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대시보드"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246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태블로, 나라장터 통해 공공기관에 데이터 분석 설루션 공급 시작
세일즈포스가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 태블로의 조달청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신규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등록을 통해 태블로는 정부 기관, 지자체, 공공 연구소 및 교육기관 등 공공기관의 데이터 기반 행정과 정책 수립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나라장터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7만여 개 수요기관과 57만 개 기업이 이용하는 범정부 공공 조달 플랫폼이다. 태블로는 이번 나라장터 신규 등록을 통해 수요기관과 기업들이 간소화된 절차를 통해 예산 범위 내에서 설루션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공공부문에서는 데이터 개방 확대와 함께 AI, 공간정보 등 신기술을 접목한 데이터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리정보와 인공지능을 결합한 지리 공간 인공지능(GeoAI), 빅데이터 기반의 정책 의사결정, 민간 데이터와의 협력 등이 주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데이터 품질 관리와 윤리적 고려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태블로는 이번 나라장터 등록을 통해 정책 수립, 행정 서비스 개선, 공공 데이터 활용 촉진 등 다양한 영역에서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를 지원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태블로에 따르면 공공부문은 특히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문화 정립 ▲공공 데이터 기반의 AI 혁신 역량 확보 ▲디지털 전환(DX) 가속화 ▲효율적인 IT 예산 확보 및 집행 등의 측면에서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태블로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 데이터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태블로 유저 그룹’이라는 자체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데이터 민주화’와 ‘데이터 문화’ 정립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태블로는 빠른 시각화, 다양한 데이터 소스 연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등 시각적 분석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복잡한 데이터도 클릭 몇 번으로 대시보드로 쉽게 시각화할 수 있어 데이터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도 필요한 인사이트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과 대시보드 공유, 알림 설정 기능은 정책 수립과 행정 의사결정 등 공공부문 내 의사결정 과정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 전 세계 공공부문에서는 태블로를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태블로 기반의 헬스 데이터 허브를 구축해 80여 개국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염병 대응과 보건 프로그램의 실행력을 높였다. 호주 금융보안국(AFSA)은 태블로를 통해 전사 인력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변화하는 인력 수요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했다. 국내에서는 남양주시청,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등이 태블로를 도입 및 활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태블로의 공식 조달 대행 파트너사인 플랜잇파트너스는 공공인포랩을 오픈하였으며, 공공부문의 데이터 활용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세일즈포스와 각종 웨비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신규 비즈니스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태블로 코리아의 위장영 사업총괄은 “태블로의 나라장터 등록은 국내 공공기관의 데이터 분석 환경에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공공부문의 데이터 분석 인프라 강화와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 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태블로는 공공부문에서도 누구나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민주화를 선도하는 한편, 추후 디지털 기반의 행정 혁신을 촉진하고, AI 도입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5-04-02
