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가입
  • |
  • 로그인
  • |
  • 장바구니
  • News
    뉴스 신제품 신간 Culture & Life
  • 강좌/특집
    특집 강좌 자료창고 갤러리
  • 리뷰
    리뷰
  • 매거진
    목차 및 부록보기 잡지 세션별 성격 뉴스레터 정기구독안내 정기구독하기 단행본 및 기타 구입
  • 행사/이벤트
    행사 전체보기 캐드앤그래픽스 행사
  • CNG TV
    방송리스트 방송 다시보기 공지사항
  • 커뮤니티
    업체홍보 공지사항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Q&A게시판 구인구직/학원소식
  • 디렉토리
    디렉토리 전체보기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하드웨어 공급업체 기계관련 서비스 건축관련 업체 및 서비스 교육기관/학원 관련DB 추천 사이트
  • 회사소개
    회사소개 회사연혁 출판사업부 광고안내 제휴 및 협력제안 회사조직 및 연락처 오시는길
  • 고객지원센터
    고객지원 Q&A 이메일 문의 기사제보 및 기고 개인정보 취급방침 기타 결제 업체등록결제
  • 쇼핑몰
통합검색 "경량화"에 대한 통합 검색 내용이 404개 있습니다
원하시는 검색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때는 홈페이지의 해당 게시판 하단의 검색을 이용하시거나 구글 사이트 맞춤 검색 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CNG TV 방송 내용은 검색 속도 관계로 캐드앤그래픽스 전체 검색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해당 게시판에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3D CAD 데이터 경량화 및 디지털 트윈 포맷 변환 솔루션, DXE Traslator 
3D CAD 데이터 경량화 및 디지털 트윈 포맷 변환 솔루션, DXE Traslator    ■ 개발 및 자료제공 : 팀솔루션, www.timsolution.io   최근 많은 기업에서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의 3D 모델링 과정에 초기비용 부담과 편집 등의 활용이 어려운 한계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팀솔루션은 3D CAD의 구조를 편집하는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러한 솔루션을 이용하여 조선선박, 자동차, 반도체, 기계설비 등 제조산업의 고객사들은 초기 디지털 트윈 환경을 구현하는데 과도한 비용을 투자하지 않아도 되고, 실시간 데이터를 역동적으로 볼 수 있으며, 도입 이후 장기적 유지보수에도 효율적인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다. 1. 제품의 주요 특징  팀솔루션의 주요 제품인 DXE Translator(딕시 트랜스레이터)의 가장 큰 특징은 고객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업 자산인 3D CAD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고객은 디지털 트윈 진입 장벽을 낮추는 동시에 정밀도 높은 디지털 트윈 구현이 가능하다. 2. 주요 기능 DXE Translator는 30여종의 3D CAD 데이터를 5가지 범용적 디지털 트윈 포맷으로 변환하는 한편, 3D CAD의 외형 추출, 구조 경량화, mesh 등의 형상경량화를 노코딩 환경으로 지원한다. 이는 전문지식을 갖춘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3D 모델과 디지털 트윈에 대한 손쉬운 학습과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3. 도입 효과 DXE Translator는 3D CAD 데이터의 구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동시에 외형은 그대로 유지하여 방법을 채택했는데 이 덕분에 고객은 이 디지털 트윈 자산과 3D CAD 데이터를 여러번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고객은 프로젝트 단위별, 혹은 부서별 예산 지출이 아닌 전사적 디지털 전환 예산 사용을 통해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트윈 운영이 가능하다. 4. 주요 고객 사이트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현대자동차 등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8-24
[포커스] 3D 프린팅, 제조 혁신 이끌 생산 기술 될까…현실의 벽과 돌파구는?
