지 서비스, CCTV와 생성형 AI를 적용한 위험 감시 시스템, 화가의 화풍을 재현하는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이 가능한 딜리버리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WS의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소개됐다.    ▲ 홀로그램 아바타를 활용한 대화형 컨시어지   ▲ 인공지능으로 화가의 화풍을 학습해 재현하는 로봇   ▲ 자율주행이 가능한 딜리버리 로봇   ▲ 생성형 AI로 CCTV의 영상을 판별하는 위험 감시 시스템   클라우드/AI를 활용한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 전략 AWS의 정승희 엔터프라이즈 제조 영업 팀장은 제조/하이테크 트랙의 기조 연설에서 클라우드 도입의 비즈니스 성과, 데이터 전략의 중요성, 생성형 AI 활용 사례 등을 발표하며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매킨지의 연구에 따르면, 제조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은 생산 최적화, 에너지 절감, 납기 준수, 신제품 출시 기간 단축 등의 성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데이터의 통합, 실시간 의사결정, 데이터 보안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AWS는 디지털 전환을 위해 산업 데이터 패브릭(Industry Data Fabri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면서, 디지털 전환의 성공을 위한 현대적인 산업 데이터 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승희 팀장은 “산업 데이터 패브릭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종합 프레임워크로, AWS와 파트너의 기술을 통합해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복잡성을 해소하고 단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AWS는 제조산업에서 클라우드를 활용해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설계/검증 시간의 단축, 협업 강화, 글로벌 공급망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접근 및 추적, 더 빠른 진단과 문제 해결, 정밀한 분석과 예지보전, 지속 가능성 확보, 스마트 제품과 서비스 개발 등을 꼽았다. 한편으로 AWS는 제조업 혁신의 핵심 도구로 떠오르는 생성형 AI에서 가장 큰 차별화 요소인 데이터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정승희 팀장은 “생성형 AI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대적인 데이터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AWS는 3단계의 생성형 AI 서비스 스택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 3단계 스택은 ▲AI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의 학습 및 추론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     ▲아마존 베드락(Amazon Bedrock) 서비스를 통해 맞춤화된 AI 모델 ▲LLM과 기반 모델을 활용해 개발된 아마존 Q(Amazon Q)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이뤄진다. 정승희 팀장은 “AWS는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제조업체가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돕는다”면서, “AWS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면 제조업체가 디지털 혁신을 통해 더 높은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믿으며, 이를 위한 고객의 디지털 전환 여정을 적극 지원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AWS의 산업 데이터 패브릭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4
한국지멘스-앳킨스리알리스 코리아, 산업 디지털화∙에너지 효율 및 지속가능한 사업을 위한 MOU 체결
한국지멘스가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업 앳킨스리알리스의 한국지사와 산업 디지털화, 에너지 효율 및 지속가능한 사업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DI) 부문과 스마트 인프라(SI) 부문의 지속 가능하고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설루션과 앳킨스 코리아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융합해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 스마트 공장 및 인프라 구축 가속화를 목표로 이루어졌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앞으로 국내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플랜트 엔지니어링, 건설, 인프라 등과 관련된 프로젝트에 대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DI) 부문은 ▲플랜트 엔지니어링 설계 ▲공정 시뮬레이션 및 프로세스 제어 ▲공장 및 설비 자동화 ▲디지털 트윈 기술 ▲플랜트 운영 트레이닝 시스템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디지털화 및 스마트 공장 영역에서, 한국지멘스 스마트 인프라(SI) 부문은 ▲빌딩 자동화 ▲방재 시스템 ▲전력 및 조명 시스템 ▲통합 보안 시스템 ▲에너지 절감 시스템 등의 핵심 기술 영역에서 기여하게 된다. 앳킨스 코리아는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 ▲엔드-투-엔드 서비스 ▲ 산업 지식 ▲글로벌 역량을 기반으로 양사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통합 전문 서비스 및 프로젝트 관리 회사인 앳킨스리알리스 그룹은 국내 다수의 제조업 사업장에 대해 ▲프로젝트 관리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조달 서비스 및 ▲공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앳킨스리알리스는 산업 부문에서 글로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끈 경력을 발판삼아 국내 제약 산업에서 디지털 트윈 기반의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최근 앳킨스 코리아는 대전에 위치한 머크(Merck) 바이오 공정 생산센터의 설계, 구매지원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 위치한 우시 STA(WuXi STA)의 API 제조시설 프로젝트를 통해 관련 규제 순응을 지원하는 설계 서비스 업무를 수행했다.     