슈나이더 일렉트릭, AI 시대 사이버 보안을 위한 DCIM의 중요성 강조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AI 시대를 맞아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DCIM)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데이터의 생성 및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기업들은 방대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관리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AI 기술의 발전과 IoT 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기업의 데이터센터 환경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복잡한 IT 환경에서는 보안 강화를 위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 전 세계 평균 데이터 유출 비용이 445만 달러에 이르고, 2025년까지 사이버 범죄 비용이 10조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데이터센터 내의 모든 인프라 구성 요소를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는 DCIM(Data Center Infrastructure Management) 설루션은 AI 및 데이터 기반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DCIM 설루션은 데이터센터 내에 구성되어 있는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뿐만 아니라 랙, 항온·항습기, UPS, PDU 등 다양한 시설 장비를 통합 관리하여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와 자산의 이동, 장애, 보안 등 전체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IT 인프라를 관리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DCIM을 고민하는 기업에게 해결책을 제공하는 ‘에코스트럭처 IT(EcoStruxure IT)’ 설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에코스트럭처 IT는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으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연한 대시보드 및 고급 분석 기능을 통해 IT 자산의 상태를 파악하며,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AI 기반의 예측 분석 기능을 통해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어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에코스트럭처 IT는 손쉬운 통합과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기업이 기존 IT 관리 도구와 원활하게 연결하고 IT 인프라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기업의 IT 팀은 보다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으며, 안전한 데이터 관리를 통해 기업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글로벌 시큐어파워 사업부의 케빈 브라운(Kevin Brown) 에코스트럭처 IT 부문 부사장은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AI 시대의 변화하는 사이버 보안 환경에서 기업이 크리티컬 인프라를 보호하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DCIM 설루션의 도입과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면서, “최신 DCIM 설루션의 도입을 통해 기업은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사전에 예방하고, 데이터 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처럼 혁신적인 DCIM 설루션은 기업이 AI 및 데이터 중심의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데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보안성과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작성일 : 2025-02-11
PLM 소프트웨어, Teamcenter
주요 PLM 소프트웨어 소개 PLM 소프트웨어, Teamcenter 개발 및 자료 제공 :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02-3016-2000, www.plm.automation.siemens.com/global/ko  1. 지멘스 플랫폼 전략 지멘스 디지털 혁신 플랫폼인 Xcelerator의 Collaboration 영역의 Teamcenter Platform을 통해 제품 개발 혁신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한다. Teamcenter는 Plan, Develop, Deliver, Foundation 제품개발 주기를 지원한다. Teamcenter는 Siemens Xcelerator의 Collaboration 영역으로 모든 규모의 기업은 이러한 솔루션을 사용하여 칩 수준에서 전체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을 설계, 엔지니어링, 제조 및 최적화한다. 이 포트폴리오는 기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협업, 전자, 시뮬레이션, 제조, 운영, 앱 개발 플랫폼 및 IoT에 이르는 통합 기술, 솔루션 및 서비스를 포괄한다.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 중 더 많은 제품이 Teamcenter를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 하루를 시작하는 커피 머신부터 출근길에 운전하는 차, 사랑하는 사람의 심장을 튼튼하게 유지하는 심박 조율기, 좋아하는 휴가지로 가는 비행기까지. 지금 보고 있는 기기나 그 뒤에 숨겨진 기술조차도 Teamcenter를 통해 기업은 혁신의 힘을 발휘하여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일상 생활에서 생활용품부터 자동차, 선박, 항공기 및 우리를 안전하게 지키는 등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계획부터 개발 및 제공에 이르기까지 Teamcenter는 전체 제품 라이프사이클을 지원한다. 또한, 제품의 전체 수명 주기에 걸쳐 제품 데이터를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는 기기에 상관없이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2. 