3D 프린팅이 폭발적인 관심을 받은 이후 거품이 꺼지고, 지금은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기술 활용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라는 용어는 절삭가공이나 주조 등과 다른 방식의 생산기술로서 3D 프린팅을 정의하는 개념이다. 3D프린팅연구조합은 지난 7월 2일~4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 ‘제1회 국제 적층제조 기술 전시회 및 콘퍼런스(AM KOREA 2025)’를 통해 산업 분야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가능성을 짚는 기회를 마련했다. ■ 정수진 편집장     비용·소재·생산성의 한계를 극복해야 전시회 기간 중 치러진 ‘AM KOREA 2025 콘퍼런스’에서는 이틀에 걸쳐 최신 3D 프린팅 기술과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현대자동차, LG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주요 제조기업에서 현실적인 고민과 노력을 소개했다. 콘퍼런스 첫째 날인 7월 3일 현대자동차 조영철 책임은 3D 프린팅 기술이 상당히 성숙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산업에서는 ‘2차 캐즘(Chasm)’ 단계에 접어들면서 본격 적용되기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고 짚었다. 가장 큰 장벽은 기존 제조 공정에 비해 여전히 제조 원가가 높고 생산성이 낮아 대량 생산에 쓰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균일한 물성과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고, 특정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소재가 없다는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조영철 책임은 “이런 한계를 극복해야 3D 프린팅이 프로토타입 제작 수준을 넘어서 생산 기술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LG전자 박인백 팀장은 다품종 대량 생산 체제에서 고부가가치 산업과 달리 높은 소재 비용이 3D 프린팅의 양산 적용에서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또한, 반복되는 움직임이나 찢어짐을 견딜 수 있는 고무 같은 특수 소재가 부족한 소재 물성의 한계와 복잡한 부품을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경우 제작 시간과 비용이 높아지는 점도 꼽았다. 박인백 팀장은 “이 때문에 3D 프린팅을 실제 양산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고, 현재 LG전자에서는 주로 개발 단계에서 3D 프린팅을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비용 절감과 가치 창출을 위한 기술 개발이 돌파구 이런 한계를 넘어서 3D 프린팅이 제조산업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제조기업들은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영철 책임은 원가 허들을 극복하는 것과 함께 경량화를 통한 탄소 중립 대응, 파트 간 연결 방식 등 전후방 기술의 확보 등으로 3D 프린팅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망했다. 그리고 “물리적 서포트가 필요 없는 바인더젯(Binder Jet) 기술의 자동차 산업 적용 가능성을 찾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의 열 관리를 위한 다공성 구조물 제작이나 소량 생산되는 CS(고객 서비스) 부품의 무금형 양산 등에 3D 프린팅을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이런 기술은 자동차 산업을 넘어 다양한 산업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높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LG전자는 3D 프린팅의 돌파구로 ‘무금형 양산’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금형 제작 비용이 부담스러운 소량의 비기능성 부품이나 서비스 부품에 적용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LG전자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목업을 대체해 시간과 비용을 줄이거나, 생산 라인에서 쓰는 지그(jig) 제작에도 3D 프린팅을 활용하고 있다. 박인백 팀장은 “LG전자는 적층제조 특화 설계(DfAM)로 소재 비용을 줄이고 있으며, 3D 프린팅 소재와 장비를 직접 개발하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적층제조 설루션 및 기술 개발 내용 소개 이외에도 이번 AM KOREA 콘퍼런스에서는 ▲노스이스턴 대학교의 아흐메드 A. 부스나이나 교수가 나노 스케일의 반도체 제작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개발 내용을 소개했고 ▲방위사업청의 도윤희 과장이 K-방산의 성장 과정·성과·육성 방향을 소개하면서 보안을 위해 3D 프린팅 장비의 국산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짚었다. ▲트루얼 테크놀로지의 루크 장 대표는 파우더 기반 적층제조에 기반한 고수율 및 저비용 제조 기술 연구 내용을 ▲한국재료연구원의 송상우 센터장은 와이어 기반 적층제조 기술을 활용한 SMR(소형 모듈형 원자로) 부품 제조 전략을 소개했다. ▲성균관대학교 백상열 교수는 지능형 생체 점착을 위한 4D 프린팅 기반 멀티스케일 소프트 로봇 기술을 소개했다. 콘퍼런스 둘째 날에는 ▲콜리브리움 애디티브의 첵한탄 이사의 ‘GE 에어로스페이스의 적층제조 산업화 경험’ ▲게퍼텍 세바스티안 렉 이사의 ‘WAAM(와이어 아크 적층제조) 기술의 대량 생산 산업 응용 전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손인수 센터장의 ‘적층제조를 활용한 항공엔진의 국내외 개발 현황과 도전’ ▲두산에너빌리티 박재석 팀장의 ‘적층제조 기술은 첨단 제조산업을 어떻게 혁신하는가’ 등의 발표가 진행됐다. 3D프린팅연구조합의 이조원 이사장은 콘퍼런스의 개회사를 통해 국내 적층제조 산업의 위기를 경고했다. 그는 “한국의 기술 경쟁력이 하락하여 중국에 대한 기술 종속마저 우려되는 수준이다. 적층제조가 생산 기술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그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함께 학계의 R&D 성과가 기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이번 콘퍼런스가 국가 생존을 위한 기술 발전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진행된 적층제조 기술 전시회에서는 성형 기법과 소재, 적층 크기와 정밀도 등에서 다양한 3D 프린팅 기술이 선보였으며, 한계를 극복하고 생산 분야에서 자리잡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시회에서는 제조산업에서 3D 프린팅이 기존 생산 기술로 만들기 어려운 형상을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과 함께, 특정 분야에서는 프로토타입에서 나아가 실제로 쓰일 수 있는 부품 및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수준으로 3D 프린팅 기술이 성장했다는 부분이 강조됐다. 전시회 참가 업체들은 “3D 프린팅 기술이 지금 시점에서 기존의 생산 기술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면서도, 기술 한계를 극복하고 특화된 시장을 발굴하면서 제조 현장에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었다.       ■ 기사 내용은 PDF로도 제공됩니다.