한국지멘스의 정하중 대표이사·사장은 “글로벌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유한 앳킨스 코리아와 협력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한국지멘스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첨단 디지털 설루션 및 운영 노하우를 전 산업에 제공함으로써 국내외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지속 가능한 스마트 제조 및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지멘스 티노 힐데브란트 선임 부사장 겸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장은 “이번 협약은 디지털화를 선도하는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과 앳킨스 코리아의 지속적인 성장에 긍정적인 시너지를 가져올 것”이라며, “앞으로도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디지털 전환 설루션 제공에 집중하면서 한국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든든한 파트너로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앳킨스 코리아 김진홍 지사장은 “제약, 생명기술, 하이테크 산업 분야에서 엔지니어링, 정밀성, 혁신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앳킨스 코리아는 한국지멘스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 관계를 맺게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앳킨스 코리아의 엔드-투-엔드 서비스, 산업 지식, 글로벌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 프로젝트가 최고 수준의 품질 및 안전 기준을 충족함과 동시에 넷-제로 설계 및 공사 환경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24-11-28
[피플&컴퍼니] 아비바코리아 김상건 대표
산업 디지털 전환 위한 포괄적 소프트웨어 기술 제공   아비바는 조선/플랜트 설계에서 나아가, 다양한 산업의 디지털 트윈 구축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엔드 투 엔드 솔루션 역량을 내세우고 있다. 아비바코리아의 김상건 대표는 전체 공정과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 정수진 편집장     아비바의 강점과 기회요소는 어떤 것이라고 보는지 아비바는 조선해양 및 EPC(설계/조달/시공) 분야의 CAD뿐 아니라 팩토리 디자인/엔지니어링, 데이터 관리, 시뮬레이션/최적화, 프로세스 최적화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장해 왔다. 이런 변화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벤시스(Invensys), 오에스아이소프트(OSIsoft)의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아비바로 통합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지금의 아비바는 공장 전체의 시뮬레이션과 운영, 디지털 트윈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기술 기업이 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비바는 고객에게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엔드 투 엔드 솔루션을 제공하여 엔지니어링부터 최적화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한다. 아비바가 갖고 있는 160여 개의 제품을 플랫폼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어, 향후 통합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오픈 아키텍처를 중시하면서 기업이 갖고 있는 기존 시스템을 포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강점이다. 아비바의 이런 강점은 특히 에너지 관리, ESG 및 지속가능성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비바의 에너지 관리 솔루션이 전력, 물, 열과 같은 유틸리티 관리를 최적화하여, 고객에게 실질적인 비용 절감과 에너지 사용의 효율화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비바는 조선, 플랜트 분야 중심의 엔지니어링 솔루션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최근 조선/플랜트 산업의 현황과 주요한 이슈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는지 조선/해양 및 플랜트 산업은 노동력이 중요한 것이 특징인데, 이런 산업에서는 숙련 인력의 부족이 최근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그만큼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이 높다고도 볼 수 있는데, 아비바는 설계부터 제조까지 전체 프로세스에 걸친 자동화를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조선 산업의 지형도가 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경쟁은 산업과 기술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경쟁 자체를 꺼릴 이유는 없다. 아비바는 수십 년간 쌓아 온 경험과 노하우가 큰 자산이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과 신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요구와 기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 앞으로도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비전과 기술을 제공하면서 아비바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와 이해도를 더욱 높이고자 한다. 아비바는 조선/해양과 EPC 산업의 비즈니스 비중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이외에도 석유/가스, 하이테크, 바이오,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으로 비즈니스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복잡성이 높고 정밀도가 요구되는 프로세스 산업에서 인정받은 기술력과 축적된 경험을 다른 산업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이 꾸준한데, 산업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 아비바의 경쟁력은 무엇인지 아비바가 가진 최고의 무기는 3D 엔지니어링이다. 설비뿐 아니라 공장 전체를 디지털화한 3D 데이터는 디지털 트윈을 구성하기 위한 근간이 된다. 아비바는 이를 기반으로 통합 엔지니어링(Unified Engineering) 개념을 정립하고, 개념 설계와 상세 설계를 할 수 있는 단일 플랫폼을 만들었다. 다음 단계의 차별점은 데이터 플랫폼이다. 아비바는 IT 데이터 플랫폼인 PI 시스템(PI System)과 OT 데이터 플랫폼인 HMI와 SCADA를 제공한다. 이들 플랫폼으로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고, 나아가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를 통해 최적의 KPI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합 운영 센터(Unified Operation Center)를 통해 모든 요소를 통합하고, 기업 전체 가치사슬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비바는 모든 단계를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엔드 투 엔드 디지털 전환 기술과 역량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본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아비바의 합병 이후 시너지에 대한 방향성은 어떤 것인지 합병 이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하드웨어 중심의 비즈니스로 전환하고,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소프트웨어 조직은 아비바로 통합됐다.  