주요 기능 Teamcenter는 Data backbone으로써 Plan, Develop, Deliver에 이르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며 최적의 Collaboration을 통한 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Active workspace client를 통한 정보의 접근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Active workspace client를 통한 CAD관리, 사양관리, BOM관리, 설계변경관리, 요구사항관리, MBOM, BOP, Service BOM에 이르는 Enterprise BOM관리 뿐만 아니라 해석 데이터 관리, 프로젝트 관리, MBSE 지원 등 모든 제조업의 기반 활동을 지원하도록 구조화 되어 최적의 Collaboration data backbone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ctive workspace는 사용자 중심의 UI 기능을 통해 개인화 UX(User Experience)와 업무 관심사 중심의 데이터 조회 및 참조를 제공한다. 다양한 검색을 통한 PLM정보의 확인 및 뛰어난 BOM관리, 여러 CAD Integration을 통한 도면관리, 대시보드 기능 등을 통해 설계와 관련된 많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조회 및 활용할 수 있다. 3. SaaS Teamcenter X SaaS를 사용하면 빠르게 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T 부담도 크게 줄일 수 있다. TeamcenterX 표준 오퍼링은 CAD를 제어하고, 문서를 구성하고, 시각화를 통해 협업하고, 변경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BOM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Teamcenter 기능을 제공한다. Teamcenter X는 클라우드 기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집, 사무실 등 전 세계 어디에 있든 PLM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26
아이템 관리 및 자동 대시보드/보고서 솔루션, SOLIDWORKS Manage
주요 PLM 소프트웨어 소개 설계 일정, 프로세스, BOM 등 아이템 관리 및 자동 Dashboard / 보고서 솔루션, SOLIDWORKS Manage   개발 및 자료 제공 : 다쏘시스템, 02-3270-7800, www.3ds.com/ko   SOLIDWORKS Manage(솔리드웍스 매니지)는 SOLIDWORKS PDM에서 관리하는 설계데이터 외에 파일이 아닌 데이터 관리에 집중하는 솔루션이며, SOLIDWORKS Manage는 SOLIDWORKS PDM을 포함하고 있다.   1. 주요 4대 기능 (1)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 기반의 업무에서, 여러가지 태스크를 나누고 이들의 전후 관계를 표시함으로써, 전체 프로젝트를 일정 내에 할 수 있는지, 혹은 일정을 준수하려면 어떻게 태스크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기획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담당자를 지정하고, 진도율을 관리하며, 신출물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리크스 및 이슈 관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2) Process Management SOLIDWORKS PDM에서는 설계 데이터를 중심으로 워크플로를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데, SOLIDWORKS Manage는 이와 유사하지만 특정한 파일 없이 절차를 만들고 실행하며, 관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승인을 누가 해야 하고, 언제 했는지 추적도 가능하며, 첨부 파일 관리도 가능하다. 설계 변경 절차나 신규 업체 등록 절차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으며 절차 개발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심지어 휴가 승인 절차 등 설계와 전혀 상관없는 내용을 관리할 수도 있다. (3) BOM Management SOLIDWORKS PDM은 주로 설계와 통합된 E-BOM 관리에 집중한다면, 이를 기반으로 한 M-BOM 관리를 구현하는 것이 BOM Management 기능이다. PDM에서 작성한 BOM을 받아서, 필요에 따라 수정이 가능하다. 이는 설계 데이터를 직접 다뤄서 M-BOM을 작성하는 것은 아니고, item화 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이 가능하다. 이렇게 작성된 BOM은 프로젝트 관리 등에서 연동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4) Dashboard 및 Report SOLIDWORKS PDM 및 SOLIDWORKS Manage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매우 많고, 다양하다. 이를 전체적으로 손쉽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Dashboard화 하여 의사 결정권자가 빠른 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SOLIDWORKS Manage의 Dashboard는 여러 정보를 취합하여, 자동으로 그래프를 작성하고 실시간으로 이 값을 연동하여 보여준다. 의사 결정권자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현황을 전파하는 과정을 간소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Report 기능은 Dashboard와 유사하지만, 결과물을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MS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PDF 등으로 자동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런 Report 기능은 위에 Process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등과 연동하여, 각종 절차에서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세팅 가능하다.   2. 주요 활용 SOLIDWORKS Manage는 기본 4대 기능이 있으나, 이 형태는 고정된 것이 아니다. 이를 각 고객사에 맞게 수정하고 조합하면, 기존에 상상할 수 없었던 많은 부분을 통합하고 관리하고, 자동화하여 Dashboard 및 Report 처리할 수 있다. 파일 관리 이상의 더 복잡한 정보 관리를 SOLIDWORKS Manage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26
글로벌 협업 PLM 솔루션, ENOVIA