작성일 : 2025-08-04
대용량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경량 시각화 솔루션, VIZZARDX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대용량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경량 시각화 솔루션, VIZZARDX  개발 및 자료 제공 : 소프트힐스, 02-499-9998, www.Softhills.net 소프트힐스의 목표는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경량화, 실시간 시각화, 이기종 CAD 모델의 통합,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계를 PC, 웹, 모바일 기반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 대용량 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대표 형상 우선 처리 방식 적용, 3D 형상의 대표성을 기준으로 6단계로 원본 데이터 분류, 시야 범위, 모델과의 거리 등의 기준을 통해 최소 데이터로 3D 화면 처리 등 핵심 역량을 집약하여 가볍고 빠르면서 실제와 유사한 스마트 조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할 계획이다. 1. 주요 특징  소프트힐스는 2025 플랜트 조선 컨퍼런스에서 ‘대용량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경량 시각화’ 솔루션을 중심으로 광대역 지형정보 기반 3D 모델 통합 및 경량 가시화 기술을 선보였다. 소프트힐스는 3D 엔지니어링 데이터(모델, 속성)의 경량화 및 시각화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서비스 전문기업이다. 대형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활용이 필요한 조선해양, 플랜트, 건설 산업 분야에 3D모델 경량화 및 가시화를 통한 리뷰, 공정 관리, 생산과 설계의 연계를 위한 솔루션을 공급하였다.  소프트힐스의 솔루션은 서버와 뷰어 계열로 나뉘는데 서버는 경량 변환 서버 VIZPub, 엔지니어링 데이터 관리 플랫폼 VIZOn, 간섭 체크 서버 VIZClash 등이 있고, 뷰어는 PC용 VIZZARD(비자드) / VIZZARDX(비자드엑스) / VIZDesign, 웹용 VIZWeb3D / VIZWide3D, 모바일용 VIZWing이 있다. 2. 주요 기능 소프트힐스의 솔루션은 서버와 뷰어 계열로 나뉘는데 서버는 경량 변환 서버 VIZPub, 엔지니어링 데이터 관리 플랫폼 VIZOn, 간섭 체크 서버 VIZClash 등이 있다. 뷰어는 PC용 VIZZARD / VIZZARDX / VIZDesign, 웹용 VIZWeb3D / VIZWide3D, 모바일용 VIZWing이 있다. 스마트 조선 분야에서 소프트힐스 솔루션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 경량 3D 모델의 설계, 생산, 시공, 운영, 유지보수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구현  • 교통, 환경, 기상, 관광, 소방, 에너지 등 스마트 건설 분야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기반으로 통합 관리 • 기업, 발주처, 협력사의 설계 및 생산 간 3D 기반 소통, 협업 환경 구축 3. 도입 효과 설계, 생산, 시공 스마트 조선 제조산업과 대형 프로젝트 산업의 생산, 시공 부문의 3D 기반 프로세스로의 전환 산업 O&M 스마트팩토리/야드 3D 가상화 모델 기반의 운영, 유지보수 체계 확립 도시환경관리 스마트시티 도시 내 교통, 환경, 기상, 관광, 소방, 에너지 등 각종 정보를 3D 엔지니어링 데이터 기반으로 통합 관리 3D 기반 비대면 협업환경 기업내부, 발주사, 협력사, 설계 및 생산 간 3D 기반 소통, 협업 환경 구축 디지털 트윈 서비스 개발, 확장 개방형 서비스 API을 통한 산업용 디지털 트윈 응용 서비스 개발 환경 제공   5. 주요 고객 사이트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K하이닉스, 방사청, LS인렉트릭, 퍼시스 등 조선해양 플랜트, 건설 분야외 도시 환경, 우주항공, 방위산업, 일반 기계, 소비재 분야에 솔루션을 공급하여 10개국 250개 기업에 5,000개 이상의 라이선스와 11,000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7-29
팀뷰어, 디지털 직원 경험 및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포트폴리오 국내 출시