최근 에너지 절감과 탈탄소, 넷제로와 같은 ESG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데,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시너지가 중요하다. 소프트웨어로 환경 영향을 예측하고 개선할 수 있지만, 기존 설비가 노후화돼서 이에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규 공장을 설립하는 경우에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함께 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비바와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묶어서 공장 자동화와 에너지 관리 측면에서 더욱 큰 가치를 제공하는 방안을 협의하고자 한다. 글로벌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함께 종합적인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안하고, 에너지 관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드라이브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비바코리아의 향후 시장 전략 및 비즈니스 계획에 대해서 소개한다면 아비바코리아는 현재 약 90명의 직원이 서울과 부산 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다. 부산 사무소는 3년 전에 조선·해양기술 연구를 위한 글로벌 조직인 ‘마린 센터 오브 엑셀런스’로 오픈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조선 3사 고객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아비바는 디지털 트윈, 디지털 전환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는 기업으로 거듭났으며, 산업 디지털 전환의 선두에 있는 기업이라는 점을 많이 알리고자 한다. 국내 시장에서 아비바의 인지도를 높이면서, 더 많은 시장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 등 더욱 다양한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자 한다. 산업별 파트너를 강화하는 것은 앞으로 아비바가 추진할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SI(시스템 통합) 기업과의 교류를 강화하고 업계의 전문성을 결합해 시너지를 추구하고자 한다. 산업별 역량을 갖춘 채널 파트너를 포함해 전체 가치 네트워크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고객들이 아비바의 디지털 트윈 및 자동화 기술로 얻을 수 있는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4
에이수스, 인텔 루나레이크 탑재한 AI 노트북 '젠북 S 14 OLED’ 출시
에이수스가 슬림한 폼팩터 디자인의 차세대 AI 노트북 ‘젠북(Zenbook) S 14 OLE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젠북 S 14 OLED는 1.1cm의 두께 및 1.2kg 무게의 14인치 AI 노트북이다. 알루미늄을 세라믹으로 바꾸는 공정을 통해 탄생한 하이테크 세라믹 세랄루미늄 소재가 적용돼 가볍고 견고한 내구성을 갖췄으며, 색상은 자연에서 영감 받은 수마이아 그레이와 스칸디나비안 화이트 두 가지로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최대 47 TOPS(초당 47조회 연산) 성능의 NPU가 결합된 인텔 코어 울트라 7(시리즈 2)를 탑재해 AI 성능을 높였으며, 최대 32GB 메모리 옵션을 지원한다. 또 16:10 14인치 3K 120Hz 화면에는 ASUS Lumina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향상된 시각 경험을 선사한다. 1,000,000:1 명암비, 평균 400니트의 HDR 피크 밝기를 지원해 밝고 디테일한 화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100% DCI-P3의 초광대역 색 재현율 및 HDR 콘텐츠 지원, 베사(VESA) 디스플레이 HDR 트루 블랙 500, 돌비 비전, 팬톤 인증을 통해 더욱 생생하고 선명한 비주얼을 구현한다. 표준 LCD 보다 70% 낮은 청색광을 방출해 사용자의 눈 피로도를 감소시켰다. 이와 함께 72Wh 용량의 배터리는 하루 종일 작업하거나 게임, 영상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기에 충분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하며, 고속 충전 및 USB-C Easy Charge 기능을 지원해 다양한 표준 USB-C 충전기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특히 비행 중이거나 이동 중에도 항공기의 충전기 및 보조 배터리로 충전이 가능해 한층 편리한 노트북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이전 세대보다 4.8배 빠른 최신 와이파이 7 기능도 내장돼 고품질 및 대용량 파일을 초고속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하만 카돈의 인증을 받은 4개의 스피커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보다 강력하고 몰입감 있는 사운드 경험이 가능하다.     에이수스는 이번 신제품이 향상된 보안, 속도 및 개인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세대 AI 경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윈도 코파일럿(Windows Copilot)은 일상 작업을 간소화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문서나 폴더를 빠르게 찾아주는 파일 찾기 ▲설정 조정부터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손쉽게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 ▲오디오를 텍스트로 자동 변환해 실시간으로 자막을 생성하는 라이브 캡션 등의 기능을 통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ASUS StoryCube를 활용해 사진과 비디오를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노트북 내 저장된 사진 및 비디오는 물론 연결 장치 및 클라우드를 포함한 다양한 소스에서 디지털 애셋을 손쉽게 가져오고 내보낼 수 있으며, 이름·태그·위치 등을 기준으로 사진과 비디오를 검색할 수 있어 보다 직관적으로 원하는 사진과 비디오를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니즈에 맞춰 사진과 비디오를 분류 및 구성이 가능하며, 비디오 편집 기능을 통해 간편하게 편집 및 하이라이트 비디오를 자동으로 생성해 사용자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에이수스는 신제품 젠북 S 14 OLED의 공식 출시를 기념해 오는 10월 7일부터 31일까지 특별 구매 혜택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프로모션 기간 내 제품을 구매한 고객 모두에게 프리미엄 케어 기본 1년 보증 기간 외 추가 1년 기간 연장 및 업그레이드 혜택이 제공된다. 또 제품 구매 후 리뷰 이벤트 참여 시 로지텍 무선 마우스를 증정(100명 한정)한다. 신제품은 공식 스토어, 네이버 브랜드스토어, 쿠팡, 11번가, G마켓, 옥션 등의 온라인 판매처에서 구매 가능하며, 공식 소비자 가격은 189만원 대부터 시작한다.
작성일 :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