주요 PLM 소프트웨어 소개 글로벌 협업 PLM 솔루션, ENOVIA   개발 및 자료 제공 : 다쏘시스템, 02-3270-7800, www.3ds.com/ko 1. 주요 특징 ENOVIA는 기업 내 모든 사용자들이 방대한 기술 및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NOVIA를 통해 팀은 서로 협업하고 혁신하면서 계획을 세우고, 성공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성공적인 계획이란 지속적인 최적화, 실시간 진행 상황 추적, 업계 표준 및 규정 준수 등에 대한 유연성을 포함한다. 팀은 ENOVIA를 통해 협업하고 혁신하여 언제 어디서나 어떤 장치에서든 성공적인 계획을 안전하게 구축 및 실행할 수 있다.  ENOVIA는 제품 데이터 관리 (PDM), 제품 수명주기 관리 (PLM), 변경 관리, 구성 관리, 제품 설계 검토, IP 보호 및 재사용, 제품 정의 및 출시 관리 (BOM 관리), 품질 관리 및 준수 관리 등 제품 개발을 위한 폭넓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ENOVIA는 자사의 CAT-IA V5, SOLIDWORKS 외에도 타사 기계 및 전기 설계 애플리케이션을 3DEXPERIENCE 플랫폼과 연결해 사용자가 설계 환경 내에서 ENOVIA 기능에 쉽게 액세스하고 가치 네트워크 전반에서 설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우드 기반 3DEXPERIENCE 플랫폼으로 최신 앱 및 온라인 서비스 카탈로그에 액세스하여 팀, 고객 및 외부 기여자와 협업할 수 있게 해 사용자는 기존 IT 시스템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다. 모든 것이 클라우드에 저장되므로 데이터를 잃을 염려가 없으며 팀원들은 언제든지 안전한 액세스를 보장받는다. 이 같은 디지털 액세스 관리로 지적 재산을 보호하고 팀원이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협업 기능 ENOVIA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PLM 프로젝트 효율성을 제고하는 협업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ENOVIA 3DSwymer  ENOVIA 3DSwymer는 직원, 파트너, 공급업체, 고객, 소비자 및 규제 기관을 프레임워크로 연결하여 지속 가능한 혁신을 주도한다.  1) 사람과 정보 연결 3DSwymer는 모든 사용자를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하는 앱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공동 작업자, 소비자 및 고객과 소통하고 실험하며 사회적 커뮤니티를 구축해 혁신을 공유할 수 있다. 초기 아이디어 프로세스에 소비자와 고객을 참여시켜 개념과 아이디어를 검증함으로 시장 출시 기간 단축을 돕는다.  또한 3DSwymer를 사용해 최소한의 노력으로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귀중한 피드백을 수집하고 평가할 수 있다. 현 상황부터 이전 보고서까지 비즈니스 전반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더 나은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3DSwymer를 통해 안전하고 간편하게 소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고 데이터 업데이트 및 프로젝트 상태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인다.  2) 혁신적인 제품 및 경험 개발을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협업 구조화된 소셜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 혁신을 촉진하고 모든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을 촉진한다. 또한 실시간 인텔리전스를 통해 비즈니스의 가장 중요한 측면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더불어, 다양한 시스템에 연결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정보 인덱스를 구축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가능케 한다.  3D 시각화 기능을 통해 모든 장치에서 부품과 어셈블리를 3차원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제품 및 경험 개발 과정을 더욱 직관적으로 이해한다. 더불어, 사용자는 즉각적인 알림을 통해 추적된 모든 활동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사용자 그룹이 호환 애플리케이션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협업 환경을 최적화하고 효과적인 그룹 관리를 돕는다. 더 나아가 3DSwymer의 몰입형 드로잉 도구는 빠르고 간편하게 3D 도면을 생성하며, 사용자는 디지털화된 린 프랙티스로 화이트보드를 이용함으로써 아이디어와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3) 3DEXPERIENCE 플랫폼으로 협업 강화 3DEXPERIENCE 플랫폼은 혁신 프로세스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실시간으로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선, 전용 커뮤니티 내에서 활동 스트림, 채팅, 비디오, 사용자 태그가 지정된 댓글과 같은 다양한 창구를 통해 피드백을 수집한다.  또한 이 플랫폼은 개인화된 대시보드, 데이터 피드 알림, 동시 설계를 지원하여 팀의 의사 결정과 설계 성숙도를 동시에 향상시킨다. 효과적인 디지털 액세스 관리를 통해 지적 재산 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환경을 보장한다. (2) ENOVIA Project Planner ENOVIA Project Planner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하나의 프로젝트 계획으로 프로젝트 관리를 최적화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팀원들이 액세스할 수 있다. 1) 팀 기반 프로젝트 관리 앱 ENOVIA Project Planner는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간편한 프로젝트 관리를 지원해 프로젝트 성과를 최적화한다. 프로젝트 계획, 실행 및 모니터링에 대한 유연하고 협업 가능한 접근 방식을 통해 팀을 연결하고, 프로젝트 작업, 기간, 마일스톤을 관리하여 프로젝트 성공을 보장한다. 