팀뷰어가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엔드포인트 관리, 디지털 직원 경험(DEX)에 대한 종합 포트폴리오를 한국에 출시했다. 이번 출시에는 ▲수천 개 엔드포인트의 복잡한 IT 환경을 관리 및 최적화하는 엔터프라이즈급 설루션 ‘팀뷰어 DEX(TeamViewer DEX)’ ▲핵심 DEX 기능을 중소기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DEX 에센셜(DEX Essentials)’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RMM), 원격 연결, DEX, AI 기반 기능을 하나의 설루션으로 통합한 올인원 플랫폼 ‘팀뷰어 원(TeamViewer ONE)’이 포함된다. 기업이 점점 복잡해지는 IT 환경과 높아지는 직원 기대에 직면함에 따라, 팀뷰어 설루션은 기업이 디지털 경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업무 중단을 줄이며, 전반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이번에 확장된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포트폴리오는 IT 팀이 기존의 수동적 반응중심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지능적이고 사용자 중심의 운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팀뷰어 DEX는 팀뷰어가 인수한 디지털 직원 경험 전문 기업 1E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엔터프라이즈급 설루션이다. 팀뷰어 DEX는 IT 환경 전반에 걸쳐 엔드포인트 성능, 애플리케이션 동작, 사용자 만족도, 규정 준수 현황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제공하고, 이 데이터를 분석해 IT 팀이 사용자가 영향을 받기 전에 문제를 감지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해 업무 부담을 줄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IT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직원에게는 더 안정적이고 보안이 유지되며 만족스러운 디지털 업무 환경을, IT 부서에는 보다 효율적이고 사전 대응적인 운영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소기업까지 지원하기 위해 팀뷰어는 DEX 에센셜도 함께 출시했다. DEX 에센셜은 중소기업의 요구에 맞춰 간소화된 형태로 구성된 플랫폼으로 간편한 사용성과 빠른 도입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이 설루션은 복잡한 인프라 없이도 실시간 엔드포인트 모니터링, 지능형 알림, 반복적인 IT 문제 자동 해결 등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도 고품질의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며, 보다 정보에 기반한 정확한 IT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기업 규모에 최적화된 설루션이다. 팀뷰어 원은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분야에서 의미 있는 혁신을 제시한다. 이 플랫폼은 DEX, RMM, AI 기반 지원 자동화, 보안 원격 연결 기능을 하나의 설루션으로 통합한 플랫폼이다. 팀뷰어 원은 성능 최적화 및 패치 관리부터 문제 해결, 직원 지원까지 전체 디지털 운영 환경을 하나의 중앙 인터페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여러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워크플로를 간소화하고, 부서 간 업무 가시성을 높이며, 문제 해결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팀뷰어 원은 다양한 기술을 하나의 라이선스 안에 통합함으로써 IT 팀에 제어 기능과 유연성, 간소함을 제공한다. 기업이 하이브리드 근무 환경 지원부터 글로벌 인프라 관리, 직원 경험 향상까지 다양한 과제에 대응하며, 점점 더 디지털화되는 세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팀뷰어는 전 세계 많은 기업이 이미 팀뷰어 DEX 플랫폼의 가치를 체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도입 6개월 내에 ▲장애 발생 건수 7배 감소 ▲직원 만족도 33% 증가 ▲투자 수익률(ROI) 287% 달성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팀뷰어는 이번 DEX 설루션과 팀뷰어 원의 한국 시장 출시를 통해 스마트하고 통합된 경험 중심의 기술로 미래 업무 환경을 제시해 나갈 계획이다. 팀뷰어의 마크 밴필드(Mark Banfield) 최고상업책임자(CCO)는 “이번 출시를 통해 팀뷰어는 한국 기업들이 디지털 워크플레이스 전환에 있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기업은 팀뷰어 DEX를 이용해 수동적인 IT 지원을 벗어날 수 있고, DEX 에센셜은 이러한 기능을 더 많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또한, 팀뷰어 원은 이 모든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IT 운영을 간소화하고, 직원 경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단일 플랫폼”이라고 한국 시장 지원 차 방문한 자리에서 말했다.