한정적인 리소스와 수행할 작업을 기반으로 계획을 개선하여 효율적인 프로젝트 실행을 위해 팀 협업을 촉진한다.  2) 올바른 작업 관리 소프트웨어로 프로젝트 실행 비용 절감 프로젝트 범위, 작업 기간, 종속성, 마일스톤을 정의한다. ENOVIA Project Planner의 직관적인 계획 엔진을 활용하면 프로젝트 일정을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중요한 마일스톤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종속된 작업을 생성하고 작업 순서를 원활히 조정할 수 있다. 문서와 결과물을 작업 중 원활하게 첨부하여 팀원들이 쉽게 검토할 수 있으며 요약 탭을 통해 실시간 프로젝트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정보에 입각한 의사결정을 돕는 중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3) 3DEXPERIENCE 플랫폼의 간트 차트 소프트웨어로 팀 협업 강화 ENOVIA Project Planner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프로세스에 실시간으로 손쉽게 연결한다. 또한 3DEXPERIENCE 플랫폼의 전용 커뮤니티에서 활동 스트림, 채팅, 비디오 및 사용자 태그가 지정된 댓글을 통해 콘텐츠를 원활하게 공유할 수 있다.  모든 소스의 정보를 집계하여 개인화된 대시보드를 만들고 중요한 데이터 피드에 대한 알림을 설정한다. 정교한 디지털 액세스 관리를 구현해 보안 조치를 강화함으로써 지적 재산을 보호한다. 이러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으로 협업 혁신을 위한 역동적이고 안전한 환경을 보장한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위한 PLM과 DX 가이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 가기 
작성일 : 2025-01-19
[무료다운로드] 딥러닝 모델 개발 프로세스 기록/분석/가시화 및 모델 튜닝하기
BIM 칼럼니스트 강태욱의 이슈 & 토크   이번 호에서는 AI 업계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W&B(Weights & Biases)를 소개하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건설, 제조와 같은 전통 엔지니어링 산업에서 생존을 위해 생각할 부분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강태욱 건설환경 공학을 전공하였고 소프트웨어 공학을 융합하여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분석하거나 성찰하기를 좋아한다. 건설과 소프트웨어 공학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하고 있다. 팟캐스트 방송을 통해 이와 관련된 작은 메시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BIM/GIS/FM/BEMS/역설계 등과 관련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페이스북 | www.facebook.com/laputa999 블로그 |  http://daddynkidsmakers.blogspot.com 홈페이지 | https://dxbim.blogspot.com 팟캐스트 |  www.facebook.com/groups/digestpodcast 모든 산업 분야에서 딥러닝으로 시작된 인공지능(AI) 기술 트랜드가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생성형 AI가 업무에 실질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생성형 AI는 다양한 업무 분야를 자동화하고 있어, ‘Job Killer’라 불릴 만큼 오피스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기술이 전통적인 시장과 일자리를 축소하기도 하지만, 이번 호에서 소개할 W&B는 골드러시에서 역마차를 만들어 운영했던 웰스파고의 전략을 잘 실행한 스타트업이다.     W&B 기술 소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다 보면 수많은 종류의 데이터셋, 하이퍼모델 파라미터 튜닝 등으로 인해 관리해야 할 자료가 매우 복잡해진다는 것을 알게 된다. W&B는 이름 그대로 완벽한 모델 학습을 위해 필요한 딥러닝 모델의 가중치(weights)와 편향(biases)을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로그 도구이다. 즉, 딥러닝 모델 개발자를 위한 프로세스 로그 및 가시화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림 1. W&B(AI Summer)   매우 직관적인 이름을 가진 이 스타트업은 텐서보드(Tensorboard)와 비슷하지만, 적은 코드로 모델 개발에 많은 통찰력을 준다. W&B의 WandB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딥러닝 모델 학습 시 지저분하게 붙어 나가는 로그 처리를 간단한 함수 몇 개로 처리할 수 있고, 통합된 대시보드 형태로 다양한 모델 학습 품질 지표를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학습 모델 하이퍼 파라미터 관리와 튜닝 및 비교 보고서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로그는 숫자,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한다.    그림 2. W&B 딥러닝 모델 개발 프로세스 가시화 대시보드   이번 호에서는 딥러닝 모델 학습 로그 및 가시화 영역에 집중해 살펴본다. 글의 마무리에서는 W&B의 개발 배경도 간단히 알아본다.     사용법 다음 링크에 방문해 회원 가입한다.  wandb.ai website : https://wandb.ai 회원 가입한 후 <그림 3~4>와 같이 홈 메뉴에서 키 토큰 값을 얻어 복사한다. 이 키는 wandb API를 사용할 때 필요하다.   그림 3    그림 4   명령행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해 wandb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pip install wandb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2-05
웨스턴디지털, WD 블랙 SN850X NVMe SSD 8TB 국내 출시
  웨스턴디지털이 ‘WD 블랙(WD_BLACK) SN850X NVMe SSD’ 8TB를 국내 출시하며 고성능 게이밍 라인업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WD 블랙 SN850X NVMe SSD 8TB는 히트싱크 미탑재 모델과 히트싱크 모델로 제공되며, WD 블랙 SN850X NVMe SSD 4TB 히트싱크 탑재 모델도 함께 출시됐다. WD 블랙 SN850X NVMe SSD는 M.2 NVMe 규격의 대용량 스토리지를 갖추고자 하는 하드코어 게이머, 게이밍 조립 PC 유저는 물론 PC 업그레이드를 원하는 유저 등을 위해 설계된 제품으로, 게임 라이브러리, 라이브스트림 녹화, 미디어 서버 등 다양한 대용량 파일과 미디어 아카이브를 저장하기 위해 최적화됐다. WD 블랙 SN850X NVMe SSD 8TB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게임을 지연 시간에 대한 걱정 없이 즐길 수 있게끔 지원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다운로드 가능한 윈도우 한정 ‘WD 블랙 대시보드(WD_BLACK Dashboard)’는 ‘게임 모드(Game Mode) 2.0’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WD 블랙 SN850X NVMe SSD는 쾌적하고 빠른 게이밍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예측 로딩(Predictive Loading)’, ‘오버헤드 밸런싱(Overhead Balancing)’, ‘적응형 열 관리(Adaptive Thermal Management : ATM)’ 등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웨스턴디지털의 에릭 스패넛(Eric Spanneut) 부사장은 “게임은 가상 세계, 커뮤니티, 경쟁 플레이의 한계를 뛰어넘는 몰입형 경험”이라며, “웨스턴디지털은 새로운 WD 블랙 SN850X NVMe SSD 8TB를 출시하며 최상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용량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WD 블랙 SN850X NVMe SSD 8TB 히트싱크 미탑재 모델, WD 블랙 SN850X NVMe SSD 8TB 히트싱크 모델, WD 블랙 SN8850X NVMe SSD 4TB 히트싱크 모델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웨스턴디지털의 지정 판매처를 통해 구입 가능하다. 국내 소비자권장가격은 각각 154만 원, 165만 원, 77만 원이다
작성일 : 2024-11-28
트림블코리아, ‘BIM 어워즈’ 및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잇달아 수상
트림블코리아가 ‘BIM 어워즈 2024’와 ‘2024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각각 최우수상과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BIM 어워즈 2024(BIM AWARDS 2024)는 빌딩스마트협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국내 건설 산업의 BIM 기술 적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올해 BIM 어워즈에는 특별상으로 ‘트림블상’도 신설된 바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주최한 2024 스마트건설 챌린지는 건설 산업 내 스마트 건설기술 보급과 확산을 위해 다양한 건설업체와 중소·중견기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 현장 적용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됐다.  트림블의 수상작은 ‘시공단계 철골 및 PC공사 공정관리를 위한 디지털 솔루션 적용’ 프로젝트로,  현장의 철골과 PC 공사 과제 해결을 위해 트림블과 현대엔지니어링과 공동 개발한 BIM 공정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이는 2024년 4월 트림블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체결한 ‘BIM 공정관리 프로그램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의 일환이다.  트림블과 현대엔지니어링은 철골과 PC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과 BIM 데이터 재활용 극대화를 목표로 했다. 트림블 코리아는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Trimble Connect Dashboard) BIM 공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를 7개 현장에 도입했다. 이 중 네 개 현장에서 피드백을 마치고 플랫폼 적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작업자 한 명 당 업무량이 40% 감소하고 기존 실적 데이터 대비 정확도가 24% 향상되었으며, 지연된 철골 공사는 계획 대비 125% 실적으로 공사 진행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트림블코리아의 설명이다. 현재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는 골조 공정에 적용 중이며, 향후 전 공정으로의 확대와 자동화, 모델 일원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트림블코리아 박완순 사장은 “철골, PC공사 시에는 공장 자재 수급 파악, 제작 현황 파악, 공정 관리 오류 등의 문제가 발생해 왔다”면서, “이번 수상은 보다 스마트한 건설을 위한 양사의 노력과 그 우수성을 검증하는 사례이며, 앞으로도 트림블 커넥트 대시보드의 현장 적용을 더욱 확장해 국내 건설 현장에서 BIM 활용의 활성화 및 건설 산업의 생산성·효율성 향상에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작성일 : 2024-11-21
[무료다운로드] 제조 혁신을 위한 MOM 솔루션의 필요성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버추얼 트윈 (5)   제조 산업에서 운영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 품질, 창고, 설비 및 인원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이 필수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ISA-95 표준 절차서에서 정의한 레벨 3에 해당하는 MOM(Manufacturing Operations Management : 제조 운영 관리)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MOM 솔루션은 제조 공정의 실시간 데이터 관리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도구로, 제조 현장과 ERP(전사 자원 계획) 시스템 간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메워준다.   ■ 박태준 다쏘시스템코리아에서 인더스트리 프로세스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델미아 브랜드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스마트 공장 관련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며, 지능화된 공장 시스템 구축에 있어 고객들이 직면하는 문제점과 실무적인 니즈를 분석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함으로써,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홈페이지 | www.3ds.com/ko   MOM 솔루션의 핵심은 단순한 데이터 관리가 아닌, 통합 관리 프레임워크와 통합된 데이터 모델(unified data model)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조 운영 요소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품질 개선과 자원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현대의 MOM 솔루션은 생산 인프라 스트럭처로써 기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발과 생산 프로세스 모델링을 지원하며, 제조 프로세스 전반을 구성하는 표준 프로세스를 모듈화된 컴포넌트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멀티 사이트(multi-site) 제조 환경에서 각기 다른 공장의 운영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dashboard)가 필요하다. 이 대시보드는 여러 사이트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반적인 성과와 문제점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기업이 여러 제조 현장의 데이터와 자원을 최적화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MOM 솔루션은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스마트 제조 환경 구축과 멀티 사이트 운영 관리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그림 1. MOM 솔루션인 델미아 아프리소의 구성요소   BPM 플랫폼 : MOM 개발 및 프로세스 관리의 근간 현대 제조 환경에서는 효율성과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통합된 프로세스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실현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바로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플랫폼이다. BPM 플랫폼은 제조 현장에서 생산, 품질, 설비, 창고 및 인원 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운영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MOM 솔루션 개발의 근간으로 작용하며, 제조 공정의 통합 관리와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다쏘시스템의 델미아 아프리소(DELMIA Apriso)는 이러한 BPM 플랫폼 기반 MOM 솔루션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아프리소의 주요 목표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통합 아키텍처를 통해 통합된 프로세스 관리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관된 방식으로 관리하고, 단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모든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림 2. BPM 플랫폼 - MOM 개발 및 프로세스 관리의 근간   아프리소의 통합 아키텍처는 여러 사이트를 운영하는 글로벌 제조 기업에 특히 유용하다.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 생산 사이트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중앙 관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멀티사이트 관리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 세계의 공정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된 생산 관리 및 품질 보증이 가능해지며,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전사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결국, BPM 플랫폼을 근간으로 한 MOM 솔루션은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조 공정의 통합성을 보장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Manufacturing Application : 글로벌 생산의 효율화를 위한 가시성과 통합 관리 현대 제조 산업은 글로벌 확장과 복잡한 생산 프로세스로 인해 효율적인 관리가 필수이다. 매뉴팩처링 애플리케이션(Manufacturing Application)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생산 활동의 가시성을 높이고, 통합된 관리 체계를 통해 글로벌 생산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전 세계의 다양한 제조 환경을 하나로 통합하여 생산 운영의 투명성과 유연성을 확보하며, 이를 통해 제조 기업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림 3   Values : 생산 최적화를 위한 핵심 가치 생산 활동 조율을 통한 성능 최적화 주문, 자원, 재고, 품질, 유지보수 등 다양한 생산 활동을 조율함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전반적인 자산 활용률을 극대화하고, 효율을 높이며, 운영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 자세한 기사 내용은 PDF로 제공됩니다. 해당 기사는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4-10-07