작성일 : 2025-07-10
디지털 트윈 플랫폼, mago3D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디지털 트윈 플랫폼, mago3D   개발 및 자료 제공 : 가이아쓰리디, 042-330-0400, www.gaia3d.com   2000년에 설립한 가이아쓰리디는 전통적인 3차원 공간정보(3D GIS)를 기반으로 우주, 위성, 기상분야까지 적용분야를 확장해 온 공간정보기술 전문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mago3D(마고쓰리디)는 2023년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의 심의를 통과하여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었고, 총 8건의 국내외 특허가 등록되어 있다.   1. 주요 특징 mago3D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BIM/AEC/GIS)를 독자적인 경량화 알고리즘으로 자동변환하여 웹에서 빠르게 가시화하고, 각종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연동하여 모니터링한다. 웹 기반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으로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누구나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기기로 접근하여 단순한 객체 On/Off 에서부터 바람장이나 열섬현상, 오폐수/기름/화학물질 유출, 대기질 변화 등과 같이 현실에서 시각적으로 식별이 어려운 각종 현상까지도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2. 주요 기능 mago3D은 mago3D CMS를 중심으로 2D/3D데이터 변환과 관리, 시뮬레이션 관리, 대시보드와 환경설정, 사용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3DTiler 와3DTerrainer로 구성된 mago3D Converter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웹서비스에 최적화된 데이터로 자동 변환하고, mago3D JS는 순수 웹 브라우저 기술 html, css, javascript만을 이용하여 3D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3차원 가상공간에서 입체적으로 표시한다. 3. 도입 효과 mago3D는 기본에 충실하다. 다양한 3차원 데이터를 웹 가시화에 최적화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빠르게 가시화하고, IoT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현실과 결합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며, 3차원 시각화, 각종 시뮬레이션, 머신러닝(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최적의 답을 찾아낸다.   4. 주요 고객 사이트 국토교통부, 환경부,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울주군,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등 정부부처 및 지자체, 산학연의 많은 고객과 협력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7-02
이기종 시스템 간의 3D 데이터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솔루션, 3DxSUITE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이기종 시스템 간의 3D 데이터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솔루션, 3DxSUITE   개발 : Elysium, www.elysium-global.com 자료 제공 : 아이지피넷, 02-2026-5100, www.igpnet.co.kr   3DxSUITE(3D스위트)는 이기종 시스템 간의 3D 데이터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솔루션이다. 상호 운용성은 3D데이터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보다 정확한 작동을 나타낸다. 이것은 제조업 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및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해 반드시 실현해야 하는 과제다. 3DxSUITE는 다양한 3D 데이터 처리 기술을 통해 사람의 개입 없이 진정한 데이터 배포 및 제조 DX의 실현을 지원한다. 1. 주요 특징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멀티 CAM 및 제조 공정 간에 발생되는 수많은 3D 데이터의 준비 및 최적화 작업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3D 데이터의 품질 저하 및 변경 수정에 따른 정보 교환의 누락으로 재작업 및 제품 불량 등이 발생한다.  3DxSUITE는 이러한 문제를 쉽고 빠르게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멀티 CAD 환경의 중립 포맷이 가진 한계를 뛰어 넘는 3D 데이터 품질 유지와 3D 데이터에 표현된 정보의 정확한 전달과 최적화로 원활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2. 주요 기능 1) PDQ 검증을 통한 3D 모델링 데이터 변환 ISO, SASIG, JAMA 및 JAPIA와 같은 산업 협회에서 설정한 품질 표준을 기반으로 멀티 CAD 데이터의 PDQ(제품 데이터 품질)를 검증하여 3D 모델링 데이터가 가진 에러를 찾아낸다. 이러한 에러는 CAD개발사가 제공하는 공식 API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정하고 3D CAD 데이터의 형상, 속성, PMI등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원하는 CAD의 포맷에 따라 충실하게 변환한다. 2) 3D CAD 비교 복잡한 CAD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비교한 것은 매우 어렵다. 3D CAD 비교 기능은 두개의 CAD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비교하여 차이점을 3D PDF, HTML 및 XML 형식으로 출력하여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형상 간략화 설계자가 만든 3D CAD 모델은 많은 양의 데이터와 복잡한 형상으로 인하여 다운스트림 처리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지적 재산권 보호 및 데이터 경량화를 위한 외형 추출이 가능하고, 해석용 메시 모델 작성을 위한 필렛, 단차 및 기타 형상을 감지하여 자동 삭제함으로써 해석 시간의 단축과 해석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DFM CAD 모델의 특정 형상을 인식하여 생산성, 가공성, 성형성 등 제작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품질 문제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제품상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형상을 검출하고 국제 규정에 근거한 안전한 설계 실현을 지원한다. 5. 