AWS, 생성형 AI 서비스 ‘베드록’ 국내 정식 출시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아시아 태평양(서울) 리전에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정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아마존 베드록은 사용자가 특정 용도에 적합한 고성능 파운데이션 모델(FM) 및 거대언어모델(LLM)을 쉽게 찾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AWS는 2023년부터 일부 지역을 시작으로 베드록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다. 이번 AWS 아시아 태평양(서울) 리전의 아마존 베드록 정식 출시에 대해 AWS는 “국내 고객에게 생성형 AI를 활용한 혁신을 지원하고,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저장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폭 넓은 선택지를 제공한다”면서, “최종 사용자에 더 가깝게 생성형 AI 워크로드를 배포하여 저지연 환경이 중요한 고객에게도 유용하다. 낮은 지연 시간은 실시간 콘텐츠 생성, 인터랙티브 사용자 경험, 실시간 대화형 인사이트와 같은 AI 작업에 필수적인 빠른 처리 및 응답 시간을 제공하는 데 특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 업무 재구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있다. 아마존 베드록은 완전 관리형 서비스로, 고객에게 엔터프라이즈급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로 구축된 고성능 모델과 강력한 모델 커스터마이즈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AWS는 고객이 책임감 있고 안전한 생성형 AI 혁신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툴과 리소스, 교육을 제공한다. 국내 고객은 아마존 타이탄(Amazon Titan)의 텍스트 임베딩 v2(Text Embeddings v2), 앤스로픽(Anthropic)의 클로드3.5 소네트(Claude 3.5 Sonnet)와 클로드3 하이쿠(Claude3 Haiku) 등의 최신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AWS는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사와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이 생성형 AI를 통해 혁신을 이뤄낼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GS리테일은 아마존 베드록을 활용해 클로드 3 멀티모달 모델 기반 차세대 패션 상품 검색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GS SHOP의 700만 개 이상의 패션 상품 데이터에서 속성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분류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결과 비용을 줄이면서 검색 정확도는 향상되었다.  센드버드(Sendbird)는 금융, 커머스, 미디어, 게임 등의 산업에 대규모 오픈채팅 및 그룹 메신저 채팅 기능을 API 형태로 제공하는 국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아마존 베드록을 통해 센드버드는 더욱 빠르게 새로운 생성형 AI 모델을 도입할 수 있었고, 데이터 및 비용 관리 문제에서도 경쟁력 있는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센드버드 챗봇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다.  식신(Siksin)은 모바일 식권 서비스와 맛집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드테크 기업으로, AWS의 인프라를 활용한 LLM 기반의 AI 대시보드 ‘외식메타 인덱스’를 구축했다. 이는 아마존 베드록을 통해 클로드 3.5 소네트 모델을 사용했으며, 식신이 보유한 100만개 이상의 맛집 데이터 및 월간 350만명의 이용자의 데이터 그리고 금융, 공공 검색, SNS 분석 정보 등 다양한 이기종 데이터를 통합 분석할 수 있었다.  외국인 대상 통번역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온 비영리 단체 bbb코리아는 아마존 베드록을 통해 앤스로픽의 클로드 3.5를 활용해 통역 내용 요약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bbb코리아는 AWS를 활용해 통역 내용 분석을 위한 자동화된 파이프라인 구축 시간을 단축하는 등 비용을 약 120% 절감했다.  AWS 코리아의 함기호 대표는 “AWS는 고객이 실험에서 생산 단계에 이르는 생성형 AI 여정을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식으로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고객은 선택의 폭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어떤 고객은 처음부터 구축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어떤 고객은 특정 사용 사례에 맞는 모델을 선호한다”면서, "아마존 베드록을 통해 모든 산업 분야의 고객이 생성형 AI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AWS는 한국 내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성능과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AWS는 한국 전역에서 파트너 지원 프로그램,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LLM 개발 프로그램 등에 투자해 국내 기업이 특화된 생성형 AI 에플리케이션을 더욱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AWS는 혁신적인 생성형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선별하여 교육, 멘토링, 최대 2억 6200만원(미화 20만 달러) 상당의 AWS 크레딧을 제공하는 AWS 생성형 AI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또한, AWS 크레딧, 기술 교육, 멘토링 및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해주는 AWS 정글 프로그램도 발표하며 스타트업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작성일 :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