도입 효과 멀티 CAD 환경에서 반드시 필요한 3D 모델링 데이터의 품질 유지와 속정 정보, PMI 등의 정확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며, 설계 변경 전후의 차이점 및 파트 변경 등의 정보를 디지털화한 레포트를 이용하여 변경 사항을 빠르게 전달하고 제작 누락을 방지 및 다양한 회의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형상 간략화 및 DFM 기능은 제조 공정에 맞춘 3D 모델링 데이터의 최적화, 경략화가 가능하며 데이터 변환 기능과 결합하여 최적의 데이터 전처리 프로세스로 활용함으로써 제작 공정 전체를 효율화할 수 있다. 6. 주요 고객 사이트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다임러, 폭스바겐, 르노, 토요타, 닛산, 포드, 발레오, 현대모비스, 에스엘, 센트랄, 경신, 만도, 삼성전자, LG전자, 나라엠앤디, 에이테크솔루션, 현대중공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SDI등 자동차 메이커 및 부품 제작사, 생활가전, 우주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6-29
엔비디아, “모델 양자화로 스테이블 디퓨전 성능 높였다”
엔비디아가 양자화를 통해 스테이블 디퓨전 3.5(Stable Diffusion 3.5)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켰다고 발표했다. 생성형 AI는 사람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만들고, 상상하며,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AI 모델의 기능이 향상되고 복잡성이 증가면서 더 많은 VRAM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Large) 모델은 18GB 이상의 VRAM을 사용하므로 고성능 시스템이 아니면 실행이 어렵다. 엔비디아는 이 모델에 양자화를 적용하면 중요하지 않은 레이어를 제거하거나 더 낮은 정밀도로도 실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지포스(GeForce) RTX 40 시리즈와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 세대 엔비디아 RTX PRO GPU는 FP8 양자화를 지원해 이러한 경량화된 모델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최신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GPU는 FP4도 지원한다.     엔비디아는 스태빌리티 AI(Stability AI)와 협력해 최신 모델인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를 FP8로 양자화해 VRAM 사용량을 40%까지 줄였다. 여기에 엔비디아 텐서RT(TensorRT)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통한 최적화로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와 미디엄 모델의 성능을 2배로 끌어올렸다. 또한, 텐서RT가 RTX AI PC 환경을 위해 새롭게 설계됐다. 높은 성능과 JIT(Just-In-Time), 온디바이스 엔진 구축 기능을 더하고 패키지 크기를 8배 줄여 1억 대 이상의 RTX AI PC에 AI를 원활하게 배포할 수 있게 됐다. RTX용 텐서RT는 이제 개발자를 위한 독립형 SDK로 제공된다. 엔비디아와 스태빌리티 AI는 인기 있는 AI 이미지 생성 모델 중 하나인 스테이블 디퓨전 3.5의 성능을 높이고 VRAM 요구 사항을 낮췄다. 엔비디아 텐서RT 가속과 양자화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엔비디아 RTX GPU에서 이미지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의 VRAM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이 모델은 텐서RT를 활용해 FP8로 양자화됐다. 그 결과, VRAM 요구량이 40% 줄어 11GB면 충분해졌다. 즉, 단 한 대의 GPU가 아닌 다섯 대의 지포스 RTX 50 시리즈 GPU가 메모리에서 모델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와 미디엄 모델은 텐서RT를 통해 최적화됐다. 텐서RT는 텐서 코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백엔드로, 모델의 가중치와 모델 실행을 위한 명령 체계인 그래프를 RTX GPU에 맞게 최적화한다.  FP8 텐서RT는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의 성능을 BF16 파이토치 대비 2.3배 향상시키면서 메모리 사용량은 40% 줄여준다. 스테이블 디퓨전 3.5 미디엄의 경우, BF16 텐서RT는 BF16 파이토치 대비 1.7배 더 빠르다. FP8 텐서RT를 적용한 결과, 스테이블 디퓨전 3.5 라지 모델은 BF16 파이토치(PyTorch)에서 실행했을 때보다 성능이 2.3배 향상됐고, 메모리 사용량은 40% 감소했다. 스테이블 디퓨전 3.5 미디엄 모델도 BF16 텐서RT를 통해 BF16 파이토치 대비 1.7배 더 높은 성능을 발휘했다. 최적화된 모델은 현재 스태빌리티 AI의 허깅페이스(Hugging Face) 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엔비디아와 스태빌리티 AI는 스테이블 디퓨전 3.5 모델을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 형태로도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와 개발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보다 쉽게 모델을 접근하고 배포할 수 있게 된다. 이 NIM 마이크로서비스는 오는 7월 출시될 예정이다.
작성일 : 2025-06-18
디지털 트윈 플랫폼, TTM 3D TWINS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디지털 트윈 플랫폼, TTM 3D TWINS 개발 및 자료 제공 : 타임텍, 051-731-7401, www.timetec-ttm.com/ko/index.html   타임텍(TIMETEC)은 조선산업, 플랜트 산업에서 사용중인 외국산 소프트웨어를 대체할 수 있는 국산 3D CAD(TTM)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성공했고, 4차산업혁명이 부각됨에 따라 조선 산업, 플랜트 산업의 디지털 쉽야드, 디지털 트윈을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인 TTM 3D TWINS를 개발했다. 1. 주요 특징  TTM 3D TWINS(트윈)는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세계 협업 시스템으로 개발단계, 영업 단계, 설계 단계, 생산단계, 운용단계에서 대용량의 3D 모델을 가상세계를 기반으로 협업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주용 상용 3D CAD를 포함한 대부분의 주요 포맷의 변환 및 경량화 기술을 개발하여 조선, 플랜트,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주요 기능 (1) 가상세계 협업 시스템 TTM 3D TWINS는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3D CAD의 대용량 모델을 가상환경에 고속으로 가시화한다. 3D CAD 모델을 포함한 가상환경의 회의를 생성하고 회의 참석자를 대신할 아바타가 가상환경에서 접속하여 웹캠(Webcam)과 음성대화, 채팅을 이용해 3D 모델을 조작하며, 회의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가상환경상에서 공유하며 회의를 진행한다. 또 아바타가 3D 모델속으로 실제 비율과 같은 크기로 들어가 참석자들과 함께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에서 회의하는 것처럼 모델을 확인하여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회의 중 모델 수정, 이동 등이 필요하면 가상환경의 모델을 수정하고 스크린 샷과 Mark-up 등의 기능으로 작업에 필요한 회의자료를 생성하고 담당자를 지정, 관리하여 작업에 대한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2) 현장 지원 Remote 시스템     Remote 시스템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형장에서 담당자의 휴대폰으로 TTM 3D TWINS에 접속해 실시간으로 가상세계 화면을 공유하며, 또 현장의 상황을 휴대폰 카메라로 가상환경의 접속자와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휴대폰의 카메라나 동영상을 공유하는 경우, 즉시 자동으로 녹화되고 이 녹화된 영상을 Replay 하면서 문제 지점에서 Text와 Mark-up의 기능을 이용해 현장의 문제점을 메타버스 상에서 정확하게 문제점을 확인하고, 사무실의 엔지니어나 제조업체의 기술자로부터 즉시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현장 문제에 대한 지원의 시간과 위치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3) 가상환경 시뮬레이션 가상환경 시뮬레이션을 조선, 플랜트, 방위 산업 등 다양한 현장에서 실제 제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가상환경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여 생산성 향상과 장비 최적화 등의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 Operation Simulation: 보드, 스위치, 레버, 밸브 등 동작상에 필요한 항목을 배치하고 절차에 맞게 아바타가 동작을 할 수 있는지 Simulation ■ 4D Simulation: 3D 모델에 일정정보 및 관련 정보를 부여하여 일정별 작업 simulation 및  특정 시점에 특정 Item을 배치 가능 여부 simulation ■ Flow & Process Simulation: 배관의 Flow 방향 및 유체의 종류, 속성을 고려하여 유체의 흐름  등을 Valve로 조작 Simulation ■ Assembly Simulation: 조립 순서를 지정하고 이 지정된 정보로 조립 Simulation ■ 비상탈출 Simulation: 함선, 플랜트 등 탈춤 지점 및 경로를 지정하고 여러 아바타를 배치하여  탈출지점까지 아바타가 탈출을 Simulation ■ 식사시간 Simulation: 식당영역과 테이블 수, 전체 식사 인원수, 식사 시간 등을 설정하여 전체  인원이 식사를 완료하는 시간을 Simulation  ■ 시제품 성능 검증 Simulation: 특수목적 차량개발의 경우, 개발목적에 맞는 Simulation, 예  앰뷸런스 차량 개발의 경우, 환자를 들것에 실어서 차량에 탐승하고, 내부의 공간확인과  응급조치가 가능한지 등을 시뮬레이션 4. 도입 효과 TTM 3D Twins는 영업, 개발, 설계, 생산, 운용 단계 전 과정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서 가상환경 협업 시스템, 현장 지원 REMOTE, 가상환경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각 공정에 필요한 디지털 트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 공정의 생산성 증대와 비용 감소를 통한 기업의 이익에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새로운 기술력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기대한다.   5. 주요 고객 사이트 국내 조선소를 포함한 엔지니어링, 플랜트 업체에서 TTM과 TTM 3D TWINS를 사용하고 있으며, 타임텍의 소프트웨어를 신뢰하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6-08
디지털 블록 기반 확장현실 솔루션, TROSAR CyberSpace
주요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디지털 블록 기반 확장현실 솔루션, TROSAR CyberSpace 개발 및 자료 제공 : 이로젠, 032-351-1624, www.elozen.com   TROSAR CyberSpace(트로사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 블록 기반 확장현실 솔루션이다. Tool은 확장현실 콘텐츠 제작도구인 TROSAR XR Studio와 확장현실 콘텐츠 뷰어인 TROSAR XR Viewer이다. 디지털 블록은 독립성 및 재활용성을 위한 일종의 파일 형식이다.  확장현실 디지털 블록은 TROSAR XR Studio에서 3D STEP 파일을 불러와서 확장현실 콘텐츠 구현에 필요한 구조형성 및 속성을 부여함으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확장현실 콘텐츠는 TROSAR XR Viewer를 통해 Meta Quest3/3s, Hololens2에서 바로 증강된다. 1. 주요 특징  Tool은 기계·전장장치의 분해·조립에 특화되어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장치의 최하위부품까지 분해·조립하는 확장현실 콘텐츠 제작 시 용이하다.    (1) 비전문가도 직접 쉽게 콘텐츠 제작 기존 확장현실 콘텐츠가 전문가에게 의뢰해서 제작되었다면, TROSAR CyberSpace의 제작방식은 제품설계자가 설계한 3D STEP 파일을 이용하여 직접 쉽게 분해·조립 확장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비전문가도 빠르고 쉽게 확장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라이브러리화를 통해 콘텐츠의 변경·유지관리가 용이하다.   (2) 합리적 가격 및 국내 자체 기술 ■ 제품대비 20%미만의 가격 ■ 국내 자체 기술로 고객의 요청사항을 빠른 피드백으로 반영 2. 주요 기능   (1) 확장현실 콘텐츠 제작 Tool 확장현실 콘텐츠 제작도구인 TROSAR XR Studio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디지털블록 생성 : 3D STEP을 불러와서 디지털블록으로 변환 ■ 부하 경감 : 데이터 경량화 ■ 라이브러리 생성 : 공구·체결부품 동작 관련 라이브러리 제공 및 생성 ■ 콘텐츠 시나리오 편집 : 작업지침 또는 분해·조립 등 절차를 시나리오로 작성 (2) 확장현실 콘텐츠 뷰어 확장현실 콘텐츠 뷰어인 TROSAR XR Viewer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디지털 블록 시각화 : 가상공간에 디지털 블록 증강 ■ 손 및 공구 동작 인식기술 :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으로 조작 ■ 공간좌표 인식기술: 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좌표 정합 ■ 객체 인식 · 정합 기술: 실 공간 객체와 가상공간 객체를 정합 3. 도입 효과 (1) 콘텐츠 제작 시간 단축 전문가 의뢰에 의한 콘텐츠 제작이 아니라 콘텐츠 제작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직접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고 콘텐츠 뷰어로 제작한 콘텐츠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의뢰 시간, 소통 시간, 검증 시간, 변화 관리 시간 등이 불필요하거나 단축되어 콘텐츠 제작·유지보수 시간이 단축된다.   (2) 콘텐츠 제작 비용 감소 콘텐츠 직접 제작으로 비용 감소 (3) 콘텐츠 자산화 제작된 콘텐츠 및 공구·체결부품 라이브러리로 콘텐츠 자산화 및 재사용율 증가   4. 주요 고객 사이트 부산교통공사 BTC아카데미 실습 교육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6-08
NDX PRO 기반 EPC 솔루션, NDX PRO
NDX PRO 기반 EPC 솔루션, NDX PRO   개발 및 정보 : 이에이트, www.e8ight.co.kr   이에이트는 2012년에 설립되었으며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 보유 기업이다. 2014년 자체 기술만을 이용해 국내 최초로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 NFLOW를 런칭하였고, 2019년 GS(Good Software) 1등급 인증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제품을 상용화하였다. 또한, 2021년에는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를 상용화하는데 성공하여 국내 유일의 자체 기술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였다.    주요 기능   NDX PRO는 이에이트가 자체개발한 데이터를 통합 처리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다. 본 플랫폼은 독자적인 경량화 기술 기반의 3D 가시화 뷰어를 통해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3D로 빠르게 가시화할 수 있다. NDX PRO는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며, Load Balancing과 Auto Scaling 기술로 컴퓨팅 자원을 자동 관리하여 무중단 서비스를 실현한다. 이 플랫폼은 On-Premise, Cloud, Hybrid-Cloud 등 다양한 인프라 환경에 적응 가능하며, 직관적인 웹 기반 UI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모델을 쉽게 시각화하고 편집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소스코드 변경 없이 데이터를 모델링할 수 있는 노코드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초기 도입 및 유지보수 비용에서 외산 솔루션 대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RDB 수준의 트랜잭션 성능을 갖춘 데이터 아키텍처를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이 가능하며, 다양한 요구에 맞춰 유연한 커스터마이징 플랜도 제공한다. NDX PRO는 스마트시티, 빌딩 에너지 관리, 지능형 교통 시스템, 재난 대응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정밀한 3D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트윈 구현을 지원한다. 주요 모듈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환하는 NDX Connector,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통합하는 NDX Visualization,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NDX Core가 있다.  결과적으로 NDX PRO는 데이터 통합과 디지털 트윈 구축의 요구를 충족하며,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플랫폼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상세 내용은 <디지털 트윈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 보러가기  
작성일 : 2025-06-06